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동혁 건축가 Mar 19. 2016

서울 떠나 많이 옮겨 간 수도권 지역은?

전원주택 인허가 = 서울지역 전출자 선호지역?

출발


안녕하세요. 이동혁 건축매니저 입니다.^^

어느순간 저의 첫 멘트가 저의 마스코트가 되어버린 것 같네요.

오늘은 일이 많아서 늦은 시간에 글을 적고 있는데 창문을 열고 글을 적는데도 춥다는 느낌이 안 드네요. 현재 날씨를 보니 새벽 1시 40분인데... 영상 10도네요.^^;

어쩐지 따뜻한 느낌이더라구요. 에고... 사설이 길었네요.

오늘 들려드릴 이야기는 건축에 대한 머리아픈 이야기 보다는 조금 재미있는 통계치를 보여드릴까 합니다.

어떤 통계일까요?^^; 

저와 같이 출발해보면 아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자 출발합니다.^^

*읽고 난 다음에는 위의 하트모양 라이킷과 공유 꾹 눌러주세용~^^


오늘 일정을 마무리하고 주택과 관련된 글들을 쭉 읽어보던 중 재미있는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다음 1boon의 '리얼캐스트' 에서 올려주신 글이었는데요.

글 제목이 '서울 엑소더스 심화, 많이 옮겨 간 수도권 지역 TOP10' 이었습니다.

주소 :  http://1boon.kakao.com/realcast/rc34 

위에 주소를 남겨드리니 혹시 원본을 보시고 싶으신 분들은 한번 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글을 쭉 읽고 나니 문득 드는 생각 하나가 있었습니다. 제가 2년전부터 전국 전원주택 인허가 건과 지역별 문의에 대한 데이터를 쭉 모아놓고 있었는데 신기하게도 비교해보니 위의 통계치과 비슷하게 맞아 떨어지는 것이었습니다.(물론 완벽하게 맞아떨어진 건 아닙니다. 아마 제 데이터가 부정확할 확률이 크겠지요. ㅠㅠ)


이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사람들이 많이 찾아가는 곳은 그만큼의 이유가 있고 혹 아직 전원주택을 지을 땅을 못 고르신 분들은 이번 통계 데이터를 보면서 아 사람들은 이러한 이유때문에 이런 곳으로 옮겨가는 구나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분명 많은 도움이 되실꺼라 생각합니다.^^


자 그럼 하나씩 보도록 하겠습니다.

'리얼캐스트'에서 올려주신 본문 내용이 너무 훌륭하기 때문에 별도의 살은 붙이지 않고 최종 결과부분에서 코멘트와 정리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미지 및 정보 데이터 원본 출처 : http://1boon.kakao.com/realcast/rc34 


어떠신가요? 혹 "아 나도 이 지역으로 옮겨갈려고 했는데!!" 라고 생각하신 적은 없으신가요?

요즘 전화로 "땅을 구입하고 싶은데 보통 다른 건축주들은 어디땅을 많이 사나요?" 라는 물음을 많이 하십니다. 

솔직히 저는 건축쟁이이다보니 땅에 대한 정보는 많이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무작정 모르겠다고 할 수 없으니 그동안의 상담 데이터와 인허가 데이터를 종합하여 "네 요즘은 어디어디 지역이 문의가 많고 많은 인허가 건이 진행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로는 어떠어떠한 이유가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정도로 답변을 드립니다.

참 통계라는 것이 신기한 것 같습니다.^^

오랜시간 조사해야 나오는 결과물이지만 한번 나온 결과물은 우리의 생각을 쉽게 그래프화하여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 요즘 가장 핫한 지역을 하나만 꼽자면 경기도 광주시가 아닐까 조심스럽게 생각해 봅니다.^^

용인이나 남양주시는 이미 2년전부터 땅값이 본격적으로 올라가기 시작했지만 경기도 광주의 경우 교통편의 이유로 이제야 조금씩 상승되고 있는 형국입니다.

아직 땅을 못 구하신 분들은 많이 헤매이시지 마시고 경기도 광주쪽 한번 알아보시는 것도 한 방법입니다.^^;(지극히 제 생각이니 참고만 해주세요.^^) 


도착


오늘은 조금 복잡하고 어지러운 건축을 잠시 떠나 재미있는 통계치를 살펴보았는데요. 구독자 여러분들은 내용면에서 어떠셨는지요? 그냥 건축자료만 올리는게 낳을까요? ㅠㅠ

제 개인적으로는 무척 신기했는데 여러분들도 같은 마음이셨는지 모르겠습니다.

통계라는 것이 참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각자 다른 분야에서 조사한 데이터 분석치가 오묘하게 어느 한 지점에서 맞아떨어지는 그런 것...^^;

사설이 또 길어졌네요. 오늘은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이야기에서 더 풍성하고 알찬 정보로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읽고 난 다음에는 위의 하트모양 라이킷과 공유 꾹 눌러주세용~^^




글쓴이 : 이동혁 건축매니저

이메일 : sunsutu@hanmail.net



매거진의 이전글 집을 짓는다는 것. 진심을 짓는 세 남자의 이야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