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갑질과 피해의식 I

갑질사회

나의 ‘갑질’ 이야기


정신없이 직장생활을 할 때였다. 독일로 출장을 간 적이 있다. 현지인들과 긴 업무를 끝내고 저녁 식사를 하러 어느 식당엘 갔다. 온통 업무 생각으로 머릿속이 복잡한 채로 테이블에 앉았다. 그때 식당의 점원이 그릇을 던지듯이 내 앞에 놓는 것 아닌가? 함께 갔던 현지인들을 대하는 것과 나를 대하는 태도가 확연히 달랐다. 


 순간 화가 치밀었다. 동양인이라고 무시하는 건가? 돈이 없어서 보여서 무시를 당한 건가? 식사를 하는 동안 온갖 생각이 들어서 더욱 화가 났다. 식사를 마치 무렵 점원이 내게 왜 그런 무례한 행동을 했는지 알고 싶었다. 함께 갔던 현지인에게 물었다. 

     

“아까 점원이 왜 제게만 무례하게 행동한 거죠?”
“식당에 들어가실 때 점원에게 인사 안 해서 그랬을 거예요.” 

     

 망치로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다. 한국에 있을 때 내가 얼마나 많은 ‘갑질’을 하며 살았는지가 순식간에 떠올랐기 때문이었다. ‘갑질’이 무엇인가?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자가 상대방에게 오만하고 무례하게 구는 행동이다. 


 나는 왜 독일에서 점원에게 화가 났을까? 그녀가 무례한 행동을 해서? 그렇지 않다. 한국 사회에서 무의식적으로 학습된 나의 ‘갑질’ 근성 때문이었다. 한국 사회에서는 돈을 쓰는 자(손님)가 ‘갑’이고, 그 돈을 벌기 위해 일하는 자(점원)는 ‘을’이다. 그 ‘갑을’의 상하관계는 암묵적이지만 공고히 존재한다. 

     


‘갑질’ 사회

 하지만 정확히 말해, 점원과 손님은 상하관계가 아니다. 동등한 관계다. 그저 점원은 돈을 받고 서빙을 하고, 손님은 돈을 내고 음식을 사먹는 관계일 뿐이다. 점원이 웃으며 친절하게 손님을 대하면 좋겠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점원의 선택일 뿐이다. 함께 갔던 현지인들은 모두 웃으며 점원의 인사에 응답해주었지만 나는 그러지 않았다. 


 바쁜 업무 때문에 '그러지 못했다'고 말할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변명일 뿐이다. 내가 돈내고 밥 먹는 곳에서 그럴 필요가 없었서 그러지 않았을 뿐이니까 말이다. 있는 그대로 말하자. 나는 점원을 동등한 인격체로 대우하지 않았다. 그러니 점원이 나에게 웃으며 친절을 베풀 이유는 없다. 내가 그랬듯, 점원도 그저 자신이 할 일만 하면 된다. 

     

 그리고 돌아보면, 점원은 내게 특별히 무례하게 행동한 것도 아니었다. 그 점원은 점원으로서 해야 할 일을 다 했으니까 말이다. 내가 그것을 무례로 느낀 것은 한국 사회의 점원들의 과도한 감정노동 문화에 익숙해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한국은 ‘갑질’이 만연한 사회다. 사회‧경제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되면, 상대에게 무리한 요구를 하거나 오만하게 무례하게 구는 것이 일상이 된 사회다.

      

 우리는 어떤 사회에 살고 있을까? 항공사 소유주(정확히는 소유주의 딸)가 기내에서 땅콩을 봉지 채 가져왔다는 이유로 비행기를 돌려세워 승무원을 하차 시키는 사회다. 그뿐인가?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부당하고 무리한 것들을 아무런 거리낌 없이 요구한다. 직장에서 상사가 부하 직원에게 사적인 일들을 부탁하는 일은 얼마나 흔한가. 백화점에서 점원이 자신의 비위를 맞춰주지 않으면 짜증을 내는 손님들은 얼마나 많던가. 식당에서 점원이 웃으며 친절히 대하지 않으면 화를 내는 손님들이 얼마나 많던가. 우리는 이런 부조리한 사회를 일상이라 부르면 산다. 


