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러셀:인류는 왜 싸우는가-내 안의 전쟁본능을 제어하는법

전쟁 본능은 이성과 논리가 아니라 평화를 향한 열정으로만 막을 수 있다

<WHY MEN FIGHT> (1916)

-A METHOD OF ABOLISHING
THE INTERNATIONAL DUEL

BY

BERTRAND RUSSELL, M. A., F.R.S.


이 글과 함께 읽으면 좋을 작품들



"The Ambassadors" by Hans Holbein the Younger (1533)

   - '대사들'은 문화, 과학, 예술적 지식의 상징으로 둘러싸인 정치적, 학문적 권력을 상징하는 인물을 통해 인간 성취의 장대함을 묘사한 르네상스 시대의 걸작입니다. 그러나 아나모픽 해골의 존재는 지상의 업적이나 지위와 상관없이 인생의 덧없음과 죽음의 필연성을 상기시키는 메멘토 모리의 역할을 합니다. 이 작품의 미묘하면서도 심오한 특징은 권력의 덧없음과 전쟁과 분쟁의 이면에 있는 뿌리 깊고 비이성적인 인간의 충동을 일시적인 것으로 인식할 필요성에 대한 버트런드 러셀의 성찰을 반영하며, 불변하는 인간의 조건에 비추어 권력 추구를 재고할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Shooting Picture" by Niki de Saint Phalle (1961)

  - 이 퍼포먼스 아트 작품에서 드 생팔은 관객에게 물감으로 채워진 풍선을 쏘도록 유도하여 러셀이 비판한 것과 유사한 인간 본성의 파괴적 충동에 대해 논평했습니다.
















"The Horse Fair" by Rosa Bonheur (1852-1855)

   - 힘과 역동적인 에너지의 묘사로 잘 알려져 있지만, 보네르의 그림은 공격적인 욕구를 통제하려는 러셀의 생각과 유사하게 통제되지 않은 충동과 이를 활용해야 할 필요성에 대한 은유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러셀이 말하는 전쟁본능과 평화본능


문장:  

전쟁에 대한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어느 쪽도 적절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독일인들의 사악함 때문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이고, 대부분의 평화주의자들의 견해는 외교적 얽힘과 각국 정부의 야망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이 두 가지 견해 모두 전쟁이 평범한 인간 본성에서 비롯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독일인, 그리고 정부를 구성하는 사람들은 전반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열정에 의해 움직이는 평균적인 인간이며, 그들의 상황을 제외하고는 다른 세계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독일인도 아니고 외교관도 아닌 사람들이 전쟁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고, 거짓되고 부적절한 이유에 대해 묵인하고 있는데, 이는 다른 국가나 계층에서 전쟁에 대한 깊은 혐오가 널리 퍼져 있다면 불가능할 것이다.  There are two views of the war neither of which seems to me adequate. The usual view in this country is that it is due to the wickedness of the Germans; the view of most pacifists is that it is due to the diplomatic tangle and to the ambitions of Governments. I think both these views fail to realize the extent to which war grows out of ordinary human nature. Germans, and also the men who compose Governments, are on the whole average human beings, actuated by the same passions that actuate others, not differing much from the rest of the world except in their circumstances. War is accepted by men who are neither Germans nor diplomatists with a readiness, an acquiescence in untrue and inadequate reasons, which would not be possible if any deep repugnance to war were widespread in other nations or classes.

설명:  

이 인용문은 전쟁의 본질과 전쟁에 대한 사회적 태도에 대한 중요한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화자는 전쟁의 원인을 특정 집단(이 경우 독일군)의 사악함 탓으로 돌리는 전통적인 견해와 전쟁을 외교적 복잡성과 정부의 야망으로 돌리는 평화주의적 견해에 모두 이의를 제기합니다. 저자는 전쟁을 평범한 인간 본성과 분쟁에 대한 약한 정당성을 받아들이려는 사회적 의지의 연장으로 간주하는 대안적 이해를 제안하며, 전쟁의 원인이 특정 국가나 계층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들 안에 내재되어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통찰은 군사주의적 행동의 심리적이고 보편적인 측면을 강조하고 결과적으로 전쟁과 평화를 둘러싼 대화를 재구성합니다.  

