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언론은 어떻게 피해의식을 유발하는가?

피해의식과 언론 I

피해의식 확대 재생산의 중심, 언론

피해의식은 거대한 감옥이다. 서로가 서로를 옭아매는 감옥이다. 이 거대하고 견고한 감옥은 혼자 만들 수 없다. 이 감옥을 만들고 유지하는 데 많은 이들이 공모하고 있다. 그 중 빼놓을 수 없는 공모자가 있다. 바로 언론이다. 세상 사람들의 잠재적인 피해의식을 촉발하고 동시에 확대재생산하는 중심에 언론사가 있다. 물론 모든 언론사들이 그렇다는 말은 아니다. 보수 일간지를 중심하는 일부 언론사들이 그렇다.      


 일부 언론사들은 왜 피해의식을 촉발 및 확대재생산하는가? 자신들의 당파적 이해를 충족하기 위해서다. 당파적 이해를 충족하기 위해서 편 가르기보다 유용한 방법도 없다. 내 편과 네 편을 선명하게 대립시킬 때 누군가는 자신의 이익을 챙길 수 있다. 이 편 가르기를 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피해의식이다. 누군가의 피해의식을 자극하는 것보다 내 편과 네 편을 대립시키는 데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도 없다. 일부 언론사는 특정 집단의 피해의식을 촉발‧확대재생산 함으로써 자신의 당파적 이해를 충족한다.

      

 그렇다면 언론은 어떻게 대중들의 피해의식을 증폭하고 확대재생산하는 걸까? 누구에게나 상처 받은 기억이 있다. 하지만 그 상처가 곧 피해의식으로 작동하는 것은 아니다. 그 상처가 ‘나’에게만 일어났다고 여기거나 혹은 ‘나’의 상처만이 유독 큰 상처라고 믿게 될 때 피해의식은 촉발되고 증폭된다. 일부 언론사는 바로 이 지점을 집요하고 반복적으로 파고들어 대중들의 피해의식을 촉발하고 확대재생산 한다. 이는 일부 언론이 젠더갈등 문제, 세대 갈등 문제, 빈부 갈등 문제를 다루는 방식에서 분명하게 드러난다. 


     

언론은 어떻게 피해의식 유발하는가?

     

 젠더 갈등부터 이야기해보자. 「82년 생 김지영」이라는 소설이 세간에 화제가 된 적이 있다. 이 소설은 ‘김지영’이라는 한 여성의 인생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소설은 화제를 넘어 여성운동Feminism Movement을 환기하는 일종의 사회적 현상이 되었다. 어찌 보면 특별한 것 없어 보이는 한 여성의 인생 이야기가 어떻게 베스트셀러를 넘어 사회적 현상이 된 것일까? 그것은 한국 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 잡고 있는 남성중심의 권력 구조 때문이었다.

      

 누가 뭐래도 한국 사회는 긴 시간 남성중심의 사회였다. 그로 인한 사회적 부조리와 불평등은 공기처럼 존재해왔다. 그런 사회적 부조리와 불평등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하는 것은 단지 그것이 공기처럼 존재했기 때문일 뿐이다. 「82년 생 김지영」은 당연한 것으로 여겨지는 남성중심의 권력 체계 속에서 여성들의 삶을 얼마나 억압하고 착취해왔는지를 극적으로 보여주었다. 이것이 이 소설이 베스트셀러를 넘어 하나의 사회적 현상으로 이어질 만큼의 사회적 공감을 불러일으킨 이유였다.

       

 이때 일부 보수 언론사들은 어떤 반응을 보였을까? <90년생 김지훈> <79년생 정대현> 등을 언급하며 고통 받는 남자의 삶을 다룬 기사들을 연이어 내보냈다. 군복무 문제, 취업 문제, 가족 부양 부담, 남성 역차별 문제 등등. 남성이기 때문에 받는 다양한 불이익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조명했다. 쉽게 말해, “여자만 힘든 게 아니다. 오히려 남자가 더 큰 피해 받고 있다.” 논조의 기사들을 연이어 쏟아내었다.

      


상처(고통)의 과도하고 반복적인 확인은
위로가 아니라 또 다른 고통이다.

