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호칭을 정리해 드려요.
설날이 되면 가족과 친척을 만나면서 누군가를 부를 때 '호칭'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 최근 만난 모임에서도 '처남의 아래를 어떻게 불러야 하나요?'라는 질문이 있었는데, 아무도 그에 대한 답을 내놓지 못했다.
정답은, '처남댁'이었다.
결혼하면 이전과 달리 많은 이해관계가 생기면서 호칭도 많아지게 된다.
결혼 한 남자가 부르는 호칭은 이렇다.
형의 배우자에게는 형수님, 누나의 배우자에게는 자형이나 매형, 남동생의 배우자에게는 제수씨, 여동생의 배우자에게는 매제, 형님(아내의 오빠)의 배우자에게는 '아주머니', 처형(아내의 언니)의 배우자에게는 '형님', 처남(아내의 남동생)의 배우자에겐 '처남댁', 처제(아내의 여동생)의 배우자에게는 '동서'라고 부르면 된다.
결혼 한 여자가 부르는 호칭은 이렇다.
오빠의 배우자에겐 '올케', 언니의 배우자에게는 '형부', 남동생의 배우자에겐 '올케', 여동생의 배우자에게는 '제부', 아주버님(남편의 형님)의 배우자에게는 '형님', 형님(남편의 누나)의 배우자에게는 '아주버님', 도련님(미혼)/서방님(기혼)(남편의 남동생)의 배우자에게는 '동서', 아가씨(남편의 여동생)의 배우자에게는 '서방님'이라고 부른다.
가장 낯선 호칭은 결혼 한 여자가 부르는 호칭 중 진짜 서방님이 아닌데 남편의 남동생과 아가씨(남편의 여동생)의 배우자에게 '서방님'이라고 부른다는 것이다. 왜 이렇게 불러야 하는지 여전히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
찾아보니 '서방님'은 남편을 높여 부르는 말이자, 결혼한 시동생을 일컫는 말이 된 유래로 3가지가 거론된다. 고려 시대까지 아내를 맞이하려면 처갓집에서 일을 했어야 하는데, 이런 문화를 '사위 서'를 써서 '서옥제'라고 불린다. 데릴 사위 방을 서쪽에 두어 '서녁 서, 방방'의 의미로 서방님이 유래했다고 한다.
또 다른 설로는 고려시대 최우는 아버지 최충헌과 달리 문신을 우대하는 정책을 썼는데, '글 서, 방방'의 행정기구 '서방'을 만들었다. 조선시대로 들어와 '젊은 선비'를 칭하는 말로 서방님이 보통 명사로 파생되었다고 한다.
마지막은 '새로운 남자'를 의미하는 '신랑'과 같은 의미로, '새 신과 사내 랑'에서 '새 신'에 사람에 붙이는 '방'이라는 호칭을 넣어 '새로운 남자'를 의미하는 새방에서 서방으로 변형되었다는 설이다.
가족 간의 호칭은 상식선에서 알아두고, 요즘은 이름에 씨를 붙여서도 부르기에 가족 문화에 따라 호칭을 사용하면 될 것 같다. 모든 구성원들이 동등하게 존중받고 존중하는 문화를 만드는 것이 더 중요하겠지만 말이다.
가족 모두가 평등하고 평안한 설 연휴를 보내기를 바라며,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