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 '욕망'과 '금기' 그리고 '의무'의 변주곡

공부에 대한 피해의식


“주말에 독서 모임 같이 할래?”
“싫어. 다 커서 무슨 공부야. 책 읽는 거 딱 질색이야.”

 

 ‘주민’은 피해의식이 있다. 어떤 종류의 피해의식일까? 피해의식은 상처 받은 기억으로 인한 과도한 자기방어다. ‘주민’에게는 어떤 상처가 있을까? 공부를 못해서 받은 상처일까? 아니다. 즉, ‘주민’의 피해의식은 공부를 못해서 생긴 피해의식이 아니다. ‘주민’은 학창시절 공부를 잘했다. ‘주민’의 피해의식은 너무 공부를 많이 해서 받은 상처 때문에 발생했다. 이것이 친구가 즐겁게 함께 책 읽자고 했을 때, ‘주민’이 과도하게 방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였다. 이는 ‘주민’만의 특별한 피해의식이 아니다.      


 어른 시절에는 공부를 곧잘 했으면서 어른이 되면 공부와 담을 쌓고 지내는 이들은 흔하다. 이는 일종의 피해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어린 시절, 과도하게 공부했던 것이 상처가 되었던 이들이 있다. 이런 이들 중 책 혹은 공부라면 쳐다보지 않게 되는 어른이 되는 경우는 흔하다. 세상 살아가는 것이 공부이고, 그 공부 중에는 삶을 유쾌하고 명랑하게 만들어주는 공부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공부라면 질색을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피해의식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알 수 있다.


      

피해의식, '욕망'과 '금기' 그리고 '의무'의 변주곡 

    

 피해의식은 욕망과 금기 그리고 의무가 만들어내는 변주곡이다. 욕망은 ‘하고 싶다’이고, 금기는 ‘하지 마’이고, 의무는 ‘해야만 해’이다. 어떤 피해의식이든, 그것은 ‘하고 싶다’(욕망)라는 마음과 ‘하지 마’(금기)라는 마음과 ‘해야만 해’(의무)라는 마음이 뒤엉켜 발생하게 된다. 공부에 대한 피해의식이 이를 잘 보여준다. 학창시절, ‘주민’의 욕망은 ‘놀고 싶다’였다. 친구들과 축구도 하고, 영화도 보고 싶었다. 하지만 ‘주민’의 부모는 늘 ‘놀지 마!’라고 금기 했다. 이 ‘놀지 마’라는 금기는 단순한 금기가 아니다. 이는 ‘공부 해’라는 의무를 만들어 내는 금기다. 이 ‘욕망-금기-의무’라는 삼각형 구도 안에서 피해의식이 발생하게 된다.

        

 다른 피해의식 역시 마찬가지다. 돈과 성性에 관한 피해의식을 예로 들어보자. 돈에 대해서 과민 반응하고, 과도하게 자신을 방어하려는 이들이 있다. 돈에 관한 이런 피해의식은 왜 발생하는가? 욕망(‘돈을 쓰고 싶다’)과 금기(‘돈을 쓰지 마’)가 만들어내는 의무(‘돈을 벌어야 해’) 때문이다. 어린 시절 장난감을 사고 싶었던(욕망) 아이가 있다고 해보자. 하지만 부모는 ‘쓸데없는 데 돈쓰지 마라’고 금기했다.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이 그 아이는 ‘돈을 벌어야 한다’는 강력한 의무에 지배 아래 놓이게 된다. 이것이 한 아이에게 돈에 관한 피해의식이 발생하는 과정이다.    

   

 성에 관한 피해의식 역시 마찬가지다. 성에 관련된 주제에 대해 과민 반응하고, 성적인 문제에서 자신을 과도하게 방어하려는 이들이 있다.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이 역시 마찬가지다. ‘섹스하고 싶다’는 욕망과 ‘섹스 하지 마’라는 금기가 만들어 내는 ‘정신적인 사랑을 해야 해’라는 의무 때문이다. 성욕은 자연스러운 마음이다. 하지만 이는 사회적으로 금기된다. 이때 ‘정신적인 사랑을 해야 한다’는 의무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된다. 이것이 우리 사회에 성에 관한 피해의식이 발생하는 과정이다. 이처럼, 어떤 피해의식이든지, 그것은 ‘욕망-금기-의무’라는 삼각형 구도 안에서 발생하게 된다.

      



작가의 이전글 피해의식은 사회적 문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