비유와 사례: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전쟁에 대한 사회의 일반적인 접근 방식을 민담에서 특정 개인이나 집단이 공동체가 직면한 모든 문제에 대해 비난을 받는 희생양 찾기 과정과 유사하다고 생각해 보세요. 이는 화자가 살고 있는 현대 사회에서 독일인이 유일한 악당으로 지목되는 '일반적인 시각'과 유사합니다. 또는 평화주의자의 관점을 복잡한 체스 게임에 비유할 수도 있는데, 외교관과 정부는 야망과 음모로 둘러싸인 전략적 플레이어로 묘사되며, 전쟁을 보상이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삼는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화자의 관점은 모든 인간 공동체의 휴화산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화산이 자연 경관의 일부이며 특정 조건에서 폭발할 수 있는 것처럼, 일반 대중도 주변 환경으로부터 충분한 자극을 받으면 전쟁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는 내재적 성향을 품고 있을 수 있습니다. 학생들을 위한 예로, 경쟁과 갈등을 일으키기 쉬운 아이들이 특정 개인의 내재된 사악함이나 그들 사이의 복잡한 음모 때문이 아니라 그들의 행동을 간접적으로 부추기거나 억제하지 못하는 광범위한 지배적인 태도 때문에 싸움을 벌이는 학교 운동장을 상상해 보세요. 싸움은 모든 계층과 국가 간에 깊은 반감이 조장되지 않을 때 사회가 전쟁을 정상화할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아이들이 자연스러운 경쟁심을 견제하지 않고 합리화하며, 긴장의 실제 근원과 본질을 감독하거나 과소평가하거나 잘못 파악하는 어른들에 의해 어느 정도는 활성화되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문장:  

국경 밖에서 국가의 권력은 주로 전쟁이나 전쟁의 위협에서 비롯된다. 일부 권력은 자국민에게 돈을 빌려주거나 빌려주지 않도록 설득하는 능력에서 파생되지만, 이는 군대와 해군에서 파생되는 권력과 비교할 때 중요하지 않다.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드문 예외를 제외하면 국가의 대외 활동은 이기적입니다. 때때로 다른 국가의 선의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으로 인해 이기심이 완화되기도 하지만, 이는 사용되는 방법만 변경할 뿐 추구하는 목적은 변경하지 않습니다. 다른 국가에 대한 단순한 방어 외에 추구하는 목적은 한편으로는 약소국이나 미개한 국가를 성공적으로 착취할 수 있는 기회이며, 다른 한편으로는 돈보다 더 영광스럽고 물질적이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권력과 명성입니다. 이러한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어떤 국가도 착취나 복종과 행복이 양립할 수 없는 수많은 외국인을 죽이거나 테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영토를 황폐화시키는 것을 주저하지 않습니다.  The power of the State outside its own borders is in the main derived from war or the threat of war. Some power is derived from the ability to persuade its citizens to lend money or not to lend it, but this is unimportant in comparison with the power derived from armies and navies. The external activity of the State—with exceptions so rare as to be negligible—is selfish. Sometimes selfishness is mitigated by the need of retaining the goodwill of other States, but this only modifies the methods employed, not the ends pursued. The ends pursued, apart from mere defense against other States, are, on the one hand, opportunities for successful exploitation of weak or uncivilized countries, on the other hand, power and prestige, which are considered more glorious and less material than money. In pursuit of these objects, no State hesitates to put to death innumerable foreigners whose happiness is not compatible with exploitation or subjection, or to devastate territories into which it is thought necessary to strike terror.

