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 Hyun Mar 18. 2022

이상한 출제자가 전하는 아름다운 파이 송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리뷰

이학성(최민식)처럼 수학을 바흐의 무반주 첼로곡처럼 "아름답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드물 것이다. 주로 학창시절 필수 교육 과정으로 만나는 수학은 어디까지나 더 좋은 점수, 더 좋은 대학, 나아가 더 좋은 직장으로 가기 위한 수단으로 여겼을 뿐 그 이상으로 받아들이지 않아서다.


한지우(김동휘)가 다니는 동훈고등학교에서도 수학은 그런 존재였다. 탄탄대로를 위한 도구였을 뿐, 어느 누구도 수학을 진심으로 대하거나 탐미하질 않는다. 틀린 문제임에도 출제자의 의도를 들먹이며 답의 중요성을 역설하는 담임 근호(박병은)의 말마따나 결과가 더 중요하기 때문. 그래서 과정을 찾아가는 수학의 참매력을 깨닫질 못한다.


영화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는 수학이라는 소재와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삼고 있어 얼핏 봤을 때는 학원물 장르처럼 보인다. 그러나 영화를 감싸고 있는 외피를 한 꺼풀 벗겨내면 결과주의가 팽배한 오늘날 사회에 살아가는 청소년들과 어른들을 향해 메시지를 던지고 있다. 지금까지 목표만 보고 달렸던 우리가 걸어온 길은 괜찮았는지 질문한다.


수포자 한지우와 수학자 이학성은 수학이라는 교집합으로 엮이며 함께 수학을 풀어나간다. 수학을 매개체로 두 사람은 그동안 서로 몰랐던 면들을 들여다보고 이해하고, 점점 가까워지면서 보이지 않은 간극을 채워나간다. 이와 함께 이학성과 한지우가 처한 녹록지 않은 쓴맛 나는 삶도 조명한다. '굿 윌 헌팅', '파인딩 포레스터'와 닮아있다.



전반부엔 제법 아름다운 파이 송으로 매료시켰으나,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는 후반부까지 같은 톤과 호흡, 밸런스를 유지하지 못한다. '사배자(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으로 입학한 한지우가 잔인한 사회를 직면하고 풀이과정을 잔잔하고 촘촘하게 전개하는데 반해, 이학성이 탈북하게 된 전사부터는 출제자의 '답정너' 의도가 한껏 담긴 공식으로 풀이하고 있다. 나이를 초월한 두 남자의 따뜻한 관계성에 젖었던 관객들에게 산통을 깨는 지점.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속에 '수학의 정석' 같은 전형적인 영화 공식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착한 영화의 해피엔딩의 강박증이 있는 것처럼, 특정 캐릭터들이 숨겨둔 반전과 이로 인해 서둘러 매듭짓는 결말은 아쉬움이 남는다. 극적인 엔딩 대신 차분하게 같은 호흡을 유지했더라면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가 지닌 강한 울림이 더 배가됐을 것이다.


이 영화에서 최민식은 역시나 '최민식했다'. 오랜만에 따스한 역할로 돌아온 그는 관객들의 몰입도를 한껏 끌어올리면서 아름다운 파이 송이 내포한 따뜻함을 전했다. 오글거리고 뻔한 대사와 신파적 감성도 최민식이었기에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었다.


250대 1 경쟁률을 뚫고 '이상한 나라의 수학자' 주연으로 발탁한 신예 배우 김동휘도 눈여겨볼 만했다. 이야기가 거듭될수록 점점 한지우화 되는 모습은 인상적이었다. 더불어 앞으로 그가 출연할 차기작들에 대한 기대치도 높아졌다.


★★☆


매거진의 이전글 '그놈' 마음을 알고 싶었던 사람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