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기생충'의 몇 가지 이야기들
봉준호 감독은 지독한 현실주의자다. 기억을 되살려 보자. '살인의 추억'에서 두만(송강호)은 끝내 범인을 잡지 못 했다. '괴물'에서 현서(고아성)는 집에 오지 못했다. '마더'가 보여준 모성은 아름답지 않고 기괴했다. '설국열차'에서 기차가, 그리고 '요나'(고아성)가 도착한 곳은 도대체 어디란 말인가. '옥자'에서 옥자는 살았지만, 나머지 수많은 슈퍼돼지는 죽었다. 봉 감독이 보편적인 희망이 주는 영화적 카타르시스를 모를리 없다. 다만 그는 자신이 살고 있는 세계의 진실이 영화 안에서만 통용되는 희망과 무관하다는 걸 안다. 굳이 희망을 찾겠다면 영화 세계가 아니라 현실 세계에서 발견해보라고 말한다. 아마 못 찾겠지만…. '기생충'에서도 그렇다.
기택(송강호) 가족은 아들 기우(최우식)를 시작으로 모두 박사장(이선균)네 집에 취직하는 데 성공한다. 현란한 거짓말이 들어맞았고, 모든 게 계획대로 됐다. 이제 박사장 가족이 사는 저택은 기택 가족의 놀이터나 다름 없어 보인다. 기택은 말한다. "이 집 사람들은 참 잘 속는다"고, "참 순진하다"고. "부자들은 어려움 없이 자라서 참 착하다"고, "구김살이 없다"고. 정말 그럴지도 모르겠다. 박사장 가족은 실제로 '심플'한 사람들일지도 모른다. 봉 감독은 이때부터 본격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래서 당신들의 삶은 좀 나아졌습니까? 같은 공간에 있으면 대등한 위치가 되는 걸까요? 박사장 가족이 순진하긴 한데, 당신들이 더 순진하다는 생각은 안 드는지요?
수직적 이미지. 봉 감독이 이 작품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언급했던 단어다. 영화에서 어떤 위계를 보여줄 때 흔히 쓰이는 방식이라서 새롭지는 않다. 봉 감독은 클리셰에 가까운 이 표현을 러닝타임 내내 갖가지 방식으로 가지고 논다. '기생충'의 '위, 아래'는 때로는 우습고, 때로는 애달프며, 때로는 공포스러우며, 때로는 처절하다. 중요한 건 수직적 이미지가 쓰였다는 게 아니라 그 구도가 너무나 견고해서 시작부터 끝까지 절대 뒤집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기택 가족에게 사기를 당한 박사장 가족은 여전히 위에 있으며, 사기에 성공한 기택 가족은 여전히 아래 있다. 봉 감독은 현실주의자라고 했다. 그러니까 수직적 이미지라는 건 영화적 표현이 아니라 현실 그 자체다.
봉 감독의 더 냉철하고, 적확하며, 적나라해서 잔인한 현실 판단은 '냄새'에 담겼다. "같은 냄새가 난다"라는 말은 결코 유머가 될 수 없다. 이건 민감하고 명백한 구분이다. 당신들과 우리를 냄새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 당신들에게서 나는 냄새가 조금은 불쾌하다는 것. 그 냄새가 얼굴을 찌푸리게 하고 뒷걸음질 치게 한다는 것. 누군가는 불쾌한 냄새를 갖고 있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그런 냄새가 나지 않는다는 것. 기택 가족은 냄새가 달라서 결코 박사장 가족과 섞일 수 없다. 선을 넘지 않게 행동할 수는 있지만, 냄새는 어쩔 수 없이 선을 넘어가니까. "각자 다른 샴푸를 쓰자"는 기우의 말에 기정(박소담)은 말한다. "그게 아니라 반지하 냄새가 나는 거야."
물은 언제나 봉 감독의 영화의 핵심 요소 중 하나였다. '물=죽음'이라는 원형적 이미지다. '살인의 추억'에서 살인은 비오는 날 벌어진다. '괴물'에서 괴물은 현서를 데리고 물 속으로 사라진다. '마더'에서 비는 결정적 사건의 전초전 성격을 띈다. '설국열차'에서 열차 바깥은 눈과 얼음으로 가득차 있었다. '기생충'에서 비(물)는 부자들에게 어떤 타격도 주지 못하지만 가난한 자들에게는 너무나 위협적이다. 이게 바로 봉준호식(式) '낙수효과'(Trickle Down Effect)다. 물(죽음)은 결국 아래로 떨어지게 돼 있다는 의미일까. 연교(조여정)는 말한다. "비가 쏟아지고 나니까 미세먼지가 없어져서 너무 좋아요."
계급에 관한 이야기이지만, 계급 투쟁에 관한 영화는 아니다. 누구도 돈을 벌지 못하는 기택 가족에게 중요한 건 생존이다. 살기 위해 기생한다. 일단 살 수 있어야 계급이든 뭐든 고민할 수 있다. 그러니 '기생충'은 밑에 있던 사람들이 위로 올라가는 이야기가 아니다. 위에 올라갔다가 그들이 너무 높이 올라왔다는 걸 절실히 깨닫고 다시 밑으로 내려가는 이야기다. '설국열차'에서 뒷칸 사람들이 권력이 있는 앞칸으로 스스로 '전진'하자고 결정한 건 그들의 생존이 이미 보장된 상태였기 때문이다. 굳이 나누자면 '기생충'이 끝난 지점에서 '설국열차'가 출발할 수 있다. 기우가 쓴 편지에 담긴 내용이 바로 그것이다. '생존 투쟁은 끝났다. 이제부턴 계급 투쟁이다.'
아들아, 넌 계획이 다 있구나. 아버지 계획이 뭐예요? 기택 가족은 반복해서 계획에 관해 말한다. 기택 가족이 모두 박사장 가족에게 고용될 때만 해도 계획은 착착 들어맞는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그들이 세운 그 계획은 순식간에 무너진다. 한 때 "나한테 다 계획이 있다"고 했던 기택은 무기력하게 말한다. "무계획이 계획이다." 생존하려고 발버둥치는 사람들, 눈 앞에 생존이 가장 중요한 사람들이 삶을 계획한대로 살 수가 있나.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사람들이 어떤 대단한 계획을 세울 수 있을까. 그저 살아가야 할 뿐이다. 슬프지만, 가난하면 마음도 가난해진다. 봉 감독은 또 한 번 정확하고 아프게 찌른다.
(글) 손정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