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사선으로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선토끼 Jan 05. 2022

우리가 사랑할 시간

별이 지는 순간



어릴 적에는 이따금 잠들어 있는 엄마의 곁으로 가 코 아래로 슬그머니 손가락을 들이밀고는 했다. 드르렁, 푸- 자는 순간에도 “나 자고 있다-”를 알리는 아빠와는 달리 엄마는 한밤의 호수처럼 잔잔하게 잤다. 멀리서 보았을 때 엄마의 자는 배가 오르락내리락 움직이지 않으면 난 지레 겁을 집어먹었다. 엄마의 숨결이 검지에 닿으면 그제야 제멋대로 어긋나던 심장 박동을 달랠 수 있었다.          



여덟 살 무렵 평범한 오후였다. 엄마의 배 위로 작은 머리를 갖다 대고 누웠다. 포근하고, 말랑거리고, 안온했다. 그 순간 어떤 마음 하나가 몽글하고 뭉쳤다. 그러더니 눈물이 투둑 흘러나왔다. 엄마의 얇은 면 티셔츠 위로 물기가 뱄다. 혹여나 들킬까 괜스레 “엄마 배 물렁거려.” 하며 히죽 웃었던 기억이 난다. 구구단도 채 떼지 못한 어린애였지만 이상하리만큼 죽음의 무게에 대해서 떠올렸다. 그날엔 언젠가 엄마의 따스한 배에 누울 수조차 없으리라는 생과 사의 이치가 어린 나의 마음을 지긋이 짓눌렀다.        


   

죽는다는 건 그저 주어진 육신의 숨이 사그라지는 것뿐인데 왜 그리도 서글픈 것일까. 상념의 결론은 단순했다. 숨과 함께 맞닿은 인연도 끊어지기 때문이다. 서로의 숨결을 어루만지고 싶어도 살아있는 한 다신 만나지 못할 테니까.     



사람도 가냘픈 꽃과 같이 피고 지기 마련이다. 다만 꽃은 억지로 부러뜨리지 않는 이상 다시 피어난다. 하지만 사람은 꽃과 달라서 지고 나면 같은 형체로 다시 태어나지 못한다. 그저 이 작은 행성에 우주적 시간으로 4초간의 치열한 여행을 잠시 왔다 가는 것뿐이다.          



엄마의 엄마가, 그러니까 내게는 외할머니가 여행을 마치신 날. 난 오빠와 집에 단둘이 있었다. 하늘에 먹구름이 잔뜩 끼어 낮인데도 집안은 어둑했다. 비까지 우수수 내려 기분마저 물기를 머금고 축 가라앉았다. 그때 친가 할머니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다. “외할머니 돌아가셨다.” 전화 너머 할머니의 음성은 몹시 무덤덤했다. 반면 나의 심장은 머리끝에서 발 끄트머리까지 거세게 추락하는 듯했다. 어찌어찌 전화를 끊고서 오빠의 방으로 더듬더듬 향했다. 눈물이 왈칵 쏟아져 나왔다. 말에서 자꾸만 울먹임이 묻어났다. 오빠도 소식을 듣고서 무너져 내렸다. 가족의 첫 죽음이었다.          



엄마는 힘들 적마다 외할머니를 찾았다. 별은 주위가 캄캄할수록 빛을 발하며 모습을 더 드러내는 법이다. 외할머니는 엄마의 별이 되어 어둠을 몰아내 주었다. 그렇기에 소식을 듣는 순간 내게는 외할머니의 부재보다도 엄마를 향한 커다란 통증이 앞섰다. 2014년 오월, 엄마의 밤하늘에 가장 먼저 떠 있던 별이 지는 순간. 엄마의 하늘이 한층 더 꺼뭇해졌다.          



언젠가 나의 하늘에 떠 있는 별들도 지는 순간이 오고야 말겠지. 떠올리기만 해도 울적해진다. 그럴 때에는 안도현 시인의 산문집 <그런 일>에 쓰인 문장으로 위로를 얻는다.



저 바다에 아직 잔광이 남아있는 것은 이 세상이 우리에게 사랑할 시간을 조금 남겨두었다는 뜻이다.’     



뒤를 돌아보면 여전히 나를 지켜주는 별들이 애틋하게 떠 있다. 지는 순간은 아직 오지 않았다. 우리에겐 사랑할 시간이 조금 남아있다. 그러니 남은 시간, 최선을 다해 사랑할 것. 그게 중요하지 않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십이월 이십육일의 기록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