설명:  

이 섹션에서는 국가가 국경을 넘어 권력을 행사하는 동기와 그 결과를 살펴봅니다. 국가가 대외적으로 사용하는 힘은 주로 군사적 능력에 의해 주도되며, 재정적 설득이나 다른 형태의 소프트 파워를 압도합니다. 이러한 힘은 주로 국방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국가를 착취하거나 더 큰 힘과 국제적 명성을 얻기 위해 이기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저자는 전통적인 국가가 자신의 목표와 충돌할 때마다 외국인의 복지와 행복을 무시한다고 비판하면서, 국가는 자신의 목표를 확보하기 위해 죽음이나 황폐화를 기꺼이 초래한다고 지적합니다. 이 구절은 국가의 국제적 행동이 본질적으로 이기적이라는 저자의 확신과 이러한 권력 역학 관계의 도덕적 함의에 대해 의문을 제기합니다.  

비유와 사례:  

국가의 대외적 권력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은유는 방어뿐만 아니라 사냥과 영토 확장에도 힘을 사용하는 야생의 포식자 동물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최상위 포식자가 자신의 서식지를 지배하는 것처럼 국가는 군대를 무력 과시 수단으로 사용하며, 때로는 사자가 약한 동물을 공격하듯 약한 국가를 잡아먹습니다. 예를 들어, 원시림에서 생존을 위해 모든 자원이 필요해서가 아니라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강력한 종이 최고의 수원지와 사냥터를 점령하는 시나리오를 상상해 보십시오. 이 종은 자원을 비축하고 다른 종에게 공포심을 심어줌으로써 지배력을 강화합니다. 숲의 한 지역에 사는 주민들이 더 강력한 이웃의 침략으로 생계를 빼앗길 수 있는 것처럼, 강대국이 평화롭게 공존하고 상호 이익을 위해 자원을 공유하기보다는 착취나 명성을 위해 군사력을 통해 힘을 행사할 때 국가도 고통을 겪습니다. 이러한 행동은 지배 세력이 식민지를 점령하여 식민지의 자원을 수탈하고 저항을 진압하여 지배력과 국력을 유지하려 했던 식민주의와 제국주의의 실제 사례와 유사합니다. 이 은유와 예시는 국제 정의나 약소국의 복지를 고려하지 않고 행사되는 국가 권력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저자의 철학적 입장을 보여줍니다.  



문장:  

모든 인간 활동은 충동과 욕망이라는 두 가지 원천에서 비롯된다. 욕망의 역할은 항상 충분히 인정되어 왔다. 인간은 자신이 완전히 만족하지 못하고, 만족의 원인이 되는 것을 즉각적으로 구할 수 없을 때, 상상력은 자신을 행복하게 해줄 것이라고 믿는 것들을 마음속에 떠올리게 한다. 모든 욕망에는 욕구 의식과 욕구 충족의 기회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존재합니다. 욕망에서 비롯된 행위는 그 자체로 고통스러울 수 있고, 만족을 얻기까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수 있으며, 원하는 대상은 우리 삶 밖에 있는 것일 수도 있고, 심지어 우리가 죽은 후에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의지를 지시하는 힘으로서 의지는 주로 관련된 행위의 고통과 양립할 수 없지만 더 즉각적인 욕망과 충동의 요청에도 불구하고 다소 먼 대상에 대한 욕망을 따르는 것으로 구성됩니다.  “All human activity springs from two sources: impulse and desire. The part played by desire has always been sufficiently recognized. When men find themselves not fully contented, and not able instantly to procure what will cause content, imagination brings before their minds the thought of things which they believe would make them happy. All desire involves an interval of time between the consciousness of a need and the opportunity for satisfying it. The acts inspired by desire may be in themselves painful, the time before satisfaction can be achieved may be very long, the object desired may be something outside our own lives, and even after our own death. Will, as a directing force, consists mainly in following desires for more or less distant objects, in spite of the painfulness of the acts involved and the solicitations of incompatible but more immediate desires and impulses.”

