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동혁 건축가 Jan 17. 2018

13.9 부모님께 드리는 선물-효도 전원주택

13.9 부모님께 드리는 선물-효도 전원주택

순서대로 읽다 보면 완성되는 나의 집

꿈꾸던 전원주택을 짓다

글쓴이 : 이동혁


13. 2018~2022년 향후 5년 전원주택 트렌드 내다보기


13.9 부모님께 드리는 선물-효도 전원주택


향후 5년 전원주택 트렌드의 마지막 장까지 도착했다. 앞선 8개의 트렌드 제안을 보면서 이미 생각하고 있었던 안들이 존재했을 수도 있으며, 전혀 생각지 못하는 독특한 제안들도 있었을 것이다.


이번 단락까지 총 9개의 트렌드 제안을 했는데 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이 가는 제안은 마지막 9번째 제안인 '효도 전원주택'이다. 


사회 트렌드와 구성원들의 라이프스타일은 시시각각 변화되고 있다. 옛날에 전원주택을 짓는다고 하면 주거 목적보다는 별장의 개념으로 잠깐씩 가서 생활하는 고급주택을 많이 떠올렸다. 하지만 이제는 아파트를 벗어나 한적한 곳에서 생활하고 싶은 분들이 전원생활 속으로 많이 진입하면서 전원주택이라는 시장도 대중화가 되기 시작한 것 같다.


한 5년 전만 해도 "나 전원주택 지으려고 해."라고 말한다면 다들 돈이 많아서 짓는다고 생각하거나 그 돈 있으면 아파트에 투자하라는 답변이 먼저 왔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어떤가? "아 좋겠다. 나도 전원주택 지어서 살고 싶다."라는 답변이 돌아올 것이다.


한국 주거 시장의 인식이 단 5년 사이에 완전히 바뀌었다는 것을 뜻한다.

2018년도부터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제2의 IMF, 인구절벽, 소비의 축소 등의 키워드가 가장 앞서서 뜬다. 다시 말하면 앞으로 건축시장도 새로운 국면에 이를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분명 주거에 대한 인식이 또 한 번 역변할 것이다. 


기존의 전원주택 짓는 층은 두 분류로 나뉘었다. 아마 99%가 이 두 분류에 속했을 것이다. 한 분류는 아이들을 키우는 신혼 부부층이고, 다른 한 분류는 은퇴한 후 한적한 곳에서 생활하고나 하는 실버세대 층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2018년부터는 한 분류가 더 생기게 된다. 중장년층이 노후된 부모님 집을 새롭게 지어주는 층이 생겨난 것이다.


기존 농촌에 있는 집들은 20년 이상이 훌쩍 넘어선 것들이 대부분이다. 20년 전에도 잘 지었을 수도 있지만 건축기술과 품질이 획일화되지 않았던 시절이기 때문에 20년 이상 된 주택들은 단열이나 설비적인 부분이 취약해질 수밖에 없는 환경이었다. 차라리 아파트처럼 대기업들이 지은 현장이라면 그나마 덜하지만 30평 전원주택 짓는데 대기업 건설회사를 불러다가 했을 리 만무하다. 백이면 백 동네 업자를 알음알음해서 지었을 것이다.


부모님을 위해 선물해드리는 효도 주택은 대가족이 모일 수 있는 내부 공간을 중심으로 하되, 외장에 대한 비용을 최소화하여 건축비를 최소한으로 낮추는데 초점이 모아져 있다.

필자가 60세 이상분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진행한 적이 있다. 강연 도중 이런 질문을 했다. "집을 지을 때 가장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어디일까요?" 어디라고 했을 것 같은가? 모든 분들이 입을 모아 단열 잘 되는 것과 외풍이 들지 않는 것을 가장 중점으로 꼽았다.


옛날 집들은 조적식(벽돌을 쌓아서 짓는 공법)이었기 때문에 벽에 손을 대고 있으면 겨울에 한기가 느껴질 정도로 춥다. 아무리 잘 지었다고 해도 따뜻하기 어려운 공법으로 집을 지었기 때문에 전원주택을 오랫동안 살아오신 분들의 경우 단열과 난방에 대한 부분을 민감하리만큼 집고 넘어가신다.


이번 주택을 기획할 때 이러한 부분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단열에 취약한 철근콘크리트 공법보다는 목조 공법으로 방향을 잡았다. 벽을 목조 공법으로 단열성을 강화한 뒤 창호는 미국식 3중 시스템창호를 적용해 준패시브급의 단열성능을 기본적으로 갖추어줬다. 부모님 집이라고 해서 단열을 약하게 한다는 것은 맞지 않다. 무조건 따뜻한 집은 집을 지을 때 1순위이다.

