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키다리 김밥 Aug 26. 2024

'자아 찾기'로 지친 사람들을 위한 책

 방구석 동양철학

일본 책을 소개하는 흥미로운 기사를 읽었다. 소개글 제목은 ‘도쿄대 나온 백수가 이불속에서 동양철학을 읽다가 뭔가 깨달았다’인데, 그가 무엇을 깨달았을지 궁금했다. 아쉽게도 영어나 한국어로 번역된 버전이 없어 직접 읽어볼 수는 없었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7194675i

<‘나 자신’ 은 없다. 교양으로서의 동양철학> 현대사회에서 자기 자신을 차별화하기 위해 부단히 애쓰다가 지친 사람들을 위한 책이다. 이 책은 자신을 찾으려다가 오히려 자신감을 잃어버린 사람들에게 자기 자신과 인생을 바라보는 색다른 시선을 선사한다. 

일본 백수의 유쾌한 동양철학 탐독기
인생을 어렵게 만드는 건 나 자신
"다 괜찮다"는 동양철학에 위안
32세에 백수가 된 후 아내와 이혼까지 하고 5년 동안 이불속에 틀어박혀 있었는데, 이불속에서 동양철학을 만나 삶이 바뀌었다. 서양철학은 읽을수록 미궁 속으로 빠져드는 기분이었는데 동양철학은 읽을수록 마음이 편안해지고 답을 찾아가는 느낌이었다고 한다.  


저자와 나는 공통점이 많다. IT 기업에 다녔지만 결국 백수가 되었다는 점에서 그렇고, 책을 좋아하는 동양인이라는 것도 비슷하다. 다만 나는 동양철학을 깊게 알지 못한다. 그래서 인공지능 Gemini에게 가르침을 구해 보았다. 백수가 이불속에서 깨우친 따뜻한 인생철학이 무엇일지, 경전 대신 인공지능을 스승 삼아 재구성해 본다.


<'이불속 동양철학' 6개 꼭지 순서>

1) 힘 빼고 사는 지혜
2) 나 자신 따위 신경 끄기 
3) 백수의 철학하기 - 무용지용
4) 허심(마음 비우기)의 지혜
5) 허심으로 즐기는 인생 후반
6) 이고득락의 인생철학

1) 힘 빼고 사는 지혜

1. 문제 상황

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경쟁과 성과주의를 강조하며, 개인에게 심각한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안겨줍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삶의 의미를 잃고, 무력감을 느끼며, 자신을 괴롭히는 생각에 갇혀 힘겨워합니다.  

만성적인 스트레스: 과도한 업무, 인간관계, 경쟁 등으로 인한 심리적 피로감

불안과 초조: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

자기 비하: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고 평가하며 자존감이 낮아짐

삶의 의미 상실: 무엇을 위해 살아가야 할지 모르는 방황


2. 핵심 원칙: 힘을 빼고 사는 지혜 (동양철학 관점)

동양철학은 힘을 빼고 자연스럽게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강조합니다.  

무위자연(無爲自然): 도교에서 말하는 무위자연은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러움을 따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인위적인 노력을 줄이고 자연의 흐름에 맡겨 삶의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중용(中庸): 유교에서 말하는 중용은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적절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극단을 피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삶의 조화를 이루는 것입니다.

무상(無常): 불교에서 말하는 무상은 모든 것은 변한다는 것을 인정하고, 집착을 버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현재에 집중하는 것입니다.


3. 실천 방법  

명상과 호흡: 정기적으로 명상을 통해 마음을 비우고, 호흡에 집중하여 현재 순간에 집중합니다.

자연과의 교감: 자연 속에서 산책을 하거나, 식물을 가꾸는 등 자연과 소통하며 마음의 안정을 찾습니다.

단순한 삶: 불필요한 물건을 버리고, 최소한의 것으로 살아가며 여유를 찾습니다.

긍정적인 사고: 부정적인 생각 대신 긍정적인 생각을 하도록 노력하고, 감사하는 마음을 갖습니다.

인간관계의 조화: 경쟁보다는 협력을 중시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 균형을 유지합니다.