설명:  

이 구절은 인간의 동기에 대한 철학적 개념을 '충동'과 '욕망'으로 나누어 살펴봅니다. 화자는 잘 알려진 동기로서의 욕망의 역할을 강조하며, 욕망의 미래 지향적 특성과 종종 수반되는 지연된 만족으로 구별합니다. 욕망은 미래의 행복에 대한 희망으로 당장 즐겁지 않은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희생과 지연된 성취에 대한 인간의 능력을 보여줍니다. '의지'는 도전이나 경쟁 충동에도 불구하고 개인이 욕망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힘으로 파악됩니다. 이 개념은 연사의 세계관과 연결되는데, 인간의 행동을 이끄는 원동력에 대한 이해는 특히 인간의 갈등과 이상 또는 자원 추구에 대한 동기를 이해하는 데 있어 사회적 역학에 대한 분석을 심화시킵니다.  

비유와 사례:  

정원에 꽃이 만발한 모습을 보고 싶어하는 정원사를 상상해 보세요. 이 욕망은 즉각적인 만족감을 주지는 않지만, 매일 잡초를 뽑고 물을 주는 고된 작업을 수행하고 물집과 뜨거운 태양을 견디며 꽃이 만발하고 녹음이 우거진 이미지를 머릿속에 그려보라고 손짓합니다. 씨앗을 심고 첫 새싹이 흙을 뚫고 나오는 것을 보기까지의 시간은 화자가 언급한 시간의 간격을 나타냅니다. 아름다운 정원에 대한 그의 의지는 몇 주 또는 몇 달의 노동을 통해 그를 앞으로 나아가게 합니다. 계절이 바뀌면서 그는 자신의 작품이 완전히 완성되는 것을 보지 못할 수도 있지만, 그의 노력은 다른 사람들이 누릴 수 있는 미래의 아름다움을 위한 무대를 마련한 것이며, 이는 어떤 욕망은 개인의 삶을 초월한다는 개념과 유사합니다. 이 비유는 인간의 행동은 종종 당장의 만족을 넘어서는 비전을 추구함으로써 촉진된다는 개념, 즉 개인의 야망을 자극할 뿐만 아니라 국가와 사회가 장기적인 목표에 투자하거나 미래 세대 또는 자신보다 더 위대하다고 여겨지는 대의를 위해 희생하도록 이끌 수 있는 특성을 예시하는 것입니다.  



문장:  

이러한 견해를 받아들이는 사람은 자연스럽게 인간이 이성의 지배를 더 많이 받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됩니다. 전쟁은 필연적으로 모든 전투원에게 엄청난 해를 끼칠 수밖에 없다고 보는 사람들에게 전쟁은 단순한 광기, 즉 평화의 시기에 알려진 모든 것을 잊어버리는 집단적 광기처럼 보입니다. 충동이 더 잘 통제되고 생각이 열정에 덜 지배된다면, 사람들은 전쟁의 열기가 다가오는 것을 막기 위해 마음을 지키고 분쟁은 우호적으로 조정될 것입니다. 이것은 사실이지만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진정으로 사고하고자 하는 욕망 자체가 열정인 사람만이 이 욕망이 전쟁의 열정을 제어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열정만이 열정을 통제할 수 있고, 반대되는 충동이나 욕망만이 충동을 견제할 수 있습니다. 전통적인 도덕주의자들이 설파하는 이성은 너무 부정적이고, 좋은 삶을 살기에는 너무 부족합니다. 전쟁은 이성만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이끄는 충동과 열정에 대항하는 충동과 열정의 긍정적인 삶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변화해야 할 것은 의식적인 사고의 삶이 아니라 충동의 삶입니다.  The first thought which naturally occurs to one who accepts this view is that it would be well if men were more under the dominion of reason. War, to those who see that it must necessarily do untold harm to all the combatants, seems a mere madness, a collective insanity in which all that has been known in time of peace is forgotten. If impulses were more controlled, if thought were less dominated by passion, men would guard their minds against the approaches of war fever, and disputes would be adjusted amicably. This is true, but it is not by itself sufficient. It is only those in whom the desire to think truly is itself a passion who will find this desire adequate to control the passions of war. Only passion can control passion, and only a contrary impulse or desire can check impulse. Reason, as it is preached by traditional moralists, is too negative, too little living, to make a good life. It is not by reason alone that wars can be prevented, but by a positive life of impulses and passions antagonistic to those that lead to war. It is the life of impulse that needs to be changed, not only the life of conscious thought.

