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 파트너 이석재 Sep 22. 2020

정체성에 대한 단상

자기 인식을 일깨우자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 환경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선을 가지고 있다.  일상에서 시선의 중요성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는 취업 후 받는 오리엔테이션 교육이다. 개인과 조직의 시선을 한 방향으로 조율하는 학습 활동이다. 시선의 조율이 잘 이루어지면, 소속감과 일에 대한 주인의식이 높고 일에 대한 몰입이 촉진된다. 시선이 조율되지 않으면, 응집력이 떨어지고 작은 인식의 차이도 갈등이 되기 쉽다. 시선은 정체성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정체성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해 설명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시선을 정체성과 연관 지어 살펴본다.


두 개의 정체성에 대한 개인차


  심리학을 태동시킨 윌리엄 제임스는 자기를 자신의 내면과 성향의 주체인 영적 자기와 타인으로부터 인지되는 사회적 자기로 구분했다. 이후 융이나 매슬로우 같은 심리학자는 개인의 독특성을 내면 깊이 탐색할 때 진정한 자기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달리 사빈이나 쿨리와 같은 사회학자들은 정체성을 사회적으로 생성되고 부여된 개념으로 보았다. 두 분야의 학자들은 사람의 행동을 이해하는 데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 중에 어느 것이 더 중요한지에 대해 연구했다. 이후 연구에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의 중요성과 가치를 지각하는 데 있어서 개인차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어떤 사람은 내적 자아를 가장 참된 것이며 자연적인 것으로 보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인지되고 제도적으로 승인되는 외적 자아를 가장 자기를 표현하는 것으로 본다.


자기 제시에 내재된 두 가지 심리


  사람들은 자신이 원하는 정체성을 이룰 목적으로 자기를 드러낸다. 사회심리학자들은 이러한 행동을 광의적으로 인상관리라고 한다. 자기 제시는 구체적인 한 방식이다. 타인이 지각하기를 바라는 이미지에 맞게 자기를 표현하는 스킬을 자기 제시 책략이라고 한다. 1996년 나는 사람들이 자기 제시 책략을 사용하는 심리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여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구조방정식(LISREL)을 통해 자기 제시의 심리를 분석한 결과, 방어적 자기 제시와 구성적 자기 제시가 기본적인 심리로 나타났다. 방어적 자기 제시는 자기 정체성이 위협받거나 손상당할 수 있을 때, 자기 정체성을 보호하려는 변명, 정당화, 사전 해명, 사과 같은 행동을 하는 심리이다. 구성적 자기 제시는 자기 정체성을 만들려는 환심, 위협, 간정, 권리 주장 같은 행동을 하는 심리이다. 이들 두 가지 심리, 즉 방어와 구성은 미국인과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후 이 척도를 활용한 중국, 말레이시아 등의 아시아 지역 연구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우리의 사회문화적 행동에는 체면이 자기 제시의 한 형태이다. 사회적 관계 형성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대인관계 양식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2001년 나는 체면 지향 행동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한 후 체면 행동의 심리기제를 분석하고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했다. 자기 제시에서 나타난 심리와 같이 체면 지향 행동에도 방어 심리와 구성 심리가 행동의 근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구상하고 만들려는 동기에 자기 제시에 작동하는 구성 심리와 체면 지향 행동에 내재한 구성 심리가 작용한다. 사회적 체면을 구성하는 심리, 자기 정체성을 만들려는 심리와 구성적 삶을 만들려는 동기는 모두 목적 지향이다. 원하는 정체성을 추구하고 목적 있는 삶을 추구하는 심리이다.


정체성에 대한 이해 필요


  “당신의 시선은 어디를 향하고 있습니까?” 시선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는 사람들이 자기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이나 환경을 볼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사회적으로 인정받고 내적 정체성에 관심을 두는 사람은 자신의 성향이나 자신이 존중하는 내적 가치에 따른 사회적 행동을 한다. 반면 사회적 정체성에 관심을 두는 사람은 사회적 환경의 압박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특히 근심과 염려가 큰 경우, 더 민감하다. 타인이나 사회에 불안 요소가 많고 자기 이미지에 위협이 될 때, 시선을 어디에 두는 사람인가에 따라서 다르게 대응한다. 사회적 정체성에 시선을 두고 있는 사람은 자존감에 대한 사회적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반면 개인적 정체성에 시선을 두고 있는 사람은 사회적 위협에 내적인 완충 장치를 갖고 대응한다. 자기 방어기제가 대표적인 완충 장치이다.


  사람들은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의 균형적 관리에 관심이 많다. 그러나 사람들은 다양한 피드백을 주위로부터 받지만, 그 정보들이 의미하고 시사하는 바에 대해 전문가로부터 깊이 있는 해석을 받기 쉽지 않다. 조직의 리더들은 자기 자신의 리더십에 대해 피드백을 받아 보지만, 대개 일부 발췌된 정보가 공유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자신의 위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지 못한다.


  리더의 정체성에 대한 인식은 진성 리더십의 중요한 주제이다. 진정한 자기와의 만남에 있어, 진정한 자기가 누구인가를 정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정체성의 성숙과정에서 보면, 통합된 정체성이 자기를 정의하는 완성된 모습이다.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혼재해 있을 때, 일터에서 리더의 진정성은 다른 사람에 의해 올바르게 지각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국내에 외국인의 사회 참여가 늘어나면서 사람들은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인재들과 일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문화 정체성을 하나의 통합된 정체성으로 성숙시킨 리더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구성원에 대한 인사평가를 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 글로벌화가 촉진되면서 큰 시각에서 보면, 통합된 정체성은 조직이 필요로 하는 인재 특성이 될 것이다.




작가의 이전글 생애 첫 방사선 치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