자기 수용: 자신의 부족함을 인정하고,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입니다.


4. 관련 인용문구 및 해석  

"무위자연(無爲自然)":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러움을 따른다. (도덕경) - 인위적인 노력을 줄이고 자연의 흐름에 맡겨 삶의 조화를 이루라는 의미입니다.

"중용(中庸)":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적절한 상태. (논어) - 극단을 피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삶의 조화를 이루라는 의미입니다.

"모든 것은 변한다": (불교 경전) -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상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현재에 집중하라는 의미입니다.



2) 불교 무아 사상 기반 '나 자신 따위 신경 끄기'

1. 문제 상황

현대 사회는 개인의 성장과 성공을 강조하며, 자신을 끊임없이 비교하고 평가하도록 만듭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존감이 낮아지고, 불안과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삶의 의미를 잃어버리곤 합니다.  

자기 비교: 타인과의 비교로 인한 열등감과 불만족

완벽주의: 완벽을 추구하며 스스로를 괴롭힘

미래에 대한 불안: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

삶의 의미 상실: 왜 사는지에 대한 고민과 방황


2. 핵심 원칙: 불교 무아 사상

불교의 무아 사상은 고정된 자아란 존재하지 않으며, 모든 것은 변화하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가르칩니다. 즉, '나'라는 존재에 집착하는 것을 벗어나 자유롭게 살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아(無我): 고정된 자아는 없다는 것

연기(緣起): 모든 것은 서로 의존하여 존재한다는 것

공(空): 모든 것은 공허하며 실체가 없다는 것


3. 실천 방법  

명상: 정기적인 명상을 통해 마음을 비우고, 현재 순간에 집중합니다.

자기 관찰: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판단하지 않습니다.

타인과의 연결: 이타적인 행동을 통해 타인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고, 공동체 의식을 키웁니다.

자연과의 교감: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자연의 일부임을 느낍니다.

단순한 삶: 불필요한 소유욕을 버리고, 최소한의 것으로 살아갑니다.


4. 관련 인용문구 및 해석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모든 유형의 사물은 공이며, 공이 곧 유형의 사물이다. (반야심경) -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고정된 실체는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무아열반(無我涅槃)": 자아가 없는 해탈. (불교 경전) - 자아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진정한 자유를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도교 무용지용 사상 기반 '백수의 철학하기'

1. 문제 상황

현대 사회는 끊임없는 경쟁과 생산성을 강조하며, 일하지 않는 삶을 무가치하다고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백수는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시선을 받으며, 자신감 상실, 우울감, 무력감 등 심리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사회적 편견: 백수는 무능하거나 게으르다는 사회적 편견에 시달림

자존감 저하: 사회적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생각에 자존감이 낮아짐

목표 상실: 뚜렷한 목표 없이 시간을 허비한다는 죄책감

미래에 대한 불안: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 등에 대한 불안감


2. 핵심 원칙: 무용지용 사상

도교의 무용지용 사상은 쓸모없어 보이는 것이 오히려 큰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쓸모없는 것, 무가치한 것처럼 보이는 존재나 사물에도 나름의 가치와 의미가 있다는 것입니다.  

무용(無用): 쓸모없음, 가치 없음

지용(至用): 극히 유용함, 가장 큰 쓸모


3. 실천 방법

무용지용 사상을 바탕으로 백수라는 상황을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습니다.  

자신만의 가치 발견: 사회적인 성공 기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가치와 즐거움을 찾습니다.

여유로운 시간 활용: 쓸모없어 보이는 시간을 자기 성찰, 학습, 취미 활동 등으로 채웁니다.

자연과의 교감: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마음의 안정을 찾고, 새로운 영감을 얻습니다.

사회적 관계 형성: 이웃, 친구들과의 교류를 통해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현재의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미래를 위한 준비를 하되, 조급해하지 않고 여유롭게 대처합니다.


4. 관련 인용문구 및 해석  

"쓸모없는 것에서 가장 큰 쓸모가 나온다." (도덕경)           해석: 쓸모없다고 생각되는 것이 오히려 더 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자연스러움을 따르면 도가 가까워진다." (도덕경)           해석: 인위적인 것보다는 자연스러운 상태를 추구하는 것이 더욱 가치 있는 삶입니다.      

