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 I

바이러스가 두려운 이유

바이러스는 두려움의 대상이다. 바이러스는 아주 작은 크기의 감염성 입자를 의미한다. 쉽게 말해, 바이러스는 특정한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이다. 이것이 세상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두려워하는 이유다. 바이러스로 인해서 특정한 질환을 앓게 될 것을 두려워한다. 하지만 이런 두려움은 일종의 편견이다. 바이러스에 대한 합리적 두려움(경계)은 그것이 야기하는 질환 그 자체보다 바이러스의 특징은 전염과 변이에 관계해 있다.      


 에이즈(AIDS:후천성면역결핍증)와 감기를 예로 들어보자. 이는 둘 모두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이다. 에이즈는 ‘인체 면역 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되어 면역력이 저하되는 질환이다. 감기는 특정한 감기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호흡기계에 문제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사람들은 에이즈 바이러스와 감기 바이러스 중 어느 것을 더 두려워할까? 단연 에이즈 바이러스다. 감기 바이러스는 사소한 질환을 유발하지만 에이즈 바이러스는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합리적인 판단이 아니다.       



바이러스의 특징. 전염과 변이


 바이러스의 진정한 두려움은 전염에 있다. 에이즈 바이러스는 혈액이나 정액에 의해서만 전염된다. 쉽게 말해 에이즈 바이러스 보균자와 같은 주사기를 사용하거나 섹스를 할 때만 전염된다는 의미다. 이는 전염의 측면에서 보자면 아주 가능성이 낮다. 하지만 감기는 어떤가? 아주 소량의 비말(기침·재채기를 할 때 침 등의 작은 물방울)로도 전염될 수 있다. 이는 감기 바이러스 보균자와 대화를 하거나 심지어 같은 공간에 있는 것만으로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비말감염을 공기매개 감염이라고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감기 바이러스는 전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바이러스는 그 종류에 따라 질환의 정도(치명도)와 전염의 정도(확산도)가 다르다. 흔히 사람들은 질환의 정도를 크게 생각하고 전염의 정도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정작 바이러스가 문제가 되는 것은 감염이 되어 질환이 될 때 아닌가? 즉, 질환의 정도가 심각하더라도 전염의 가능성이 매우 낮다면 크게 두려워해야 할 바이러스가 아니다. 반대로 질환의 정도가 미미하더라도 전염의 가능성이 매우 높다면 두려워해야 바이러스다. 그러니 전염의 가능성이 낮은 바이러스(에이즈)보다 전염의 가능성이 높은 바이러스(감기)를 더 경계해야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바이러스가 두려운 이유는 또 있다. 변이다. 바이러스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바이러스는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태인 미생물이라 할 수 있다. 생물은 자가복제를 할 수 있고, 무생물은 자가복제를 할 수 없다. 그런데 바이러스는 스스로는 자가복제를 할 수 없지만(무생물적 특징) 기생할 생명체(숙주)가 있다면 자가복제를 할 수 있다(생물적 특징). 이것이 바이러스를 생물과 무생물의 중간형태로 규정하는 이유다. 쉽게 말해, 바이러스는 특정한 생명체에 기생해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조건 때문에 바이러스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이 기생할 생명체(숙주)를 옮겨 다닐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자신을 끊임없이 복제하고 증식하면서 셀 수 없는 변이를 일으킨다.


 종종 잊고 살지만 감기는 불치병이다. 감기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나 감기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존재하지 않는다. (우리가 복용하고 있는 감기약은 모두 고통을 줄여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이는 바로 감기 바이러스의 변이 때문이다. 바이러스는 숙주를 끊임없이 옮겨 다니는 과정에서 무수히 많은 변이가 일어난다. 이 때문에 적절한 치료제와 백신을 개발하는 데 어려움이 크다. 이것 또한 바이러스가 두려운 이유다.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

     

 전염과 변이. 이것이 바이러스의 특성이자 바이러스를 경계해야 하는 이유이다. 그런 측면에서보자면 피해의식은 가장 경계해야 할 바이러스다. 의아하게 들릴지도 모르겠지만 피해의식은 강력한 바이러스다. 치명률은 낮지만 확산도는 높은 바이러스다. 피해의식은 치명률이 낮기에 대수롭지 않게 여겨서 전염되어도 그 스스로 깨닫지 못할 수 있다. 그 사이에 피해의식은 급격하게 확산되고 수 없는 변이를 일으키게 된다. 마치 감기처럼 말이다. 

       

 피해의식은 이런 바이러스처럼 작동한다. ‘도준’과 ‘원미’는 연인이다. ‘도준’은 관계에 대한 피해의식이 있다. 어떤 관계에 있든 자신이 관심 받지 못하고 소외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그 때문에 ‘도준’은 종종 열등감과 분노, 억울함에 휩싸였다. ‘도준’은 그 부정적 감정을 ‘원미’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쏟아내곤 했다.      

