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코스트를 추모하는 예술
편견과 혐오가 빚어낸 인류 대학살의 비극, 홀로코스트. 홀로코스트는 2차 세계대전 중 나치가 저지른 대학살을 의미한다. 나치의 광적인 반유대주의는 600만 명의 유대인이 학살당하는 참담한 결과를 일으켰을 정도로 이 사건은 범지구적 현대사에서 벌어진 최악의 역사로도 손꼽힌다.
20세기 역사에서 인류가 가장 부끄럽게 여기는 참혹한 범죄에 대해 가해국들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참회를 지속해오고 있다. 전쟁 보상금, 치열한 역사 교육을 통해 지속해서 반성에 대한 메시지를 전해오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유독 내 눈을 사로잡은 건 ‘예술’을 통해 역사를 반성하고 복기하는 그들만의 방식이었다.
슈톨퍼스타인은 독일의 프라이브루크 동네 길가에 박혀있는 10 * 10cm 크기의 작고 네모난 놋쇠 동판이다. 여느 때처럼 평범하게 길을 걷다 돌부리에 발이 채여 그 동판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누군가의 이름들이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동판 안에 새겨진 이름의 주인공은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의해 살해된 유대인들로, 해당 동판이 박힌 곳은 바로 그들이 살았던 집 앞이였던 것이다.
슈톨퍼스타인, 즉 걸림돌들은 독일의 설치 작가이자 행위 예술가인 군터 뎀니히가 지난 1993년부터 제작하기 시작한 예술 프로젝트다. 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에 의해 희생된 유대인들을 기억하고 추모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베를린 시내에만 7천여 개가 설치되었고, 독일 뿐 아니라 오스트리아와 우크라이나 등 유럽을 포함한 전 세계 20개국에 6만 개가 넘는 동판이 설치되었다고 한다.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을 살펴보면 시민들이 힘을 합쳐 자발적으로 진행됐다는 게 우리의 마음을 울린다. 개당 120유로 남짓이 드는 제작 비용은 모두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충당되었고, 그뿐만 아니라 이스라엘에 예루살렘에 있는 홀로코스트 박물관 <야드 바셈>은 희생된 유대인들의 주소록과 같은 주요 자료를 프로젝트 관계자들에게 제공했다. 수많은 독일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자료 정리를 돕기도 하고, 현재까지도 시민단체들은 슈톨퍼스타인의 청소와 유지 관리를 주기적으로 담당하고 있을 정도로 길거리 곳곳에 새겨진 걸림돌은 시민들의 반성하는 의지가 담긴 의미 있는 조형물로 자리를 잡게 되었다.
‘알쓸신잡 3’ 덕분에 슈톨퍼스타인이 나오면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이라는 개념이 뒤이어 언급된다. 그가 제시한 악의 평범성이란 나치에 의한 홀로코스트는 광신도나 반사회적 성격 장애자가 아닌 상부의 명령에 순응한 지극히 평범한 사람들에 의해 자행되었음을 내포한다. 즉 악의 평범성의 골자는 평범한 사람들도 악을 저지를 수 있다는 것이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우생학을 외치고 유대인을 학살했던 사람들 역시 특별하게 악한 이들에 의해서가 아닌 평범한 독일인들에게서 발발했다. 사람 어딘가에 내재된 '악'을 억제하기 위해서, 우리의 과오를 한 번 더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를 슈톨퍼스타인이라는 걸림돌이 그 역할을 해주고 있던 셈이다.
<다뉴브강의 신발>은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뉴브강 머르기르트 다리와 세체니 다리 사이에 설치된 조형물이다. 해당 작품은 영화감독 캔 토거이와 조각가 퍼우에르 줄러가 제작한 60쌍의 신발 모양을 띤 조형물이다. 얼핏 보면 강가 근처에 놓인 버려진 신발들 같지만, 이 60켤레의 신발에는 유대인들의 비극적인 역사가 담겨있었다.