"무위자연(無爲自然): 아무것도 하지 않음으로써 자연스러움을 따른다." (도덕경)           해석: 굳이 무언가를 하려고 애쓰지 않고, 자연스러운 흐름에 맡기는 것이 더욱 효과적입니다.      



4) 허심유복과 마태복음 5장 3절

서론

"허심유복(虛心裕福)"은 '마음을 비우면 복이 가득하다'는 뜻으로, 동양 철학에서 강조하는 중요한 가치입니다. 이는 마음을 비우고 겸손하게 살면 행복과 평안을 얻을 수 있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한편, 마태복음 5장 3절의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라"는 말씀은 허심유복과 매우 유사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허심 사상과 마태복음 5장 3절의 연관성  

마음 비우기: 두 가지 모두 마음을 비우는 것을 강조합니다. 허심유복은 물질적인 욕심을 버리고 마음을 비움으로써 행복을 얻는다는 것이고, 마태복음 5장 3절은 영적인 차원에서의 가난, 즉 자기 의를 버리고 하나님께 의지함으로써 천국을 상속받는다는 것을 말합니다.

겸손: 둘 다 겸손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허심은 겸손한 마음을 의미하며, 마태복음 5장 3절 역시 자기 의를 버리고 겸손하게 하나님께 나아가는 것을 요구합니다.

복: 둘 다 마음을 비우고 겸손하게 살면 복을 받는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허심유복은 물질적인 복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평안을 의미하며, 마태복음 5장 3절은 영적인 복인 천국을 상속받는 것을 의미합니다.

동양 철학 허심 사상을 중심으로

허심 사상은 도교, 유교 등 다양한 동양 철학에서 중요하게 다뤄지는 개념입니다.  

도교: 도교에서는 마음을 비우고 자연에 순응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마음에 욕심이나 번뇌가 가득하면 자연의 이치를 깨달을 수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유교: 유교에서는 겸손과 예를 중시하며, 마음을 비우고 공경하는 자세를 강조합니다. 이는 인간관계를 원만하게 하고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하다고 봅니다.

불교: 불교에서는 무아의 개념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든 것은 변화하고 고정된 실체가 없다는 것을 깨닫고, 집착을 버리면 고통에서 해탈할 수 있다고 봅니다.

결론

허심유복과 마태복음 5장 3절은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 나온 가르침이지만, 마음을 비우고 겸손하게 살면 행복을 얻을 수 있다는 공통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인간이 추구하는 보편적인 가치임을 보여줍니다. 현대 사회에서 물질적인 풍요 속에서도 정신적인 공허함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데, 허심 사상은 이러한 현대인들에게 깊은 공감과 위로를 제공합니다.



5) 허심으로 즐기는 인생 후반

문제 상황 정의

'숙제하듯 의무감과 압박감으로 살아가는 인생'은 인생의 전환기를 마치 해결해야 할 과제처럼 여기며, 끊임없이 무언가를 이루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행복을 가로막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동양철학적 관점에서 본 문제점  

유교적 사상의 영향: 효, 충, 예 등의 유교적 가치관이 과도하게 강조되면서 개인의 행복보다는 사회적 의무에 더욱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불교적 관점에서의 고통: 끊임없는 욕망과 집착은 고통의 근원이라는 불교적 가르침과 상반됩니다.

도교적 관점에서의 자연스러움: 인위적인 노력보다는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하는 도교의 가르침과는 거리가 멉니다.

현존의 힘을 활용한 해결 방안

1. 불교의 '지금 이 순간'에 집중하기  

명상: 좌선이나 호흡 명상을 통해 마음을 현재 순간에 집중시키고, 과거의 후회나 미래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납니다.

마음 챙김: 일상생활 속에서 모든 행위에 마음을 기울여 현재 순간을 온전히 경험합니다.

무심: 모든 것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입니다.

2. 도교의 '자연스러움'을 추구하기  

무위자연: 인위적인 노력을 줄이고, 자연스러운 삶의 흐름에 순응합니다.

