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Jul 12. 2022

기록은 기억을 지배하고 글은 마음을 지배한다

오늘도 내가 무어라도 쓰는 이유다.

한참 동안 기억나지 않는 무언가가 있었다.

머릿속을 아무리 휘저어도, 입으로 그것을 말하려 해 보아도 도저히 알 수 없었던 무엇. 그러나, 지난 어느 날 적어 놓았던 메모에서 나는 그것을 찾아냈다.


이와 비슷한 또 다른 일도 있었다.

가족과 함께 지난 여행을 추억할 때. 서로의 기억이 달라 옥신각신한 것이다. 나와 첫째는 여행지에서 본 독특한 건물의 색이 파란색이라고 했고, 아내와 둘째는 그 색을 초록색으로 기억하고 있었다. 십여분을 그 추억 속에 헤매다 결국 그날의 사진을 찾아보기로 했다. 누가 맞고 틀리고가 중요한 게 아니니, 그 색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진 않겠지만 분명 그 건물의 색은 파란색과 초록색 둘 중 하나였다.


기록은 기억을 지배한다.

바꿔 말하면 기억은 기록을 벗어나 경거망동한다.


기억은 뚜렷이 주관적이다.

우리 뇌에 감정을 담당하는 편도체와 기억을 담당하는 해마가 붙어 있는 건 우연일까. 기억은 객관적이어야 하지만, 감정에 따라 그것은 주관적으로 해석된다. 그 둘의 승패는 의미가 없다. 누가 먼저고, 누가 강력하다는 이야기를 하려는 게 아니다. 어쩌면 그 둘은 오히려 상호 보완 관계라고 보는 게 더 맞을 수 있다. 기억은 퇴색되기 마련이고, 그렇다면 감정으로라도 그것을 메워야 하니까.


그러나 나는 이제 그 둘의 옥신각신보다 한층 더 높은 지배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기록과 기억이 머리에서 일어나는 분투라면, 과연 마음의 요동은 누가 제압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해왔기 때문이다. 사실, 머릿속 복잡함 보다는 마음속의 그것이 우리에겐 더 큰 과제다. 이 요동을 제압하지 못하면, 꺼진 불이 다시 일어나 큰 불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위험함의 불씨는 잔재한다. 꾹꾹 눌러 담은 마음과 감정은 언젠가 폭발하기 마련이고, 그 억압된 것들을 살펴 큰 사고가 나지 않도록 우리는 마음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결론은 '글'이다.

그것도 내가 쓴 글. 기록이 기억을 지배하듯이, 글은 마음을 지배한다. 그 지배구조는 강압적이지 않다. 글은 마음에 어떤 명령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그 모든 걸 받아줌으로써 마음을 포용한다. 포용하는 존재와 수단에 마음은 평온함을 찾는다. 더불어, 이것은 시공을 초월한다. 내가 기록한 것과 기억하고 있는 것, 그것으로부터 느끼는 모든 감정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오가는데, 글쓰기는 이 모든 걸 기록하고 담아내고 복기한다. 그 과정에서 우리네 마음은 점차 안정을 되찾고, 안정을 되찾은 마음은 오늘 하루를 살아가는 또 하나의 힘이 된다. 


결국 글은 기록과 기억 그리고 내 감정을 모두 아우르고 지배한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글을 쓰는 존재가 바로 '나'이기 때문이다.


글쓰기가 아니라 글을 쓰는 나.

그것이 본질이며, 이 본질이 가리키는 그 끝엔 '나 자신'이 있다는 걸 알아차려야 한다.


그 사실을 알아차리기 위해 하는 것이 바로 '글쓰기'라는 걸.

무의식은 나로 하여금 무어라도 쓰라고 오늘도 나를 종용한다.




[브런치 x 와디즈 수상] 인문학 글쓰기 & 출간 펀딩

[신간 안내] '퇴근하며 한 줄씩 씁니다'


[종합 정보]

스테르담 저서, 강의, 프로젝트


[소통채널]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작가는 가난할 때 글을 잘 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