     

 이런 기사들은 일부 남성들(혹은 남성중심주의적 구조를 내면화한 일부 여성들)에게 어떻게 작용했을까? 이런 기사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자신(남성)만 고통 받고 있는 것처럼 받아들이게 되고, 자신의 상처(고통)가 유독 큰 상처라고 받아들이게 된다. 즉, 남자이기 때문에 군대를 가는 것, 취업이 어려워진 것, 가족을 부양해야 하는 것, 남자이기 때문에 거꾸로 차별받는 것이 예외적이고 유독 큰 상처(고통)라고 인식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남성들의 피해의식(두려움‧열등감‧억울함‧분노‧무기력‧우울함)은 확대 재생산된다.    

  

 피해의식이 촉발‧증폭된 남자들의 내밀한 마음을 안다. 여자와 경쟁해야 하는 것이 두렵고, 그런 마음이 드는 자신에게 열등감을 느낀다. 또한 이런 상황을 겪어야만 하는 것이 분하고 억울하다. 동시에 이런 모든 마음이 뒤엉켜 지속될 때 무기력해지고 우울해진다. 누군가 우리의 상처(고통)을 알아주면 위로를 받는다고 느낀다. 하지만 이는 반만 옳은 이야기다. 만약 누군가 우리의 상처(고통)을 과도하게 그리고 반복적으로 확인시켜준다면 그것은 위로가 아니라 극심한 고통(피해의식)을 유발하게 된다. 

     

 남성들의 상처와 고통만을 과도하게 부각시키는 언론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지 않았다면 이런 극심한 피해의식은 촉발되지 않았거나 그 강도가 훨씬 덜 했을 테다. 이것이 언론이 피해의식을 확대재생산하는 방식이다. 누구에게만 있는 상처와 고통을 유독 특별하고 심각한 것으로 부각시키는 방식으로 피해의식을 증폭한다. 이렇게 확대 재생산된 남성의 피해의식은 상처 받은 여성들에게 공감하기보다 대립하게 만든다.

      


피해의식은 사회적 갈등이 된다.


 젠더 갈등만 그렇겠는가? 세대갈등과 빈부갈등도 마찬가지다. 일부 언론은 자신의 당파적 이해관계에 의해 대중들의 피해의식을 노골적으로 자극한다. 20대들의 지지가 필요하다면, 20대의 상처와 아픔을 유난히 크게 조명한다. 기성세대가 누렸던 사회적 이익(고도성장의 시대, 높은 취업률, 낮은 집값. 장기근속 등등)을 부각하는 동시에 20대가 처해 있는 사회적 불이익(저성장의 시대, 낮은 취업률, 높은 집값, 저임금 등등)을 부각한다. 이때 20대들의 마음에서는 피해의식이 촉발되고 확대 재생산될 수밖에 없다. 

     

 반대로 60~70대의 지지가 필요하다면 그들의 상처를 유난히 크게 조명한다. 전후戰後에 겪어야만 했던 정서적 상실감과 절대적 빈곤, 군부 독재의 폭력, 젊은 세대 위주의 사회 문화에 따른 소외감 등등. 60~70대가 겪어야만 했던 상처와 아픔을 노골적이고 직접적으로 부각할 때 그네들의 마음에서도 저마다의 피해의식이 촉발되고 확대 재생산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세대 갈등은 더욱 첨예해질 수밖에 없다. 일부 언론은 특정한 집단의 피해의식을 증폭시킴으로서 사회적 갈등을 더욱 첨예하게 만든다.

     

 빈부갈등도 마찬가지다. 가난한 이들의 지지가 필요할 때는 가난한 이들의 상처와 아픔(장시간 노동 문제 열악한 노동환경 문제, 저임금 문제)을 유난히 크게 조명한다. 반대로 부유한 이들의 지지가 필요할 때는 그들의 상처와 아픔(각종 세금 문제,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한 사업체 운영 문제)을 유난히 크게 조명한다. 이때 가난한 이들은 그들대로, 부유한 이들은 그들대로 피해의식이 촉발되고 확대 재생산될 수밖에 없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빈부갈등이 더 심각해지지 않을 수 있을까.      



작가의 이전글 파시즘과 피해의식, 다양성을 제거하는 안경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