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이조년(李兆年, 1269~1343)은

이조년(李兆年, 1269~1343)은 고려 후기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호

[ 성주이씨 선조의 시조 ]



이화(梨花)에 월백(月白)고 은한(銀漢)이 三更인제일지 춘심(一枝春心)을 자규(子規)야 알랴마다정(多情)도 병(病)인양야 잠못드러 하노라


<다정가>를 [현대 시(詩)]로 풀이한다면 다음과 같다.


하얗게 핀 배꽃에 달은 환히 비치고 은하수는 돌아서 자정을 알리는 때에,배꽃 한 가지에 서린 봄날의 정서를 자규가 알고 저리 우는 것일까마는,다정다감(多情多感)한 나는 그것이 병인 양, 잠을 이루지 못하여 하노라.


<해석>


주제는 봄날의 애상적인 감정을 표출한 시조이다.  


[하얗게 피어난 배꽃에 밝은 달이 비치어 꽃은 더욱 희어 보이고,] [우러러 은하수의 위치를 살피니 한밤중인데,/ 이 배꽃 가지에 서려 있는 봄 뜻[임을 그리는 마음]을 어찌 소쩍새 따위가 알라마는/ 내 이렇듯 다정다감함이 무슨 병과 같아서 도저히 잠을 잘 수가 없구나! 이 작품은 봄날 밤의 애상적인 정취를 잘 표현하고 있다. 초장에서는 시각적인 이미지가 부각 되어 있는데 배꽃이 활짝 핀 어느 봄날 밤, 하늘에는 달이 활짝 뜨고 은하수가 흐르고 있다. 달빛이 하얀 배꽃에 비치어 더욱 아련하게 보이는 고즈넉한 풍경을 묘사하고 있고, 중장에서는 시각적 이미지가 청각적 이미지로 전환되고 있다.

달빛에 배꽃이 더욱 환한 밤, 두견새의 울음소리가 들려오는데 두견새가 이 밤에 느끼는 봄의 정취를 알고 우는 것은 아니겠지만 두견새의 울음소리로 봄날 밤의 애상적 정취는 더 깊어진다. 종장은 지은이의 입장과 두견새의 입장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지은이에게는 아름답고 고즈넉한 봄밤을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잠 못 들고 서성이고, 두견새는 봄밤에 자지 않고 혼자 서성이는 지은이를 홀로 두기 아쉬운 마음에 자지 않고 울고 있다. 그렇기에 상대를 생각하는 다정한 마음이 병이 되어 잠 못 들고 있다.


위의 시조는 필자의 중시조인 이조년의 시조이다.

국어책에도 나오는 대중적인 시조이며 필자의 중시조인 이조년 선조의 시조를 나름 대로 해석을 해보았다.


물론 우리 성주이씨 영의정 문경공 이직<호는 형재>선생의 시조 오로시란 시조가 있지만그 것은 나중에 풀어보기로 하고 오늘은  <다정가>만 올려 놓는다.


2022. 07. 25.


금요저널 주필/칼럼리스트/

문화연구위원/이승섭시인

[영의정 형재공 이직 석비]

[성주이씨 문열공 이조년 선조의 석비]

[ 성주이씨 총재공파 용인 가족묘원]

작가의 이전글 〖현실 모습을 그리는 등가의 법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