설명:  

이 부분에서 저자는 이성, 열정, 전쟁 발발 사이의 관계에 대해 논의합니다. 이 성찰은 이성에 대한 강조가 전쟁의 비합리성을 막을 수 있다는 가정에서 시작되지만, 화자는 단순한 이성만으로는 갈등을 유발하는 열정적 충동을 억제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함으로써 이러한 관념에 도전합니다. 화자는 전쟁에 대한 충동과 반대되는 강한 열정과 욕망만이 진정으로 무력적 경향을 완화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저자는 이성적 사고뿐만 아니라 인간의 충동과 감정 차원에서도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야 한다고 제안합니다. 이성과 감성에 모두 호소하는 이 이중적 접근 방식은 평화를 향한 보다 총체적이고 효과적인 길이라고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이 개념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전쟁을 통제되지 않은 충동의 마른 부싯깃과 공격적인 열정의 바람에 의해 연료를 소모하는 산불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맑고 차가운 이성의 흐름이 이러한 불길을 잠재울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구절은 전쟁이라는 산불을 진정으로 통제하고 궁극적으로 진압하기 위해서는 물뿐만 아니라 평화와 상호 이해에 대한 다른 열정적인 욕망의 반격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화합을 향한 뜨거운 열정으로 적대감을 불러일으키는 열정에 강력한 정서적, 도덕적 균형추를 제공하는 평화 운동가 및 단체의 활동을 현실 세계의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이들은 전쟁에 반대하는 논리적 주장에만 의존하지 않고, 공동체와 연대, 전쟁이 가져오는 고통과 파괴가 없는 세상에 대한 인간의 깊은 욕구를 자극하는 운동과 정서를 불러일으킵니다. 이들의 노력은 개인과 사회에 평화를 향한 충동을 불러일으켜 분쟁을 일으키려는 충동에 맞설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충동을 불러일으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문장:  

그러나 적극적인 평화주의자들은 이런 부류에 속하지 않는다: 그들은 충동적 힘이 없는 사람이 아니라 전쟁에 적대적인 어떤 충동이 전쟁으로 이끄는 충동을 극복할 수 있을 만큼 강한 사람이다. 국가적 삶의 모든 움직임을 방해하고, 겉으로는 절망적인 대의를 촉구하고, 굴종을 초래하고, 집단적 감정의 전염에 저항하는 것은 열정없는 사람의 행동이 아닙니다. 여론의 적대감을 피하려는 충동은 인간 본성에서 가장 강한 충동 중 하나이며, 직접적이고 계산되지 않은 충동의 비정상적인 힘에 의해서만 극복 될 수 있으며, 그러한 행동을 유발할 수있는 것은 차가운 이성 만이 아닙니다.  The active pacifists, however, are not of this class: they are not men without impulsive force but men in whom some impulse to which war is hostile is strong enough to overcome the impulses that lead to war. It is not the act of a passionless man to throw himself athwart the whole movement of the national life, to urge an outwardly hopeless cause, to incur obloquy and to resist the contagion of collective emotion. The impulse to avoid the hostility of public opinion is one of the strongest in human nature, and can only be overcome by an unusual force of direct and uncalculating impulse; it is not cold reason alone that can prompt such an act.