당시 부다페스트에는 히틀러를 추종하는 나치즘 성향의 헝가리 민병대 Arrow Cross가 있었다. 이들은 나치에 버금갈 정도로 유대인 학살에 적극적으로 가담했던 악명 높은 단체 중 하나였다. 이들이 행한 일 중 가장 끔찍했던 학살은 다뉴브강 변에 유대인들을 세워두고 신발을 벗게 하여 총을 쏘고, 산 채로 강 아래에 밀어버리는 방법이었다. 학자들은 당시 2만여 명의 유대인이 다뉴브 강가에서 학살되었을 것으로 추종하고 있다.
실제로 설치된 작품들을 살펴보면 여성의 구두, 남성의 부츠, 아이의 신발까지 다양한 신발 조형물이 강가를 따라 놓여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나이, 성별, 직업에 관계없이 다뉴브강에 선 이들이 아무도 살아남지 못했다는 것을 실제 크기와 디테일을 담은 신발들을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은 역사에 대한 독일인들 속죄의 뜻이 담긴 대표적 장소일 뿐만 아니라 건축적으로도 여러모로 의미가 있는 곳이다. 2001년 9월에 정식 오픈한 이곳은 오늘날 베를린에서 가장 인기 있는 방문지로 꼽힐 정도로 세계적인 명소로 부상했다.
박물관 건물은 나치의 대학살로 희생된 수백만 유대인의 비극적 역사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치들로 가득하다. 건물의 지그재그형 구조는 유대인의 표식인 '다윗의 별'이 부러진 모양이며, 구부러진 건축은 관람객들에게는 복잡하고 긴 동선을 제공하며 해당 공간 내에서 유대인의 비극을 경험할 수 있는 통로들로 유도한다.
복잡한 동선을 통해 내부를 걷다 보면 박물관 2층에 있는 ‘공백의 기억’이라는 공간을 마주한다. 관람객들은 이곳을 통과하며 노출 콘크리트의 벽이 높이 서 있는 기다란 공간 밑에 깔린 <샬레헤트>라는 작품을 걷게 된다.
이 작품은 이스라엘의 조각가 메나슈 카디슈만의 작품으로 쇠로 만든 얼굴 조각 1만개를 바닥에 깔아둔 것이다. 제작자인 카디슈만은 이 작품은 대학살 기간에 희생당한 유대인뿐만 아니라 폭력과 전쟁으로 사망한 모든 이들을 기리며 만들었다고 한다. 이 조각들은 각기 다른 크기를 지닌 것들인데, 그 표정은 한결같이 불행과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듯한 불쾌한 기운을 띠고 있다.
실제로 사람들이 그 위를 지나가면 쇠로 만든 얼굴이 서로 부딪치며 삐걱거리며 흐느끼는 것만 같은 괴상한 소리를 들을 수밖에 없게 된다. 감옥과도 같은 공간에서 소름 끼치는 소리를 들으며 조각 위를 걷는 사람들은 인권이 유린당한 채 죽음을 기다리는 이들의 불안과 공포를 상상할 수 있다.
일상 속에서 눈에 계속해서 밟히는 돌 무리, 강가에 놓인 저마다의 사연이 있는 신발들, 그리고 시각과 청각, 촉각을 동원해 느낄 수 있는 쇳조각들까지. 예술의 힘은, 우리의 생각보다 강력할지도 모른다. 다양한 예술적 방식을 빌려 그들의 잘못에 진심 어린 반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사실이, 비록 비극적인 역사였지만 어딘가 우리의 마음을 따듯하게 위로해주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그것은 일어난 일이다. 그러므로 다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다',
이 점이 우리가 꼭 말해야 하는 핵심이다.
아우슈비츠로 끌려갔지만 살아남은 프리모 레비라는 유대인의 말을 빌려 이번 글을 마무리해본다. 예술로써 과거를 반성하고, 예술로써 미래를 다짐하는 그들만의 방식을 보며 조금 더 밝은 우리들의 역사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