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till Water Nov 24. 2020

1.3kg의 미숙아를 낳았다

임신 중독증에 걸린 산모. 미국에서 출산하다.  

2018년 9월 18일 뉴욕에서, 가을비가 보슬보슬 내리는 이른 아침에 첫아들을 품었다. 

예정일보다 6주나 빠르게. 40주를 채 다 채우지 못하고 세상에 나온 아이. 

"응애" 하고 우는 소리가 그저 반가워 눈물을 흘렸다. 

아기는 생각보다도 훨씬 작았고 한 없이 연약해 보였다. 



나의 경우, 임신 중독증으로 인해 누군가 위를 쥐어짜는 아픔으로 뜬 눈으로 지새워야 했다. 

온몸은 소시지 같이 퉁퉁하게 부어 있었고, 막달이 다 되어가도 산모라는 게 거의 티가 나지 않을 정도로 배도 아주 작았다. 뱃속의 아기는 영양분을 받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었고, 폐 성숙을 위해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기도 했다. 다행히 이것 덕분에 아기가 자가 호흡을 할 수 있었다. 


시어머니께서 꾸려주신 베이비 샤워를 한 직후 다음 날 양수가 터졌고, 그 길로 엠뷸런스를 타고 큰 병원에 옮겨겨가게 됐다. 당시에 나는 "아기가 베이비 샤워 때 받은 선물들을 보고는 기다릴 수 없었나 봐."라는 생각을 하며 엠뷸런스 안에서도 큰 긴장감이나 두려움 없이 나름 즐겁게(?) 그 상황을 즐겼던 것 같다.


의사는 나의 상태를 보고 "몇 주 더 있다가 출산하시겠어요? 아니면 오늘 출산하시겠어요?라는 어려운 선택권을 주었다. 당시에는 왜 그런 어려운 선택을 전문의가 아닌 나에게 선택을 맡기는 건지 어이가 없고 황당했지만 것 또한 미국의 "선택할 자유"에 입각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어쨌든 나는 아이를 더 배 속에 품고 있어도 크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고 있었고, 여기까지 온 이상 출산을 하여 적절한 조치를 받는 것이 합당하다는 생각을 하여 유도 주사를 맞고 분만을 했다. 


진통은 시간이 지날수록 고통스러워 무통 주사를 맞게 되었고, 그 후로 얼마 가지 않아 골반 밑으로 아이가 내려온 것 같은 느낌이 들어 확인을 부탁했는데, 담당 간호사는 그렇게 빨리 내려왔을 리가 없다며 조금만 더 참아 보라고 하였다. 내 몸은 이미 아이를 밀어 낼 준비가 되고 있었는데 그걸 참으려고 하다 보니 더욱 힘들어 다시 한번 간호사를 불렀고, 이내 체크를 해 보더니 준비가 됐다며 그때부터는 분주하게 출산 준비가 시작되었다. 


마취 선생님을 빼곤 모두 여성 의료진들이 출산을 도와주었고, 힘을 줄 때마다 잘하고 있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아 주었다. 아기가 작은 탓에 10분 정도 힘을 주고 출산을 했고, 회음부도 한 땀을 꿰매 회복도 빨랐다. 

남편은 지금도 그 날을 회상하며 차라리 내 몸을 위해선 아기가 작았던 것이 다행으로 생각될 정도라고 했지만, 엄마 된 마음으로는 그래도 40주를 꽉 채워 2킬로 이상의 정상아로 태어났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아기는 저체중이었지만, 다행히 호흡도 스스로 하고 있었고, 모유를 먹는 것에도 별 어려움이 없었기 때문에 NICU에 있던 다른 아기들처럼 여러 기구들을 주렁주렁 달지 않은 것만으로도 감사했다. 


#미숙아출산기 #미국출산 #이른둥이출산 #저체중아 #육아 #미숙아육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