 

“어제 모임에서 사람들 왜 그러냐? 왜 나한테 관심 안 가져주고 자기들끼리만 웃고 떠들어?”
“어? 어제 사람들이 오빠 안부도 묻고 친절하게 대해주지 않았어?”
“너 지금 나한테 뭐가 문제가 있다고 말하는 거야?
“아니 그런 말이 아니잖아.”     


 ‘원미’는 ‘도준’을 만나는 동안 그의 피해의식에 노출되었다. 그 사이에 ‘원미’에게는 어떤 변화가 생겼을까? ‘원미’는 딱히 피해의식이 없는 사람이었다. 하지만 ‘도준’과 만나면서 기묘한 마음이 생기기 시작했다. “왜 나만 항상 오빠 감정배설을 듣고 있어야 해” ‘원미’는 점점 이런 생각에 잠식당해갔다. 그 후부터는 상태는 조금씩 더 심각해져갔다. “왜 나만 참고 살아야 돼?” 언젠가부터 ‘원미’는 ‘도준’ 뿐만 아니라 누구를 만나더라도 자신만 희생하고 살고 있는 마음이 들기 시작했다. 

     

 ‘원미’에게도 관계에 대한 피해의식이 생겼다. 어떤 관계를 맺더라도 자신만 희생하고 있다는 마음에 잠식당했다. 그 때문에 ‘원미’는 조금씩 관계에 대한 두려움과 무기력과 우울함에 휩싸이게 되었다. 밝고 긍정적이며 사람들을 만날 때 늘 미소를 짓던 원미는 어느 사이엔가 어둡고 부정적이며 잿빛 표정을 한 사람이 되어버렸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을까?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한 비유가 아니다. 피해의식은 바이러스다. ‘도준’과 ‘원미’의 관계가 이를 잘 보여준다. 



피해의식은 교감을 매개로 감염된다.

  

 바이러스의 특징은 전염과 변이다. 피해의식 역시 마찬가지다. 먼저 피해의식의 전염에 대해 이야기 해보자. 피해의식은 전염된다. 에이즈 바이러스가 ‘혈액’(혹은 정액)으로 전염되고, 감기 바이러스가 ‘비말’로 전염된다면,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는 ‘교감’으로 전염된다. 연인 사이는 깊은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관계다. 이것이 ‘원미’가 ‘도준’의 피해의식에 감염된 이유다. ‘원미’는 ‘도준’과 정서적으로 교감하고 싶었다. 하지만 바로 그 때문에 ‘원미’는 ‘도준’의 피해의식에 감염되었다. ‘원미’와 ‘도준’은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 사이였기 때문에 ‘도준’의 피해의식이 ‘원미’에게로 옮겨 갈 수밖에 없었다.


 이는 비단 ‘원미’만의 이야기이겠는가? “내가 맨날 무시당하는 건 집구석이 가난해서야!” “너는 날씬하잖아. 니가 내 마음을 어떻게 알아.” “결국은 학벌 좋은 애들끼리 다 해먹는 거야!” “남자들은 다 잠정적 성범죄자들이야!” “여자들이 자꾸 설쳐서 남자들 취업이 안 되는 거야!” 이처럼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 곁에 있어 본적 있는가? 가족이건, 친구이건, 연인이건, 이들과 마음을 나누려한 적이 있는 이들은 안다. 그들과 마음을 나누려고 하면 할수록 자신의 마음 역시 조금씩 음습해지고 뒤틀어져가고 있음을.

      

 피해의식 때문에 두려움‧분노‧열등감‧무기력‧억울함‧우울함에 시달리는 이과 정서적으로 교감하면 자신 역시 그런 부정적 마음들에 잠식당하게 된다. 이처럼, 피해의식은 교감을 매개로 감염된다. 이것이 피해의식의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정서적 교감을 나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사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누구와 정서적 교감을 나누는가? 둘도 없는 친구, 모든 것을 보여줄 수 있는 연인, 아끼는 자녀, 소중한 부모 등등이다. 이들은 모두 소중한 이들이다. 우리는 소중한 이들과 정서적 교감을 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가? 피해의식이라는 바이러스는 가장 소중한 이들부터 감염시킨다는 것이다. 만약 누군가 피해의식에 휩싸여 있다면, 그는 반드시 자신의 소중한 이들부터 감염시킨다. 물론 그는 이러한 사실을 자각하지 못한다. 피해의식은 자신을 보호하느라 타인을 신경 쓰지 못하는 상태이니까 말이다. ‘도준’의 피해의식 때문에 ‘원미’의 마음이 음습해지고 뒤틀어졌다는 사실을 꿈에 알지 못한다. 피해의식은 교감을 매개로 전염되기에 반드시 소중한 이들부터 감염시킨다. 

     


작가의 이전글 도움과 선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