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해준 동료나 부하직원이 이해해서가 아니다.
구조적인 문제가 있었고, 그 문제가 해소된 순간의 기쁨이다.
기존의 아키텍처를 변경하고 고집스럽게 이해 못하는 사람들을 설득하면서 아키텍처가 구성된 것을 보게 된 순간의 기쁨은 정말 누구에게도 이야기하지 못할 결정적 순간들이다.
내 인생에 있어서 그런 짜릿한 경험은 이번까지 두 번밖에 경험하지 못했다.
첫 경험은 분명 구조적으로 그 시간과 리소스, 개발자들의 수준으로는 도저히 완성하지 못할 상태였었고, 법적인 이슈까지 겹쳐진 상태에서 관련된 문제를 해소해야 했었다.
실제, 그 아키텍처를 이해하는 사람은 나 혼자였으며, 해당 구조로 디자인된 중요 서비스를 만든 후배 개발자 한 녀석만 이 묵묵하게 그 문제를 기간 내에 해소할 수 있었다.
실제 감리와 복잡한 검토 단계에서 그 문제를 우회적인 방법으로 해소한 것 아니냐는 오해도 받았지만, 당당하게 기술적인 문제를 넘어서는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전체적인 프로젝트도 안정단계로 넘어갔다.
다만 아쉬운 것은 그렇게 해소된 아키텍처 상의 문제에 크게 기뻐한 것은 나 혼자뿐이었고, 다른 사람들은 그 문제가 어떻게 넘어간 것인지에 대해서도 잘 이해를 못하는 상황이었다. 더군다나 법적인 문제가 걸려있는 단계를 구조적으로 해결했다는 것에 대해서 많은 사람이 알아주지도 못했다.
그냥, 나 혼자 기뻐하고 문제가 잘 넘어가서, 실제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잘 동작하고 있다는 것이며, 그 후로도 10년 넘게 내가 만들어 놓은 아키텍처 구조로 잘 동작하고 있으며, 지금도 그때 넘어간 구조를 기반으로 많은 것을 해소하고 있다.
그리고, 이번에 두 번째 경험을 했다.
일정이 밀리고, 구조적인 상황만 바뀐 것이지 기능적인 부분에 대한 큰 변화에 대해서 이해 못하는 비개발자 동료들과 조금은 한심한 초보 개발자들과의 소란이 있었지만, 결국 그 문제를 해소했으며, 법적인 문제까지 모두 해소가 되었다.
이제, 앞으로 그들이 그 구조를 가지고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해 나길 수 있도록 가이드해주는 것으로 나의 큰 임무는 1차 종료가 된 것이다.
아키텍트가 그려놓은 구조가 완성되어감에 따라서 서비스의 문제가 해결되는 것을 보는 아키텍트의 마음은 벅차오른다. 물론, 그 변화나 해소의 방향성에 대해서 이해해주는 사람은 없지만 말이다.
오늘도, 아키텍트는 구조로써 문제를 해소하고,
미래의 문제를 만나지 않게 한다. 그것이 아키텍트가 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