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상황에서도 최선을 다한 소녀의 이야기
'메스티소(Mestizo)'란?
메스티소(Mestizo)는 유럽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혼혈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이 용어는 유럽과 아프리카의 혼혈인이나 다른 인종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을 묘사할 때도 사용될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으로 원주민과 유럽의 혼혈인을 가리킨다.
메스티소(mestizo)라는 용어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라틴 아메리카에서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이 토착민들과 결혼하기 시작했을 때 유래되었다.
이것은 유럽과 토착 문화가 혼합된 새로운 인구를 만들어냈고, 그들만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을 발전시켰다.
오늘날, "메스티소"라는 용어는 멕시코, 페루, 에콰도르, 볼리비아를 포함한 많은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에서 사용된다.
메스티소는 이들 국가에서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문화적, 민족적 정체성은 국가 정체성의 중요한 부분이다.
인류 최초의 메스티소
'돈 마르틴 코르테스'
'마리아 하라미요'
이 두 이름은 라틴 아메리카 역사상 최초의 생물학적인 '메스티소'로 기록되었다.
'돈 마르틴 코르테스'는 스페인 정복자 에르난 코르테스와 말린체가 낳은 아들이며, '마리아 하라미요'는 코르테스가 스페인으로 돌아간 뒤 말린체와 후안 하라미요가 낳은 딸이다.
이 두 메스티소의 공통점은 '말린체'라는 여성이 뱃속에서 나왔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또한 궁금증이 생긴다.
말린체는 대체 어떤 여성이었기에 두 명의 스페인 인으로부터 아이를 낳게 되었고, 메스티소의 어머니가 되었을까?
말린체, 그녀는 누구인가?
말린체(Malinche) 또는 도냐 마리나(Doña Marina)는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인 '나와 족'으로 태어났다.
지금의 멕시코 베라크루스에 위치한 코트자코알코스 지역의 작은 마을에서 자랐다. 그녀는 어린 소녀였을 때 노예로 팔렸다. 타바스칸 사람들이 1519년 멕시코 정복을 시작한 에르난 코르테스에게 그녀를 넘긴 것이다. 말린체는 나우아 어와 유카탄 사람들이 사용하는 마야어에 모두 능통했다. 코르테스의 눈에 띄지 않을 수 없던 이유다. 코르테스는 그가 마주친 원주민들과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통역사가 필요했다.
말린체와 코르테스의 동행이 시작되는 순간이었다.
코르테스와 그의 군대가 멕시코를 통과할 때, 말린체는 통역과 조언자로서 그들과 동행했다.
그녀는 빠르게 코르테스의 신뢰를 얻었고, 스페인의 아즈텍 제국 정복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말린체는 아즈텍의 적이었던 다른 원주민들과 동맹을 협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고, 그녀의 지역 언어와 관습에 대한 지식은 스페인 군대가 멕시코의 복잡한 정치 지형을 질주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그녀는 언어뿐 아니라 문화적 배경의 지식 창고였고, 아즈텍의 적이었던 원주민들과의 동맹을 이루는데 협상가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아즈텍의 멸망을 도운 말린체는
배신자일까?
코르테스의 번역가이자 조언자로서의 말린체의 역할은 수세기 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어떤 사람들은 그녀를 역사적 배신자로 보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녀를 나쁜 상황을 최대한 활용한 생존자로 본다. 역사가 그녀를 어떻게 판단하든지 간에, 말린체는 멕시코 역사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분명하다.
아즈텍은 14세기부터 16세기까지 멕시코 중부에 존재했던 복잡하고 다양한 문명이었다.
콜럼버스 이전의 다른 많은 문명들과 마찬가지로 아즈텍인들은 인간 희생, 의식 전쟁, 노예 제도와 같은 현대적 기준에 의해 잔인하다고 여겨지는 관행에 참여했다.
인간의 희생은 아즈텍 종교의 중요한 측면이었고, 우주의 지속적인 존재를 보장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믿어졌다.
매년 수천 명의 포로들이 제물로 바쳐졌고, 그들의 심장은 신들에게 바치는 제물로 제거되었다. 현대의 관찰자들에게는 이 관습이 야만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아즈텍 종교적 관습의 필수적인 부분으로 여겨졌고 우주적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믿음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아즈텍 사람들은 전쟁에서 포로들을 잡아 제물로 사용하는 의식적인 전쟁에 참여했다.
이 관습은 또한 종교적인 의무로 보였으며, 신들은 땅의 비옥함과 사람들의 번영을 보장하기 위해 인간의 피를 필요로 한다고 믿었다. 하지만, 아즈텍 문명이 이러한 관습들에 의해서만 정의되는 것인 아니다. 아즈텍 사람들은 또한 예술, 음악, 시, 그리고 철학을 포함한 풍부하고 다양한 문화적 유산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글쓰기와 수학의 정교한 시스템을 개발했고, 그들의 도시는 인상적인 건축과 공학적 지식으로 지어졌음을 보면 혹시라도 간과될 그들의 문명을 쉬이 판단해선 안된다.
결론적으로, 아즈텍 문화의 일부 측면은 현대적 기준으로 잔인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문명은 멕시코와 세계의 문화적, 지적 유산에 상당한 기여를 한 복잡하고 다면적인 사회였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말린체가 왜 아즈텍의 멸망에 깊게 일조했는지가 분명하지 않다.
일각에선 그녀가 아즈텍 문명에 깊은 증오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역삭적으로 증명된 부분은 없다.
다만, 앞서 말했듯.
말린체는 그저 자신의 상황에서 최선을 다한 게 아닐까란 추측을 해볼 뿐이다.
(참고로, 베라크루스의 항구도시 인 코테자코알로스엔 그녀의 삶과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진 말린체의 기념비가 있다.)
어느 시골 작고 가녀린 소녀는 지산이 한 대륙의 역사적 인물이 될 것을 알았을까.
메스티소라는 새로운 인종의 어머니가 될 것을 알고 있었을까. 아즈텍 문명을 멸망시키는 데 큰 일조를 하게 될 거란 걸 상상이라도 했을까.
원주민으로서.
소녀로서.
노예로서.
통역사로서.
코르테스의 연인으로서.
메스티소의 어머니로서.
그녀가 매 순간 최선을 다하지 않았을 리 없다는 생각을 해보면, 우리네 인생과는 그리 크게 다를 바 없겠다는 게 내 결론이다. 역사의 크고 작음보다는 우리네 삶의 오막조막함들이 어느 시대의 역사를 만들어 내어 가고 있다는 게 더 중요한 사실 아닐까.
그녀의 삶이든.
우리의 삶이든.
고단한 건 마찬가지일 테니.
[종합 정보]
[소통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