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一日不食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말라." 백장 선사의 말입니다. 노쇠한 백장이 걱정된 상좌 스님이 쟁기를 숨겼을 때 백장은 그날 밥을 먹지 않다고 합니다. 그렇게 백장은 죽는 날까지 쟁기를 들고 노동을 하다 입적했습니다. 백장은 무엇을 알려고 주고 싶었을까요? "일일부작 일일불식一日不作一日不食" 이 짧은 사자후에는 많은 함의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노동윤리에 대한 것이죠. 먹기 위해서는 스스로 땀흘려 일하라는 것이죠. 즉, 스스로 밥벌이를 하지 않으며 삶을 이어가지 말라는 의미이지요. 


 두번째는 권력에 대한 경계입니다. 일하지 않고 먹는다는 것은 누군가의 것을 착취하고 있다는 것이죠.착취는 권력 없이는 불가능하지요. 권력은 어디서부터 올까요? 그것은 땀흘려 일하지 않고 먹고 살고 싶다는 욕망으로부터 옵니다. 지위가 높건 낮건, 모두가 스스로 일해 삶을 유지하려한다면 착취를 가능케할 권력은 애초에 성립할 수 없지요.  


 세 번째는 깨달음에 대한 것입니다. 모든 승려들은 모든 세속의 번뇌와 집착을 끊고 깨달음에 이르려하지요.그 깨달음에 어떻게 이를 수 있을까요? 수행遂行을 통해서입니다. 수행遂行은 수심遂心아닙니다. 즉, 수행은 행동行을 갈고 닦는 일이지, 마음心을 갈고 닦는 일이 아닙니다. 수행은 무엇일까요? 고즈넉한 사찰에 앉아 참선(명상)을 하는 것일까요? 그것 역시 수행이 아니라고 말할 수는 없겠지요. 


 하지만 행동을 갈고 닦는 일의 근본은 '명상'이 아니라 '노동'에 있습니다. 노동해서 먹을 것을 얻지 못한다면 명상은 애초에 불가능하니까요. 먹고 사는 일은 모든 인간의 실존적 조건이지요. 이 실존적 조건을 초월한 명상으로는 허황된 망상에 이를 수 이있을지는 몰라도 진정한 깨달음에는 가닿을 수는 없습니다. 삶의 진실에 이르는 깨달음은 언제나 몸을 움직여 삶을 이어가는 수행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백장은 죽음에 이르는 순간까지 제자들에게 가르침을 주고 있었던 겁니다. "삶은 잘산다는 건 스스로 밥벌이를 하며 산다는 것이다!" "일하지 않고 안락하게 살고 싶을 때, 네 속의 권력자가 자라는 중이다!"  "깨닫고 싶다면 땀을 흘려라!" 백장은 죽는 순간까지 몸을 움직여 노동함으로써 제자들에게 큰 가르침을 주었던 겁니다. 백장은 죽는 순간까지 인문주의자였던 겁니다. 


 저 역시 백장처럼 살다가 죽고 싶습니다. 스스로 밥벌이를 하며 살고, 어떠한 권력구조도 만들지 않으며, 마음이 아닌 행동(몸)을 갈고 닦으며 살아가고 싶습니다. 백장이 쟁기를 든 선승으로 살다갔다면, 저는 땀 흘리는 철학자로 살다가고 싶습니다. 어깨와 허리 아플 때까지 글을 쓰고 진이 빠질 때까지 수업을 하며 온 몸으로 삶을 살아내다 죽고 싶습니다. 성불成佛!

작가의 이전글 바이블, 교과서, 참고서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