설명:  

이 구절은 열정이나 충동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전쟁에 심오하게 반대하는 충동이 내면에 있어서 갈등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에 저항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는 적극적 평화주의자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저자는 적극적 평화주의는 사회적 혐오와 공동체의 압력을 이겨낼 수 있는 신념과 감정의 강렬함을 필요로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평화주의자들이 수동적이거나 냉담한 사람이라는 고정관념에 반하는 것으로, 오히려 평화주의자들은 평화에 대한 깊은 열망으로 인해 민족주의와 전쟁 열기에 맞서려는 의지가 강하고 특히 열정적인 사람으로 묘사됩니다. 저자는 이러한 행동이 순전히 이성적인 사고보다 더 본능적인 강력하고 계산적이지 않은 충동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암시하며, 평화주의적 신념 뒤에 숨겨진 감정의 복잡성과 강렬함을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적극적 평화주의자를 이해하는 데 적절한 비유는 강력한 폭풍우에 맞서 굳건히 서 있는 외로운 나무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다른 나무들은 폭풍의 힘에 굴복하여 고개를 숙이는 반면(압도적인 전쟁의 부름에 흔들리는 사람들을 상징), 평화주의자는 도덕적 신념과 평화에 대한 열망이라는 토양 깊숙이 뻗은 뿌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뿌리 덕분에 여론과 민족주의적 열정의 격렬한 돌풍을 견뎌낼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분쟁이 격화되는 시기에 적극적인 평화주의자들은 조롱과 투옥 또는 더 큰 위험에도 불구하고 무기를 들기를 거부하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들과 비슷합니다. 이들의 행동은 전쟁을 정당화하는 논리를 거부하고 인본주의와 비폭력의 원칙을 고수하는 내면의 소명, 즉 뿌리 깊은 동기에 의해 촉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쟁의 참상을 목격했거나 평화의 가치를 키우는 환경에서 성장하는 등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준 경험에 의해 동기가 부여되기도 합니다. 역경에도 굴하지 않는 이들의 태도는 열정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국가를 전쟁으로 몰고 가는 그 어떤 것 못지않게 강력하고 적극적인 평화에 대한 열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문장:  

개인 간의 좋은 관계의 두 가지 주요 원천은 본능적인 호감과 공동의 목적입니다. 이 두 가지 중 공동의 목적이 정치적으로 더 중요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그것은 본능적 호감이나 공통의 본능적 혐오감의 원인이 아니라 결과인 경우가 많습니다. 가족부터 국가에 이르기까지 생물학적 집단은 어느 정도의 본능적 호감도에 의해 구성되며, 이를 바탕으로 공동의 목적을 구축합니다. 본능적 호감이란 다른 사람과 함께 있을 때 즐거움을 느끼고, 그의 존재에서 짜릿함을 느끼며, 그와 대화하고, 함께 일하고, 함께 놀고 싶어하는 감정입니다. 그것의 극단적 인 형태는 사랑에 빠지는 것이지만, 그 희미한 형태, 심지어 아주 희미한 형태조차도 정치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본능적으로 싫어하는 사람의 존재는 다른 사람을 더 좋아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유대주의자는 유대인이 있으면 어떤 동료 기독교인도 좋아할 것입니다. 중국이나 아프리카의 야생에서는 백인이라면 누구든 반갑게 맞이할 것입니다. 일반적인 혐오감은 가벼운 본능적 호감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The two chief sources of good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re instinctive liking and a common purpose. Of these two, a common purpose might seem more important politically, but, in fact, it is often the outcome, not the cause, of instinctive liking, or of a common instinctive aversion. Biological groups, from the family to the nation, are constituted by a greater or less degree of instinctive liking, and build their common purposes on this foundation. Instinctive liking is the feeling which makes us take pleasure in another person’s company, find an exhilaration in his presence, wish to talk with him, work with him, play with him. The extreme form of it is being in love, but its fainter forms, and even the very faintest, have political importance. The presence of a person who is instinctively disliked tends to make any other person more likable. An antiSemite will love any fellowChristian when a Jew is present. In China, or the wilds of Africa, any white man would be welcomed with joy. A common aversion is one of the most frequent causes of mild instinctive liking.

