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 파트너 이석재 Jan 08. 2021

글쓰기에 적합한 심리상태

떠도는 마음 사용법

글은 감정에 휘둘려 있을 때보다 그 감정을 객관적으로 바라다볼 수 있을 때 쓰는 것이 더 좋다. 그 감정에 대한 의미 탐구가 더 풍성하고 깊게 이루어진다. 그때 자기 자신만의 것이 아니라 독자도 공감할 수 영역을 터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독백을 공감 대화로 바꾸는 것이다. 


  처음 글을 쓸 때는 감정이 고조된 상태를 좋아했다. '흔히 시상이 떠오른다'라고 말하는 것처럼 말이다. 그래서 글감이 있다고 생각할 때 곧바로 글을 쓰려고 애썼다. 글을 쓸 수 없으면 무력감을 느끼기도 했다. 내면의 감성을 글로 풀어내는 능력이 부족하다고도 생각했다. 감정이 고조된 상태를 놓치면 안 된다.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그러나 감정의 고조는 이성을 제한한다. 관점이 좁고 통찰이 제한적이다. 이때 저지르는 또 다른 실수는 바로 자신의 생각에 묶이는 것이다. 감정이 불러오는 감성적 대화와 그 순간 체험된 통찰을 의미 있게 생각한다. 때로는 삶에서 엄청난 비밀을 발견한 것 같다. 글로 옮기고 싶다는 충동이 커진다. 자신의 글을 널리 알리고 싶은 경우에도 이러한 자기 논리에 묶이기 쉽다. 


  감정만으로 글을 쓸 수 없다. 그래서 감정이 휘몰아칠 때 글을 쓴다기보다 감정이나 단상을 메모한다. 감정의 폭풍이 지나간 이후 메모를 꺼내 든다. 그리고 자문해 본다. "이 메모가 말하려는 것은 무엇인가?" 이제 떠오르는 생각들을 글로 옮긴다.




작가의 이전글 떠도는 마음 사용법, 집필 단상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