1층 평면도

30평이 공간은 크지도 작지도 않은 공간이다. 사람마다 느끼는 공간감이 다를 수는 있지만 부모님 두 분이 생활하시기에는 모자람이 없는 면적이라 설명드리고 싶다. 대가족이 모여도 좁지 않게 만들기 위해 기본적으로 방은 3개를 구성했으며, 2층으로 올리는 것을 포기하고 과감하게 양 옆으로 퍼지는 공간배치를 했다. 이렇게 할 경우 다양한 실이 남향의 햇볕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과 항상 밝게 공간들이 유지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방을 3개 구성하면서 좁아질 수 있는 주방 공간을 벽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거실과 오픈되게 만들어 시각적으로 넓어 보이는 설계를 적용하였으며, 아일랜드 식탁을 계획해 식탁 공간까지 한꺼번해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용도실은 필수이므로 주방 옆쪽에 배치해 주었다. 앞 뒤로는 작지만 기본적인 데크를 설치해 앞마당과 뒷마당으로 손쉽게 내부에서 이동이 가능하도록 했다.


이 집만의 특징은 안방과 연결된 별도의 드레스룸이 크게 존재한다는 것이다. 전원생활을 하다 보면 온갖 잡다한 짐들이 많이 생겨난다. 항상 그렇듯 별도의 창고가 없다면 이 많은 집들을 수납할 공간이 없다. 그래서 별도의 드레스룸을 만들어 주었고 이 공간 안에 되도록 많은 짐들이 들어갈 수 있게 했다.

이번 기획모델의 금액은 설계비 750만 원(부가세 포함), 건축 시공비 13,900만 원(부가세 포함)으로 결정되었다. 30평이라는 평수에 공간 활용이 좋은 단층 설계, 넓은 거실과 주방, 거기에 방 3개. 가족들이 다 모여도 좁지 않고 충분히 하룻밤 정도 자고 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했다.


외장에 돈을 많이 들이기보다는 내실에 집중했다. 외부 디자인이 심심하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을 수 있다. 충분히 공감하고 이해한다. 하지만 최근 많이 사용되는 세라믹 사이딩이나 징크 같은 자재를 사용하게 되는 순간 건축비는 수천만 원 우습게 올라가버린다. 디자인을 하는 데는 좋은 자재임이 틀림없지만 마감재 다 없어지고 날아간다고 해서 비 새거나 단열적인 부분이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번 효도 주택의 중점은 '금액'이다. 무한정 비싼 예산으로 집을 지을 수는 없기 때문에 품질적인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선에서 외관 디자인을 마무리해야 한다.

자녀들이 부모님을 위해 짓는 '효도 주택'. 이미 부모님 집을 지어드린다는 시작점에서부터 가슴 뭉클해지는 느낌을 받는다. 필자도 사회생활을 하고 결혼을 하고 자녀를 키워야 하는 입장에서 1억이 넘는 돈을 부모님께 선물한다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고민되는 일인지 알고 있다.


가성비 높은 범위 내에서 자재를 고르고 내실을 강화하고, 거기에 가족들이 모여 오손도손 이야기할 수 있는 작지만 포근하고 따뜻한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 향후 5년 전원주택 트렌드 9번째 '효도 주택'은 바로 그 시작점에서 출발한다고 할 수 있다.


(좌측부터) 정다운 건축가, 임성재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집이라는 본질적인 가치에 집중하다.]

Architecture  Team : 홈트리오(주)

대표번호 : 1522-4279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로 141, 경창 빌딩 602호 홈트리오(주)

홈페이지 : http://hometrio.kr/

설계 사례(홈페이지) : http://hometrio.kr/designcase/


글쓴이 : 이동혁 건축가

이메일 : sunsutu@hanmail.net

책 : '따뜻한 전원주택을 꿈꾸다' 저자(http://www.yes24.com/24/goods/40516450?scode=029)

이동혁 건축가 TV : http://tv.naver.com/sunsutu1 


상담 및 자문[HOMETRIO 건축가]

이동혁 건축가 : 010-4567-8413

정다운 건축가 : 010-8560-0477

임성재 건축가 : 010-9941-8899




[네이버 TV - 이동혁 건축가 TV]

