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케터TK Jun 23. 2024

ChatGPT와 함께 경쟁사 분석해 보기

중요한건 원천 데이터


경쟁사 분석을 꾸준히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무료로 제공되는 데이터를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제공되는 수치가 분석과 인사이트를 뽑아낼 수 있을 정도여서 매월 한 번씩 업데이트를 합니다.



그런데 ChatGPT를 활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전체적인 경쟁사 분석 프로세스인 '데이터 수집 > 가공 > 인사이트 도출'에서 ChatGPT를 활용해 보았습니다. 






1. 데이터 수집


먼저 '한국 반려 앱 서비스 월 방문 데이터를 알려줘'라고 검색해 봅니다.

공개된 최신 자료라는 언급과 함께 5개 서비스의 결과를 간략히 보여줍니다. 언제 기준인지 또는 출처가 어디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데다가 경향성을 보고 싶어서 다시 질문을 해봅니다.


'한국 반려 앱 서비스의 12개월치 월 방문 데이터를 알려줘'라고 검색했습니다.

돌아온 답변은 구체적인 수치를 제공하기는 어렵고 접근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이라는 설명과 함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언급합니다.


ChatGPT로 아직까지 원하는 수준의 Raw Data를 얻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언급했던 원천 데이터를 갖고 있는 회사와 ChatGPT가 연동 된다면 보다 편리하겠지만 라이선스나 사용료 등을 고려하면 금방 해결될 것 같진 않습니다.


결국 기존에 하던 방식으로 '혁신의 숲'에서 18개사의 서비스 검색을 통해 엑셀에 데이터를 정리했습니다.


https://www.innoforest.co.kr/



2. 데이터 가공


프로그램 없이 사이트에 나와 있는 수치를 엑셀에 옮겼습니다.

대용량 데이터도 아니고 SQL이나 파이썬으로 받은 덩어리가 있는 형태도 아니라서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는 ChatGPT의 도움을 받지 않았습니다.

가공을 하면서 분석 결과를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 '카테고리'라는 항목을 넣었습니다. 아무래도 쇼핑 vs. 비쇼핑 분야의 규모가 틀리다 보니 구분에 의미가 있을 것 같고 성장하는 서비스 종류는 어떤 게 있는지도 궁금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데이터 가공 단계까지 마쳤습니다.

      


3. 인사이트 도출


ChatGPT에 넣기 전에 데이터 해석을 혼자 해보았습니다.

눈에 띄는 키워드는 3가지 정도로 보았습니다.


 1) 전년 동기간 대비 방문 고객 감소

 2) 쇼핑 서비스의 전월대비 성장, but 전년대비 감소

 3)멍냥보감 사용자 증가


해당 엑셀을 긁어서 ChatGPT에 넣고 해석을 부탁했습니다.

각 서비스별로 자세한 증감 추세를 언급해 줍니다. 또한 쇼핑과 커뮤니티 서비스의 증감이 계절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언급하면서 마무리합니다.


[분석 결과]

이 데이터는 다양한 서비스의 월별 사용자 수를 보여줍니다. 각 서비스는 쇼핑, 커뮤니티, 장소, 유기동물, 펫시터, 산책, 병원, 사료/건강, 훈련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각 열은 4월부터 다음 해 4월까지의 월별 사용자 수를 나타내며, 숫자는 해당 월의 사용자 수를 의미합니다.


주요 관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펫프렌즈 (쇼핑):

사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높으며, 4월에 261천명에서 시작하여 12월에 247천명, 다음 해 4월에 233천명으로 소폭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비마이펫 (커뮤니티):

5월에 302천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다음 해 4월에 159천명이 됨.


*바잇미 (쇼핑):

사용자 수가 여름에 감소하고 가을과 겨울에 증가하는 패턴을 보임. 4월에 129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107천명으로 감소.


*핏펫 (쇼핑):

사용자 수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연말에는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포동(퍼피유) (커뮤니티):

7월에 사용자 수가 90천명으로 증가한 후, 12월에 95천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하고 이후 다시 감소.


*반려생활 (장소):

사용자 수가 여름에 증가하고 겨울에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 4월에 63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50천명으로 감소.


*어바웃펫 (쇼핑):

사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4월에 59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42천명으로 감소.


*강아지대통령 (쇼핑):

6월에 40천명으로 사용자 수가 증가한 후, 겨울에 다시 감소.


*멍냥보감 (커뮤니티):

사용자 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4월에 17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21천명으로 증가.


