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이데아’
강박적인 마음
“5분마다 손을 씻지 않으면 불안해요”
“매일 샤워를 한 시간 이상 안하면 잠이 안 와요.”
“제 물건들이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순서로 있지 않는 걸 못 견디겠어요.”
“다이어리에 하루 일정을 모두 기록해두지 않으면 불안해요.”
크고 작은 결벽증이나 정리벽에 시달리는 사람은 흔하다. 이런 결벽증이나 정리벽은 강박적인 마음에서 온다. ‘강박’은 무엇일까? 어떤 생각에 사로잡혀 심하게 압박을 느끼는 마음이다. 과도한 손씻기와 샤워, 집착적인 정리정돈과 기록은 모두 강박적인 마음의 결과이다. 어떤 생각에 사로잡혀 강박적인 행동(손씻기‧샤워‧정리정돈‧기록)을 하지 않으면 불안해서 견딜 수가 없는 것이다.
강박은 우리네 삶을 반드시 슬픔으로 몰고 간다. 강박적인 이들은 어떤 상황에서도 강박적인 행동을 해야만 불안을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결벽증이 있는 이는 아무리 피곤해도 반드시 씻어야 하고, 정리벽은 있는 이들은 아무리 바빠도 반드시 정리해 해야 한다. 그래야 불안을 멈출 수 있기 때문이다. 강박은 우리네 몸과 마음을 모두 피폐하게 한다. 지금은 이런 강박적인 마음이 도처를 배회하는 시대다.
‘나’와 ‘너’를 모두 괴롭게 하는 강박
더욱이 심각한 문제가 있다. 강박은 ‘나’ 뿐만 아니라 ‘너’도 괴롭게 만든다는 사실이다. 결벽증과 정리벽 있는 ‘나’를 생각해보라. 그런 강박은 ‘나’를 끊임없이 괴롭힐 테다. 그런데 그 괴로움은 ‘나’의 문제로 끝이 날까? 혼자 사는 사람은 없다. 누구나 타인들과 어느 정도 생활을 공유하며 살 수밖에 없다. 그 때문에 강박적인 ‘나’는 필연적으로 ‘너’에게 괴로움을 주게 된다. 결벽증이 있는 ‘나’(부모‧남편)는 ‘너’(자녀‧부인)가 씻지 않는 것을 견딜 수 없다. 정리벽이 있는 ‘나’(사장‧선배)는 ‘너’(직원‧후배)가 정리정돈하지 않는 것을 견딜 수가 없다.
이는 강박적인 ‘나’에게는 당연한 일이다. ‘너’와 함께 살아야 하는 인간사에서, ‘나’의 강박적인 마음(결벽증‧정리벽)은 ‘나’의 노력(씻기‧정리정돈)만으로 결코 만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은근히든 윽박지르든, 강박적인 ‘나’는 ‘너’에게 씻기‧정리정돈을 강요할 수밖에 없다. 강박적인 마음은 ‘나’와 ‘너’ 나아가 ‘우리’까지 괴롭히게 된다. 그러니 조금 더 유쾌하고 기쁜 삶을 원한다면 강박적인 마음을 잘 극복해야만 한다. 강박에 지쳐버린 이들에게 필요한 질문은 이것이다. “강박적인 마음을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플라톤의 ‘이데아’
서양 철학은 플라톤 이후 이어졌던 플라톤에 관해 풀이하거나 보충한 것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과정과 실재』 앨프리드 노스 화이트헤드
이 질문에 대한 답은 플라톤을 통해 알아보자.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제자이며 최초의 고등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아카데미아’ 설립자였다. 플라톤은 단순히 고대 그리스 철학자 중 한 명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다. ‘서양철학 전체가 플라톤에 대해 보충하거나 풀이란 것일 뿐’이라는 화이트레트의 전언은 괜한 말이 아니다. 그만큼 서양 철학에서 플라톤이 가지는 영향력은 크고 깊다. 강박적인 마음을 어떻게 극복해야 할 수 있을까? 플라톤 사상의 핵심 개념인 ‘이데아’에 그 답이 있을지도 모르겠다. ‘이데아’란 무엇일까?
