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Jan 18. 2023

글쓰기라는 식스센스

오늘도 글을 쓰는 이유. 오감을 넘어 육감과 함께.

우리 신체는 외부의 자극에 민감하게 대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오감이 그렇다. 그중에서도 '시각'은 획득하는 정보의 80%를 담당한다. 안구를 통해 들어온 신호는 뇌로 전달되어 해석되고, 뇌는 다시 호르몬과 신호를 발생시켜 온 감각에 어떻게 반응할지를 전달한다.


이 모든 건 생존을 위한 메커니즘이다.


나는 의문이 들었다.

눈은 밖을 본다. 즉, 우리 몸의 외부를 주시하는 것이다. 그런데 눈은 우리 안을 보지 못한다. 겉모습조차도 거울이 아니면 볼 수가 없다.


그렇다면 '나'라는 존재는 무엇으로 들여다볼 수가 있는가?


혹자는 물을 수 있다.

그걸 꼭 봐야 하나라고 말이다. 나는 그래야 한다고 말한다. 정보획득의 80%를 담당하는 게 시각이라고 하지 않았나. 그러니까 스스로를, 그 마음을 들여다 '봐야'하는 것이다. 그것을 볼 수 있다면 이전보다 더 많이 나를 이해할 수 있게 될 테니까. 다른 감각으론 그것을 확연히 알기가 쉽지 않다. 나 자신을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다가도, 내가 모르는 모습을 볼 때의 낯섦과 당황스러움을 겪어본 사람은 알 것이다. 그러니까 우리는 자신의 20%만을 이해하고 있는지도 모르겠다.


때론 느낌이나 기분, 감정이 나 자신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그 모든 건 '결과물'이다. 내가 이미 어떤 자극에 의해 산출해 낸 반응. 이미 어쩔 수 없는 결과물을 들고 그것이 우리 자신이라고 할 수 있을까? 더더군다나 그것들은 시시때때로 변한다. 하다못해 날씨에 따라서도 급변하는 그것들을 두고 우리 자신을 규명할 수 있을까?


과연, 마음을 들여다 '보는' 식스센스를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나는 찾았다.

오감에 하나를 더 얹은 그 무언가를.


나는 그것을 '글쓰기'라 말한다.

글은 기록이다. 활자로 내 생각과 감정이 남는 것이다. 생각과 감정은 시시각각 변하지만, 한번 기록된 활자는 변하지 않는다. 그때의 감정과 생각을 잡아둘 수 있다. 그것을 읽는 것은, 그때의 마음을 '보는'것과 다름없다. 자, 이렇게 마음을 들여다보는 식스센스가 생긴 것이다.


그렇다고 그로 인해 80%를 한 번에 나에 대한 정보를 습득했다는 건 아니다.

보긴 보지만 그것은 직접적으로 보는 것은 아니고, 또한 마음의 그것을 시각화하기엔 활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언어는 생각의 감옥 아니던가. 생각할 수 있고, 마음으로 표현할 수 있는 게 더 많지만 언어는 그것을 다 담아내지 못한다.


그러하기에 나는 계속해서 쓴다.

글이 많아지면, 그만큼 내 마음의 단서도 많아지는 것이니까 말이다. 더 많이 표현하고, 더 많이 쏟아내면. 80%까지는 아니더라도 1% ~ 79%의 가능성은 있지 않을까. 나는 확실히 이것을 느낀다. 글쓰기 전과 이후의 나를 대하는 태도는 확연히 달라졌기 때문이다.


외부로 향해 있는 촉각을, 내부로 향할 줄 아는 방법을 이제야 알았다.

밖에 있는 것들만 조심하려다가, 나 자신을 잃어버리는 우를 이미 범할 만큼 범했다.


이젠 가능한 많은 촉각을.

시선을, 나에게로 향해야지 마음먹는다.


오늘도 글을 쓰는 이유다.

오감을 엮어, 육감과 함께.




[종합 정보]

스테르담 저서, 강의, 프로젝트

[신간 안내] '퇴근하며 한 줄씩 씁니다'


[소통채널]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글쓰기에도 쉼이 필요하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