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철학은 돈 버는 데 도움이 되나요?"

탈레스의 '형이상학'

철학을 시작하지 않는 이유     


세상 사람들은 철학 공부를 시작조차 하려 하지 않는다. 이유가 뭘까? 어려워서? 일견 옳은 이야기다. 철학은 분명 어렵다. 게임, 동영상, 수다, 맛집탐방 등등 세상에 재밌고 쉬운 것들이 얼마나 많던가. 이런 세상에 철학처럼 어려운 학문에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이것이 철학을 시작조차 하지 않는 이유는 아니다. 철학이 어려운지 아닌지는 일단 책을 펼쳐봐야 알 수 있는 것이니까.      


 세상 사람들이 애초에 철학에 관심이 없는 이유는 따로 있다. 돈이 안 되기 때문이다. 달리 말해, 실용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새로운 것에 호기심이 있다. 하지만 철학은 예외적이다. 철학이 새로운 것이라 하더라도, 호기심이 없거나 적다. 당연하지 않은가. 세상 사람들의 호기심은 대체로 돈이 되는 혹은 실용적인 것을 향하게 마련이니까. 그렇게 철학은 시작부터 세상 사람들과 멀어져 갔을 테다.       


아주 오래된, 철학의 오해     


‘철학은 먹고 사는 데 아무 도움이 안 된다.’ 이것이 철학의 가장 오래된 오해일 테다. 많은 이들이 철학은 우리네 일상과 동떨어진 이야기를 학문이라고 여긴다. 바로 이 오해가 철학이 최소한의 호기심의 대상조차 되지 못하게 만든 가장 큰 이유일 테다. 그렇게 철학은 시작조차 할 필요가 없는 학문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믿지 못할 수도 있겠지만, 철학은 실용적이며 돈이 된다. 이 낯선 아니 황당한 주장을 더 이어가기 위해서는 철학의 오래된 오해부터 풀어야한다.   

   

 어떻게 이 오해를 풀 수 있을까? ‘그것은 오해야!’라고 외치는 것으로 오해는 결코 풀리지 않는다. 오래된 오해일수록 더욱 그렇다. 사람들은 이미 오해하고 있으니까. 오해를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오해의 시작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그 오해가 어디서부터 생겼는지 왜 생겼는지를 살펴야 한다. 아주 오래된 철학의 오해를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철학의 시작, 정확히는 서양 철학의 시작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탈레스, 서양철학의 시조


철학은 탈레스와 함께 시작되었다.” 러셀의 서양 철학사버트런드 러셀     


서양 철학의 시작은 탈레스다. 탈레스는 이오니아 지방의 항구도시 밀레토스(현재 터키의 영토)에서 활동했던 철학자다. (이 지역에서 활동한 철학자들을 통칭해 ‘밀레토스 학파’라고 한다.) 현대철학자인 러셀뿐만 아니라, 고대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탈레스가 철학의 시작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2000년이 훌쩍 지난 지금의 관점에서 보자면, 탈레스의 철학은 다소 거칠고 조악한 면이 있다.


 그런데 어떻게 탈레스는 서양철학의 시조가 될 수 있었을까? 그가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s’이라는 개념을 기초 세웠기 때문이다. 형이상학이란 무엇일까? 탈레스를 철학의 시작이라고 말한 바 있는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이상학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다.      


 여러 학문들 가운데 가장 정확한 학문은 제 1의 여러 원인들을 대상으로 삼는 학문이다. 그 이유는 더 근본적인 원리에서 출발하는 학문 쪽이 파생적이고 보조적인 여러 원리로부터 출발하는 학문보다 (중략) 더 정확하기 때문이다. (중략) 즉 그것은 제 1의 원리나 원인을 연구하는 이론적 학문이어야 한다. 형이상학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가 말한 “가장 정확한 학문”이 바로 형이상학이다. 그의 말에 따르면, 형이상학은 다양한 대상들 사이에 존재하는 “더 근본적인 원리(제 1의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형이상학은 말 그대로, 사물들의 특정한 형태形 너머而上에 있는 것을 탐구하는 학문學이다. 예를 들어보자. 수증기, 이슬, 눈, 얼음 같은 다양한 사물들이 있다. 이는 각각 특정한 형태를 띠고 있다. 그런데 이 모든 형태 너머에 있는 보편적인 원리·원인(제 1의 원리)이 있다. 물이다. 즉 물이라는 원리·원인이 있기 때문에 수증기, 이슬, 눈, 얼음이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 다양한 사물들의 보편적 원리를 밝히려는 학문이 형이상학이다.       


형이상학을 기초 세운 탈레스


“인간이란 무엇인가?” “권력이란 무엇인가?” 이런 질문이 전형적인 형이상학인 이유도 이제 알 수 있다. 개별적 형태를 띤 존재를 넘어, 그 모든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공통적이고 보편적인 원리를 찾으려는 학문이 바로 형이상학이기 때문이다. 기철·민혜·우진·수민 등등 수많은 인간들 속에 있는 보편적인 원리를 찾으려는 학문. 부모의 권력, 선생의 권력, 정치인의 권력 등등 수많은 권력 속에 있는 보편적인 원리를 찾으려는 학문. 즉 다양한 개별자들 너머에 있으면서 그 존재들을 가능하게 하는 본질을 찾으려는 학문이 바로 형이상학이다.    

  

 탈레스는 바로 이런 형이상학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기초 세웠다. 이에 대해 서양 철학사를 정리한 ‘요하네스 휠스베르거’는 이렇게 말한다.       


 탈레스가 행한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오히려 모든 존재의 기본적인 근거라고 하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그가 제일 처음으로 제기한 것이다. 서양철학사 요하네스 휠스베르거     


 휠스베르거의 말처럼, 탈레스는 “모든 존재의 기본적인 근거”(제 1의 원리, 본질)을 최초로 제기했다. 형이상학을 개념화한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이지만 그 개념화의 토대를 제공한 것이 바로 탈레스다. 형이상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인식의 틀을 최초로 만든 사람이 탈레스인 셈이다. 이렇게 탈레스는 ‘형이상학’이란 말을 한 번도 사용한 적이 없지만, 이미 형이상학이란 개념을 세상에 내어놓았던 셈이다. 탈레스는 형이상학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가장 먼저 기초 세웠다. 이것이 탈레스는 서양철학의 아버지로 길이 인정받는 이유다.


작가의 이전글 기쁜 마음으로, 다시 처음부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