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수필
모던수필이라는 책이 있다.
우리나라 근대 수필의 모음집이다. 담배를 피우고 있는데, 문득 그 수필집의 글 중 하나가 생각이 나서 적어 본다.
꽃송이 같은 첫눈 – 강경애
오늘은 아침부터 해가 안 나는지 마치 촛불을 켜대는 것처럼 발갛게 피어오르던 우리 방 앞문이 종일 컴컴했다. 그리고 이따금씩 문풍지가 우룽룽 우룽룽 했다. 잔기침 소리가 나며 마을 갔던 어머니가 들어오신다.
“어머니, 어디 갔댔어?”
바느질하던 손을 멈추고 어머니를 쳐다보았다. 치마폭에 풍겨 들어온 산뜻한 찬 공기며 발개진 코끝.
“에이, 춥다.”
어머니는 화로를 마주앉으며 부저로 손끝이 발개지도록 불을 헤치신다.
“잔칫집에 갔댔다.”
“응. 잔치 잘해?”
“잘하더구나.”
“색시 고와?”
“쓸 만하더라.”
무심히 나는 어머님의 머리를 쳐다보니 물방울이 방울방울 서렸다.
“비 와요?”
“비는 왜, 눈이 오는데.”
“눈? 벌써 눈이 와. 어디.”
어린애처럼 뛰어 일어나자 손끝이 따끔해서 굽어보니 바늘이 반짝 빛났다.
“에그,, 아파라, 고놈의 바늘.”
나는 이렇게 중얼거리며 옥양목 오라기로 손끝을 동이고 밖으로 뛰어나갔다. 하늘은 보이지 않고 눈송이로 뽀하다. 그리고 새로 한 수숫대 바자갈피에는 눈이 한 줌이나 두 줌이나 되어 보이도록 쌓인다. 보슬보슬 눈이 내린다. 마치 내 가슴속가지도 눈이 내리는 듯했다. 그리고 나는 듯 마는 듯한 냄새가 나의 코끝을 깨끗하게 한다. 무심히 나는 손끝을 굽어보았다. 하얀 옥양목 위에 발갛게 피가 배었다.
‘너는 언제까지나 바늘과만 싸우려느냐?’
이런 질문이 나도 모르게 내 입속에서 굴러 떨어졌다. 나는 싸늘한 대문에 몸을 기대고 어디를 특별히 바라보는 것도 없이 언제까지나 움직이지 않았다. 꽃송이 같은 눈은 떨어진다, 떨어진다.
『신동아』, 1932. 12
너는 언제까지나 바늘과만 싸우려느냐? 라는 문장은, 그릇의 성격만 있고 내용은 채워지지 않은 상태로 독자에게 전하는 선물 같다. 가끔씩 이 그릇이 생각이 날 때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