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nho Nov 01. 2023

공부를 게임 만큼 중독성 있게 만드는 방법

듀오링고 창업자 루이스 폰 안 이야기

듀오링고: 수업 빼먹으면 어떻게 되는지 알지? 방법앱: 주거 침입이 감지되었습니다.

얼마전부터 일본어 공부를 하고 있다.

일본은 여행으로 돌아다니는 것도 좋아하고, 음식도 입에 잘 맞는다.

함께 살고 있는 사람이 현지인만큼 말을 할 수 있으니 좋은 스승도 곁에 있다.

더 이상 공부를 미룰 수 없다며 얼마전 듀오링고를 깔아서 시작해보았다.

한달이 지난 지금 글자를 거의 다 읽을 수 있게 되었고,

동거인에게 대화도 시도해 볼 수 있게 되었다.


얼마전에 공부를 게임 만큼 중독성 있게 만드는 방법이라는 제목에 이끌려 TED 영상을 보았다.

발표자가 듀오링고공동 창업자 Luis Von Ahn였다.

새로운 언어와 친숙해지는데 큰 도움을 받았다고 생각했는데,

반복 학습으로 배울 수 있는 언어의 특징을 앱으로 만들기 위한 고민이 느껴졌다.

(무엇보다 몇 번이나 웃음을 자아내는 발표 기술에 감탄했다)


아직 번역이 되어있지 않아 요약을 남겨본다.

번역은 매끄럽지 않습니다.




나(Luis Von Ahn)는 과테말라에서 태어났음

과테말라는 멕시코 바로 아래에 있음.

미국이 멕시코의 불법 이민자들을 싫어하듯, 멕시코는 과테말라의 불법 이민자를 싫어함. 그만큼 과테말라는 작은 저소득 국가.

(여기까지 1분도 안되는 시간 동안 관객의 웃음을 자아낸 지점이 4번이나 있었음)


많은 사람들이 교육의 불평등에 이야기 함. 하지만 돈이 많을수록 더 좋은 교육을 받고, 평등은 이뤄지지 않음. 저소득 국가는 돈이 없고 교육이 부족하고 이런 현상이 계속 반복됨.

나의 집은 돈이 많지 않았음. 하지만 미혼모였던 엄마가 모든 자원을 자기의 교육에 투자했음. 그래서 미국으로 대학을 올 수 있었고, Computer Science 전공으로 PhD를 받음.

카네기 멜론에서 교수를 하고 있던 10년 전(2011년), 이걸 해결해야겠다고 결심함. 교육의 평등화를 이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음.

어떤 교육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지 고민하던 중 ‘제2 외국어’를 하기로 함.


왜?

1. 학생수가 가장 많음. 20억명의 사람들이 학교에서, 그리고 학교 밖에서 언어를 배우고 있음. 그 중 80%가 영어를 배우고 있음.

2. 수입 증가 확률이 가장 쉽게 늘어남. 수학이나 CS를 가르친다고 수입이 바로 늘어나지 않음. 하지만 가진 능력에 영어를 더하면 무조건 수입이 늘어날 수 있음(영어를 할 줄 아는 웨이터를 상상해보세요).


온세상에 학교를 세우는 것은 쉽지 않음.

하지만 거의 모든 사람들은 이제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음.

그래서 회사를 차림.

회사 이름은 Duolingo임.


듀오링고는 Freemium 모델임. 돈을 내지 않고도 모든 교육을 들을 수 있음.

하지만 돈을 내지 않으면 광고가 나옴.

광고를 끄기 위해서는 돈을 지불해야 함.

듀오링고의 수입 대부분은 광고를 끄는 비용(멤버십)에서 나오고 있음.

돈을 지불하는 사람들은 보통 선진국에 살고 있음.

돈을 지불하지 않는(광고를 보는) 사람들은 보통 비선진국에 살고 있음.

어떤 면에서 듀오링고는 BM만으로 부의 재배치를 이뤄내고 있음.


스마트폰은 중독성이 강함.

스마트폰으로 교육을 하겠다는 건 디저트 옆에 브로콜리를 먹기를 바라는 것과 같음.

교육을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으로는 불충분함.

정말로 배우고 싶게 만들어야 함.


듀오링고에서는 브로콜리(교육)를 디저트(소셜미디어, 게임)만큼 맛있게 만들기 위해 노력했음.

1. Streak(연속 기록): Streak가 이어졌는지를 가장 잘 보이게 두고 기록이 깨지지 않도록 함. 듀오링고는 365일 이상의 기록을 가진 3백만명의 DAU가 있음. 가장 긴 평균 기록을 가진 나라는? 일본. 가장 짧은 평균 기록을 가진 나라는? 라틴 아메리카(But, hey. We’re fun).

2. Notification: AI 시스템으로 언제 또 어떤 문구로 보내야 할지 알고리즘을 만들었음. 그렇게 수백만 달러를 들인 알고리듬이 알아낸 최적의 타이밍은? 앱을 사용한 뒤 24시간이 지났을 때임. 오후 3시에 시간이 났던 사람은 다음날도 오후 3시에 시간이 날 확률이 높음. 하지만 듀오링고에서는 7일동안 사용하지 않았으면 더 이상 노티피케이션을 보내지 않음. 마지막으로 “리마인더가 더 이상 당신에게 의미가 없나 보네요. 지금부터는 그만 보낼게요(These reminders don’t seem to be working. We’ll stop sending them for now).”라고 보낼뿐임. 근데 그러면 사람들이 다시 돌아옴. Passive aggressive works.       


소셜 미디어나 게임에서 얻는 '즐거움'이 100이라고 한다면, 교육을 통해서 얻는 즐거움은 '80'이어도 충분함.

20은 내적 동기 부여로 채워지기 때문.


그러니까 오늘도 공부하세요!



매거진의 이전글 자기 자신에게 이메일 보내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