*포인핸드 (유기동물):

사용자 수가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며, 4월에 20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13천명으로 소폭 감소.


*와요 (펫시터):

사용자 수가 일정하게 유지됨.


*마이펫플러스 (병원):

5월에 사용자 수가 34천명으로 증가한 후 다시 감소하여 4월에 11천명이 됨.


*펫핑 (산책):

사용자 수가 일정하게 증가하며, 4월에 4.3천명에서 시작하여 다음 해 4월에 8.8천명으로 증가.


*피리부는강아지 (산책):

사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임.


*펫봄 (펫시터):

사용자 수가 여름에 증가하고 이후 다시 감소하는 패턴을 보임.


*샐러드펫 (헬스케어):

사용자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4월에 5.7천명으로 증가.


*도그메이트 (펫시터):

사용자 수가 전반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됨.


*도그마스터 (훈련):

사용자 수가 매우 적으며, 거의 변화가 없음.


이 데이터는 특정 서비스의 계절적 트렌드와 사용자의 관심 변화를 분석하는 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쇼핑 서비스의 경우 여름에 감소하고 겨울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며, 커뮤니티 서비스는 봄과 여름에 높은 사용자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추가 작업


분석 결과 썩 마음에 들진 않았습니다.


GPT가 보여준 개별 서비스마다 언급한 내용은 그냥 봐도 알 수 있는 부분이라 도움이 되진 않았고, 경향성 분석하는 부분은 계절적 요인이 맞는지 아니면 광고비 증감이 원인인지 궁금했습니다. 지금까지 보아온 경험치로 볼 때 이 시장에서 월 방문 가장 큰 변동 요인은 내부 프로모션보다는 광고비 집행에 따른 변화가 컸기 때문입니다.


이 부분도 ChatGPT에 문의했지만 기업의 내부 자료나 집행 관련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고 답변합니다. 그래서 기존에 쓰던 방법을 써봅니다. 페이스북과 구글에서 제공하는 광고 라이브러리 조회 사이트를 검색해 봅니다. 100% 광고 집행 금액은 나오지 않지만 광고 캠페인의 시작과 종류가 나와 있어서 대략적인 수준의 광고비를 유추해 볼 수 있습니다.


월 방문이 개선되고 있거나 급감하는 몇 군데를 검색해 보니 광고 캠페인의 수와 비례해서 움직이고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아직까지 계절적인 요인보다는 광고비 집행 규모에 따른 증감이 더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됩니다.


반대로 광고 캠페인이나 광고비 투여 없이도 성장했다면 서비스를 좀 더 깊숙이 들여다봤을 겁니다. 가장 Best 한 성장일 텐데 분명 고객의 반응을 서비스 자체에서 일으키는 변화가 있을 겁니다.


**페북/인스타 광고 라이브러리

https://www.facebook.com/ads/library/?active_status=all&ad_type=political_and_issue_ads&country=KR&sort_data[direction]=desc&sort_data[mode]=relevancy_monthly_grouped&media_type=all


**구글 광고 라이브러리

https://adstransparency.google.com/?region=KR





이렇게 ChatGPT를 활용해서 경쟁사 분석을 해보았습니다.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가공하는 단계에서는 그다지 도움 되지 않았으며, 인사이트 도출 부분에서는 분석 결과 해석에서는 참조할 만한 부분이 있었습니다. 다만 분석을 하다 보면 꼬리에 꼬리를 무는 의문을 해소하기에는 아직까지 부족한 것이 많네요. 자동으로 분석이 펑펑 쏟아지는 것은 아니고 원하는 결과값을 얻으려면 추가 작업이 상당히 많이 들어갑니다.


기존에 하던 방식과 큰 차이를 느끼긴 어려웠지만 처음부터 월 방문 미치는 인자(광고비 같은)의 데이터값을 넣었다면 더 나은 결과를 얻었을 겁니다.


결국 원천 데이터를 갖고 있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가를 다시금 깨닫게 됩니다. 질 좋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면 분석은 AI가 더 쉽고 빠르게 해내지 않을까 싶네요.


핵심은 AI가 아닌 데이터?



*반려앱 서비스 '펫피'를 런칭 &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변 홍보 및 앱서비스 가입&사용해 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가입 시 추천인 코드 'tk247'을 입력하시면 +5천 포인트가 지급됩니다.


*앱 설치 바로가기


https://petp.page.link/rHqc





매거진의 이전글 강의(敎): 라이브 커머스 사례발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