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영추 May 18. 2023

'진흙과 통나무'와 '뚫린 귀'

기억 속 이야기 2

군에서 제대하고 복학한 후 학과소식지를 발간하는 일을 맡아서 했는데 제호가 ‘진흙과 통나무’였다. 명맥이 끊긴 지 한참 된 학과소식지를 다시 발간하기로 하면서 제호를 고민하던 중 당시 최고학번이던 선배가 지어준 것이었다. 제호를 전해 들은 후배들은 진흙과 통나무가 문창과와 혹은 문학과 무슨 연관이 있느냐며 고개를 갸우뚱거렸다. 제호를 지은 선배가 직접 그 의미를 밝힌 글을 창간호에 투고하여 논란을 잠재웠는데, 우리가 쓰는 글이 진흙과 통나무처럼 여러 모로 쓸모 있고 세상에 꼭 필요한 것이어야 한다는 의미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오래된 스크랩북에 단 한 권의 ‘진흙과 통나무’ 원본이 남아있는데 그 안에 나와 가장 친하게 지냈던 친구가 쓴 글이 실려 있다. 지금은 시골에서 경찰 노릇을 하며 평범하게 살고 있는 친구인데, 학창 시절 그는 광적인 음악 애호가였다. 중고등학교 시절부터 꾸준히 음악을 들어서 팝송 가사로 영어공부를 했다는 그의 자취방에는 그동안 수집한 LP와 카세트테이프가 책장 가득 꽂혀 있었다. 내가 놀러 가면 턴테이블에 여러 장의 LP판을 갈아 끼워가며 자신이 좋아하는 노래를 들려주곤 했는데, 사실 나는 그때까지 음악 특히 팝송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어서 별 감흥을 느끼지 못했다(그가 틀어준 노래 중에서 좋아하고 부르기까지 한 팝송 그것도 프로그레시브 메탈이 있었으니, 그 이야기는 다음에 이어진다).


친구는 음악을 좋아하는 몇몇 선후배들과 함께 음악 감상 모임을 만들었는데 그 동아리의 이름은 ‘뚫린 귀’였다. 전임교수 한 분이 음악을 좋아하셔서 연구실에 소위 하이엔드 음향장비를 갖추고 있었고, 친구가 교수님의 허락을 받아 저녁시간에 그곳에 모여 같이 음악을 듣는 동아리를 만들었던 것이다. ‘진흙과 통나무’에 실린 친구의 글에 바로 그 ‘뚫린 귀’의 취지가 담겨 있다.


[… 혹시 여러분들은 뚫린 귀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지. 뚫린 귀는 문창과 내의 음악 동호인 집단이다. 지난주에 가진 첫 모임에서 우리는 모임의 취지를 넓은 음악적 이해와 그 이해를 통한 오지랖 넓히기라고 잠정 합의하였다. 일단 형식적으로 그런 목표를 제시했지만 구성원들은 제각각의 의미를 부여했을 거라 여겨진다. 뚫린 귀는 결코 전문적 음악 모임이 아니며 또한 그래서도 안 된다. 소리에 대해 귀 기울이는 자세를 습득하고 그 소리로 우리 주변을 둘러보고 이해하며 비판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을 것 같다. 현재적 삶에 충실하기란 어떤 걸 통해서도 가능하리라. 음악을 통해서 엿보는 세상도 독특한 의미를 가질 거라 확신한다. 우리는 장르에 구애받지 않으려 한다. 크게 ROCK, JAZZ, 한국 음악으로 삼분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더욱 세분화할 생각이다. 그동안 ROCK과 JAZZ가 한국 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비쳤는지는 결코 중요치 않다. 외형적으로 그것들은 부정적 시각으로 싸여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각은 철저히 제도권적이고 보수적인 것이었음을 이 자리를 빌려 반박하고 싶다. 우리는 사회 속에서의 음악(대중음악이 주류를 이룰 것이다)의 역할과 의미를 돌이켜 생각해 볼 것이다. 쾌락과 안락의 도구로서, 대중문화 산업의 병폐적 상업주의의 일환으로서, 정치에의 무관심을 조장하는 수단으로써 작용했을 법한 음악을 제 위치에 복귀시킬 것을 과제로 삼을 것이다.…] 

- 진흙과 통나무,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모임의 취지와 방향이 그대로 드러나는 명문이다. 주로 듣고 부르던 노래가 민중가요이고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서태지와아이들의 노래를 아는 학생이 몇 안 됐던 문창과에서, 서양에서 유행한 록과 재즈를 듣는 ‘뚫린 귀’가 아웃사이더들의 모임으로 치부되는 데 대한 섭섭함이 묻어나기도 한다. 나에게는 문학이든 음악이든 그것을 통해 세상을 보고 세상을 해석하고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말로 들린다. 그들은 일주일에 한두 번 교수님 방에서 각자 선별해 온 음악을 함께 들으며 모임을 이어나갔다. 친구가 몇 번이나 ‘뚫린 귀’에 초대했지만 나는 ‘진흙과 통나무’를 만들어야 한다는 핑계로 가지 않았다. 두 이름 모두 곱씹어볼수록 그 의미가 살아나는 기가 막힌 작명이다.

작가의 이전글 이과 재수생의 문예창작학과 입성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