지금부터 내가 말하는 것이 맞는지 틀렸는지를 잘 생각해보게. 우리는 ‘같음’이라는 것이 존재한다고 말하는가? 내가 지금 ‘같음’이라고 했을 때, 그것은 이 통나무가 저 통나무와 같고, 이 돌이 저 돌과 같다고 말할 때의 그런 ‘같음’이 아니다. 여기서는 그런 것들과는 완전히 다른 것, 즉 ‘같음’ 그 자체를 가리키는 것이라네. 『파이돈』 플라톤
'같음이란 무엇인가?' 플라톤은 이 질문으로 이데아를 설명하려 한다. 비슷하게 생긴 두 개의 통나무 A, B가 있다. 그 때 우리는 그 둘이 같다고 말한다. A와 B 모두 통나무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플라톤의 ‘같음’은 그런 것이 아니다. 그에게 A와 B와 같은 이유는 ‘통나무 그 자체’ 때문이다. ‘통나무 그 자체’가 무엇일까? 현실에는 없지만 누구나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는 완벽한 ‘통나무’다. 그것이 ‘통나무 그 자체’다. 이 ‘통나무 그 자체’의 성질을 현실적인 존재인 A와 B가 나누어 가지기 때문에 사람들이 A와 B는 같은 통나무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플라톤의 ‘분유分有이론’이라고 한다.) 여기서 말하는 ‘~ 그 자체(본질)’가 바로 플라톤의 ‘이데아’를 의미한다.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완벽한 원본, 이데아
하나의 예를 더 들어보자. 종이에 크고 작은 삼각형을 몇 개 그려보자. 그것들 정말 삼각형일까? 아니다. 지구상에서 그려진 어떠한 삼각형도 내각의 합이 정확히 180도인 삼각형일 수 없다. 지구가 곡선이기 때문에 그 위에 그려진 어떤 삼각형도 내각 합이 정확히 180도일 수 없다. 그런데 우리는 그 불완전한 모든 삼각형을 같은 삼각형이라고 파악할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 플라톤은 ‘삼각형 그 자체’ 덕분이라고 말한다. (현실에서는 결코 구현할 수 없는) 한 치의 오차도 없는 내각의 합이 180도인 완벽한 ‘삼각형 그 자체’가 있기 때문에 우리는 현실세계의 불완전한 삼각형들이 삼각형이라고 인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삼각형 그 자체’가 바로 삼각형의 ‘이데아’다. 쉽게 말해, ‘이데아’(삼각형 그 자체)는 원본이고, ‘현실적 존재’(그릴 수 있는 삼각형)는 복사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데아’는 실제로 볼 수는 없지만 어딘가에 존재하며 완벽하다. ‘현실적 존재’들은 ‘이데아’의 완벽함을 나누어 갖는 복사본이다. 그래서 ‘현실적 존재’들은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완벽한 원본(이데아)을 계속 복사하다보면 복사본들이 조금씩 흐릿해지는 것처럼 말이다. 이에 대해 플라톤은 이렇게 말한다.
“감각으로 인식되는 모든 것이 이데아에 도달하고자 하지만 그렇게 될 수 없고 항상 여전히 그보다 못한 것으로 남는다는 것은 틀림없네.” 『파이돈』 플라톤
플라톤에 따르면, 모든 현실적 존재들은 저마다의 이데아가 있고, 그 이데아로 인해서 현실적으로 존재하게 된다. 이런 저런 통나무‧삼각형‧인간‧새‧꽃 등등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통나무‧삼각형‧인간‧개‧꽃 ‘그 자체’(이데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물질적인 것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것 역시 이데아의 지배를 받는다. 어느 조각을 보고 아름다움을 느끼고, 어느 철학자를 보고 지혜로움을 보고, 어느 할머니를 보며 인간다움을 느낀다. 이런 저런 다양한 아름다움‧지혜로움‧인간다움이 존재할 수 있는 것도 아름다움‧지혜로움‧인간다움 ‘그 자체’(이데아)가 있기 때문이다. 플라톤은 물질적이든 추상적이든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은 그 존재의 이데아가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