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워터릴리 Sep 02. 2022

어느 모임 중독자의 이야기

  누군가 “직업으로서 교사가 가장 좋은 점이 뭐야?”라고 묻는다면, 아이들 하교 후 혼자 넓은 공간을 쓸 수 있다는 점을 첫째로 말하고 싶다. 업무에 따라 다르지만 상사 개념의 부장님과 교감선생님, 교장선생님이 계시지만 자주 뵐 일은 없다. 내가 하는 수업이나 학급 운영에 크게 관여하지 않고, 조용히 내 공간에서 맡은 업무를 처리하면 된다. 물론 지역을 한번 옮긴 입장에서 지역 by 지역이긴 하다. 이렇게 개인적인 직업 특성이 정말 만족스럽지만, 당연히 수반되는 단점도 있다. 교사로서의 성취감이나 협력적인 팀의 분위기 속에서 함께 성장하는 소속감을 느끼기는 어렵게 만든다. 나에게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었던 것은 모임이었다. 


pixabay

  나는 아마도 중기 정도의 모임 중독자이다. 토론 공부모임, 거꾸로 교실 모임, 놀이 모임을 기반으로(?) 해서 프로젝트 형식의 독서 모임, 정리 정돈 인증 모임, 기타 관심사 모임 등 이 글 쓰면서 세어보니 6개에 참여 중이다. 엄청난 포부를 안고 활동한다기보다는 관심 있는 주제가 생길 때마다 어디에 몸 담다 보니 이렇게 되었다. 많은 모임들 중에서도 특히 토론 모임에서 많은 힘을 얻고 있다. 참여한 지 가장 오래되기도 했지만 그것 때문만은 아닌 것 같다. 모임의 주 활동은 ‘삶 나눔’과 ‘토론 / 독서교육 공부’인데, 삶 나눔 시간에 학교 일, 개인적인 일 나누다 보면 같이 울고 웃을 때가 많다. 주절주절 털어내고 나면 마음이 가벼워지고, 나와 비슷한 이야기를 들으면 마음이 울렁거린다. ‘내일은 화 좀 덜 내고, 재밌는 책 읽어주고 이런 이야기 나눠봐야지!’ 생각하면서 마치게 된다.



  이렇게 모임들에 참여하면서 얻게 된 점이 여럿 있다. 먼저 동학년 선생님들이나 학교 구성원들은 어쨌든 변한다. 계속 잘 맞고 협력할 수도 그 반대일 수도 없다. 그 변수에 기대하고 의존하기보다는 나와 관심사가 비슷한, 혹은 마음이 잘 맞는 외부 교사 모임에서 소통하며 일관되게 소속감을 얻는 것이 심리적 안정성에 훨씬 도움된다. 무엇보다 같은 직업을 가진 입장에서 편들어줄 수 있는 존재가 팀으로 있다는 건 엄청난 힘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나의 업에서 성취 정도를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느끼다 보니 매너리즘에 자주 빠지게 되는데, 이를 방지해준다는 거다. 사람은 원래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인다. 나와 다른 방법으로 수업이든 학급운영을 하는 선생님 사례를 들으면 무조건 좋아 보이는 점이 있고 배우게 된다. 그러면 ‘한 번 따라 해 볼까?’ 싶고 그러다가 내 것 화가 되며 나의 수업하는 힘도 조금씩 업그레이드된다. 

  

pixabay


  교직생활에 첫 해에 최강 학생을 만나면서 교사를 그만두고 싶었다가 행복 교실 연수에 참여하면서 마음을 다잡고, 이렇게 7년 가까이 교사 생활을 그나마 꽤 행복하게 할 수 있었던 것은 내가 마음을 나누고 있는 혹은 거쳐간 모임들 덕분이었음에 감사하다. 그래서 10년 만에 "선생님, 저 때문에 고생하셨죠"라고 마음을 전했던 최강 학생에게 나는 진심으로 "너 덕분에 선생님 많이 공부했다!"라고 말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나는 나를 안다. ‘일주일에 한 편씩 그림책 읽고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을 연구해봐야지! 혼자!’ 몇 주는 하겠지만 어느새 잊고 다른 거 하고 있을 거다. 같은 관심사를 가진 무리 속에 나를 넣으면 계속 ‘그림책’이라는 키워드가 내 주변에 얼씬 거리게 돼서 그 끈을 놓지 않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한참 지나서 ‘오~ 나 이 책, 저 책, 그 책도 다 아이들과 읽고 수업해봤어!’ 하면서 자신감이 생기고 내 일을 조금 더 좋아하게 된다. 그렇게 나는 모임에 중독되어 가고 있다. 

작가의 이전글 그림책으로 아침을 여는 즐거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