 

자기방어의 세 가지 마음

     

 이런 ‘갑질’ 문화는 왜 생겼을까? 자본만능주의 때문인가? 즉, 돈이 많은 자가 ‘갑’이 되고, 돈이 없는 자가 ‘을’이 되는 것이 당연시 되는 사회적 분위기 때문인가? 이는 피상적인 이유일 뿐이다. ‘갑질’ 문화는 근본적으로 피해의식 때문에 발생한다. ‘갑질’과 ‘피해의식’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까? 피해의식은 과도한 자기방어의 마음이다. 이 과도한 자기방어의 마음은 뒤틀어진 형식으로 나타나곤 한다.

      

 자기방어는 기본적으로 살려는 마음이다. 이 자기방어의 마음에는 세 가지가 있다. ‘같이 살려는 마음’ ‘혼자 살려는 마음’ ‘같이 죽으려는 마음’ 이 세 가지 자기방어의 마음은 피해의식과 관계되어 있다. ‘같이 살려는 마음’은 피해의식이 거의 없는 마음이다. ‘혼자 살려는 마음’은 피해의식은 덜한 마음이고, ‘같이 죽으려는 마음’은 피해의식이 심한 마음이다.

       

  성적에 대한 피해의식을 예로 들어보자. A, B ,C 세 사람이 있다. A는 성적에 대한 피해의식이 거의 없고, B는 피해의식이 덜하고, C는 이 피해의식이 심하다. 이 세 명 모두 자기방어의 마음이 있다. 하지만 이 자기방어의 마음이 나타나는 양상은 현격하게 다르다. 


 피해의식이 거의 없는 A부터 말해보자. A는 자기 성적만 신경 쓰는 게 아니라, 친구들 역시 성적이 오를 수 있게 진심으로 도와준다. 이것이 피해의식이 없을 때의 ‘같이 살려는 마음’이다. 피해의식이 덜한 B는 어떨까? 혼자서 열심히 공부해서 성적을 올리려고 하지만 친구들을 도와주지 않는다. 이것이 피해의식이 덜 할 때의 ‘혼자 살려는 마음’이다.


      

 그렇다면 피해의식이 심한 C는 어떨까? 자신도 공부하지 않으면서 모두 성적이 떨어지기를 은근히 바라는 마음을 갖거나 혹은 주변 친구들을 공부 못하게 방해할 수도 있다. 이것이 피해의식이 심할 때의 ‘같이 죽으려는 마음’이다. 의아할 수 있다. ‘같이 죽으려는 마음’이 왜 자기방어의 마음인가? 피해의식의 낳는 치명적 감정이 있다. 


 바로 억울함이다.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은 자신만 억울한 삶을 살고 있다고 여긴다. 그 억울함 때문에 삶이 파괴된다. 이런 이들의 자기방어는 억울하고 싶지 않은 마음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억울함 때문에 삶이 파괴되고 있으니, 그 억울함을 제거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억울하지 않을 수 있을까? 자신만 성적 때문에 상처받았다고 여기는 이는 어떻게 그 억울함으로부터 벗어나려 할까?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자신 역시 우등생이 되거나, 모두가 열등생이 되거나. 전자는 피해의식이 덜 할 때의 자기방어의 마음이고, 후자는 피해의식이 심할 때 자기방어의 마음이다. 후자는 분명 어리석은 마음이지만,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의 마음 안에서는 정합적이다. 그들은 억울하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다 같이 성적이 떨어지는 것은 자신을 방어하는 일이다. 그때 억울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억울함은 나만 상처받고 있다는 마음으로부터 오니까 말이다. 피해의식이 심해지면, 자신이 상처 받았기 때문에 모두가 그 상처를 받기를 바라는 뒤틀린 마음에 잠식당하게 된다.      

작가의 이전글 슬픈 공동체의 원인, 피해의식 III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