*글 읽기가 어렵나요? 그럼 이제부터는 영상으로 확인하세요.^^


1. 내 집 짓기의 시작-인트로 : http://tv.naver.com/v/1429784

2. 전원주택 짓기 1차 강연 영상 : http://tv.naver.com/v/1431765

3. 성공의 정석 '꾼' 이동혁 대표 : http://tv.naver.com/v/1434375

4. 전원주택 공법. 무엇으로 지으면 좋을까요? : http://tv.naver.com/v/1436122

5. 전원주택 짓기. 예산 잡는 법! : http://tv.naver.com/v/1446575

6. 전원주택. 왜 품질에 대해 말이 많을까? : http://tv.naver.com/v/1451485

7. 내 집짓기. 언제부터 준비해야 할까요? : http://tv.naver.com/v/1473650

8. 내 땅에 몇 평까지 집을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3658

9. 전원주택 지방은 공사비가 더 비싸나요? : http://tv.naver.com/v/1479534

10. 전원주택 AS는 어떻게 진행되고 몇 년까지 보증되나요? : http://tv.naver.com/v/1479537

11. 전원주택 단층과 2층으로 지을 때 비용 차이가 많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47

12. 전원주택 성토한 땅에 바로 시공할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479558

13. 강화도 이강리 전원주택. 오픈하우스 현장 : http://tv.naver.com/v/1497662

14. 전원주택에 스타코플렉스를 왜 사용하나요? : http://tv.naver.com/v/1599468

15. 전원주택 데크에 대해 알려주세요. : http://tv.naver.com/v/1599480

16. 집짓기 착공 전 준비사항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599505

17. 목조주택에서 가장 많이 나는 하자와 그 빈도는? : http://tv.naver.com/v/1672388 

18. 조영구 트렌드 핫이슈. 전원주택 쇼핑몰 : http://tv.naver.com/v/1682435

19. 전원주택 계약 시 속지 않기 위한 방법은? : http://tv.naver.com/v/1684870

20. 전원주택 추가 공사 왜 공사 전에 미리 말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688493

21. 강화마루, 강마루, 장판 무엇이 좋나요? : http://tv.naver.com/v/1692136

22. 목조 공법으로도 3층 이상으로 높게 지을 수 있나요? : http://tv.naver.com/v/1698287

23. 목조주택 2층에 시멘트 방통 시공. 목조에 부담을 주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01955

24. 전원주택 바닥 방통 없이 난방을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http://tv.naver.com/v/1728947

25. 2억 4천만 원. 경기 광주 전원주택을 소개합니다. : http://tv.naver.com/v/1732431

26. 전원주택. 철근콘크리트가 목조보다 더 튼튼할 텐데도 목조로 집을 짓는 이유가 있나요? : http://tv.naver.com/v/1735979

27. 내 땅에 흙을 마음대로 받아도 되나요? : http://tv.naver.com/v/1739333

28.  지진이 늘어나는데 중목이 아닌 경량 목구조는 약하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743684

29. 땅이 낮아 성토하고 싶어요. 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 http://tv.naver.com/v/1746299

30. 전원주택. 여름 공사와 겨울 공사 단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759345

31. 전원주택 회사. 정말 안전한 업체인지 확인하고 싶어요. : http://tv.naver.com/v/1766577

32. 목조주택이 몸에 좋다는데 어차피 본드나 벽지도 바르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17543 

33. 전원주택 브랜드 업체들의 이윤이 너무 높지 않나요? : http://tv.naver.com/v/1834510

34. 전원주택 땅을 살려는데 종류가 너무 많아요. 혹시 집을 지을 수 없는 땅도 있나요? : http://tv.naver.com/v/1862326

35. 사람들이 목조주택을 짓게 되는 계기가 있을까요? : http://tv.naver.com/v/1866671

36. 건설업체가 안전한 업체인지 알아보는 법! : http://tv.naver.com/v/1918266

37. 미국식 창호와 독일식 창호의 차이 : http://tv.naver.com/v/1934487

38. 하자이행보증증권에 대해 알아보자 : http://tv.naver.com/v/2011225

39. 제주도에 집 지을 때 주의해야 할 점 : http://tv.naver.com/v/2011251 

40. 월간 홈트리오 4월호-NEW 농가주택 표준설계도 : https://www.youtube.com/watch?v=WwZjpLNUiwI&t=273s

41. 월간 홈트리오 4월호②-꿈꾸던 다락방을 갖다 : https://www.youtube.com/watch?v=r1fyjlp4N5Q&t=129s 

42. 조립식 소형 전원주택. [kasita]에 대해 알아보자! : https://tv.naver.com/v/3440492

43. 전원주택. 월간 홈트리오 5월호 - 도심형 단독주택을 짓다. : https://tv.naver.com/v/3441024

44. 전원주택에서 비가 오기 전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 : https://tv.naver.com/v/3506313 

45. 전원주택 지으려고 하는데 어디에 물어봐야 할까요? : https://tv.naver.com/v/3571540

46. 전원주택 아스팔트슁글 괜찮나요? : https://tv.naver.com/v/3571580

47. 전원주택 세라믹사이딩 어떤 자재인가요? : https://tv.naver.com/v/3571616



매거진의 이전글 13.8 주말에만 갈 거예요-초소형 주택 시장의 활성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