자연과의 교감: 자연 속에서 시간을 보내며 마음을 안정시키고, 자연의 이치를 배우며 삶의 지혜를 얻습니다.

3. 유교의 '중용'을 실천하기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모든 일에 있어 중용을 지키고, 과도한 욕심이나 완벽주의를 버립니다.

인간관계를 중시: 가족, 친구 등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소중히 하고, 함께 시간을 보냅니다.

4. 노장사상의 '무욕'을 실천하기  

욕심 버리기: 물질적인 것에 대한 욕심을 버리고, 정신적인 풍요를 추구합니다.

소유보다 경험: 물건을 소유하는 것보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삶의 의미를 찾습니다.

허심으로 즐기는 인생 후반을 위한 실천 전략  

취미 활동: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며 즐거움을 찾고, 삶에 활력을 불어넣습니다.

사회 활동: 자원봉사 등 사회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고, 삶의 의미를 발견합니다.

여행: 새로운 곳을 여행하며 다양한 경험을 하고, 삶의 시야를 넓힙니다.

건강 관리: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 건강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입니다.

독서와 학습: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킵니다.

결론

'허심으로 즐기는 인생 후반'은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삶의 의미를 찾고 행복을 추구하는 과정입니다. 동양철학의 지혜를 활용하여 현재 순간에 집중하고, 자연스러운 삶을 살아가는 것은 인생 후반기를 더욱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



6) 이고득락의 인생철학

이고득락(離苦得樂)은 불교에서 괴로움(고)을 떠나고 행복(락)을 얻는다는 의미로, 단순히 육체적인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의 평화와 해탈을 통해 얻는 진정한 행복을 의미합니다. 즉 고통에서 벗어나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생철학을 말합니다. 살다 보면 어떤 부정적인 감정이나 행동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경험합니다. 그러다 문득 생각하게 되죠. '이렇게 괴로움에 빠져 지낼 필요가 있을까?' 그러면서 문제의 근본원인이 내 마음에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마음을 살펴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됩니다.


1. 문제 상황  

삶의 고통: 육체적, 정신적 고통, 불안, 우울 등 삶에서 겪는 다양한 고통

무상함과 고독: 모든 것은 변화하고, 혼자라는 고독감

욕망과 집착: 물질적인 것, 관계, 성공 등에 대한 집착으로 인한 고통

번뇌와 고뇌: 분노, 미움, 질투 등 부정적인 감정으로 인한 고통


2. 핵심 원칙  

무상: 모든 것은 변화한다는 불변의 진리

무아: 고정된 자아는 없으며, 모든 것은 연기적으로 존재한다는 것

고: 삶에는 고통이 따르는 것이 자연스러운 법칙

도: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는 길

락: 궁극적인 행복, 즉 고통에서 벗어난 상태


3. 실천 방법  

마음 관찰: 명상을 통해 자신의 마음을 관찰하고, 생각과 감정을 비판 없이 받아들입니다.

욕망 버리기: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소유보다는 경험을 중시합니다.

자비심 키우기: 모든 존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공감하며, 자비심을 실천합니다.

연결성 인식: 모든 존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관계를 소중히 합니다.

지혜 함양: 불교 경전을 공부하고, 스승의 가르침을 통해 지혜를 얻습니다.


4. 인용문구 및 해설  

"모든 고통은 갈애에서 비롯된다." - 붓다: 욕망과 집착이 고통의 근원임을 강조합니다.

"무상, 고, 무아는 삼법인이다." - 불교 경전: 삶의 진리를 간결하게 표현한 문구입니다.

"자비심은 가장 강력한 무기이다." - 달라이 라마: 자비심이 고통을 치유하고 행복을 가져다준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종합

이고득락은 단순히 괴로움을 피하고 즐거움을 추구하는 것이 아닙니다. 삶의 본질을 깨닫고, 마음을 수련하여 고통의 근원을 제거하고, 진정한 행복을 얻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우리는 끊임없이 자신을 관찰하고, 지혜를 함양하며, 실천을 통해 변화해야 합니다.

작가의 이전글 코스모스, 우주적 자아가 느끼는 고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