설명:  

이 부분에서 저자는 개인과 집단 모두에서 좋은 관계를 형성하는 데 있어 본능적 호감과 공동의 목적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대인관계의 역학 관계를 탐구합니다. 본능적 호감이 공동의 목적을 구축하는 기반이 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사회적, 정치적 통합의 본능적, 정서적 토대를 드러낸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저자는 본능적 호감이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이며, 이는 개인적일 뿐만 아니라 더 넓은 사회적, 정치적 의미를 지닌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나의 적의 적은 나의 친구'라는 심리적 원리를 탐구하여 공통의 혐오가 아이러니하게도 동지애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따라서 이 구절은 인간관계의 복잡성과 미묘함, 그리고 그 정치적 함의에 대한 저자의 이해를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제시된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사회를 수많은 개별 실로 짜여진 복잡한 태피스트리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각 사람은 하나의 실을 나타내며, 태피스트리의 결속력은 공유된 감정과 목표에 의해 실들이 함께 그려지는 것에 의존합니다. 동네 블록 파티와 같은 지역 커뮤니티 행사에서 사람들이 함께 모여 게임이나 지역 사회 개선에 대한 토론과 같은 경험을 공유하면서 유대감을 형성한다고 상상해 보세요. 한 사람 한 사람이 지인과 친구의 경계를 허물어 가면서 연결 고리가 엮여 동네의 사회적 구조가 형성되고 커뮤니티 구조가 강화됩니다. 여기서 본능적인 호감은 정원 가꾸기나 교육과 같이 공통의 관심사를 가진 다른 사람들에게 끌리면서 커뮤니티에 도움이 되는 협업 프로젝트의 토대를 마련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역학 관계는 정치 무대에서도 나타나며, 예를 들어 국가가 동맹을 맺을 때 상호 존중이나 공통의 문화적 이해에 대한 암묵적인 인정에서 관계가 시작될 수 있으며, 나중에 경제 파트너십이나 방위 조약과 같은 공동의 목표에 의해 강화됩니다. 이 은유와 예시는 심오한 사회적, 정치적 구조의 토대가 종종 인간 상호 작용의 단순하고 본능적인 유대감 위에 놓여 있음을 보여줍니다.  



문장:  

인간의 충동은 타고난 기질에 의해 처음부터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환경과 삶의 방식에 의해 크게 수정된다. 이러한 수정의 본질을 연구해야 하며, 그러한 연구 결과는 정치 및 사회 제도가 행하는 선과 해악을 판단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전쟁은 대체로 이성이나 욕망이 아니라 충동의 삶에서 비롯된 것이다. 침략의 충동과 침략에 대한 저항의 충동이 있습니다. 둘 중 하나는 때때로 이성에 따를 수도 있지만, 둘 다 이성에 상당히 반하는 많은 경우에 작용합니다. 각각의 충동은 그에 수반되는 신념의 총체적인 수확을 낳습니다. 침략 충동에 적합한 신념은 베른하르디나 초기 모하메드 정복자들, 또는 완전하게는 여호수아서에서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자기 집단의 우월한 우수성에 대한 확신, 즉 어떤 의미에서 자신이 선택된 민족이라는 확신이 있습니다. 이것은 자기 집단의 선과 악만이 진정으로 중요하며, 나머지 세계는 단지 더 높은 종족의 승리 또는 구원을 위한 재료로만 간주되어야 한다는 느낌을 정당화합니다.  A man’s impulses are not fixed from the beginning by his native disposition: within certain wide limits, they are profoundly modified by his circumstances and his way of life. The nature of these modifications ought to be studied, and the results of such study ought to be taken account of in judging the good or harm that is done by political and social institutions. The war has grown, in the main, out of the life of impulse, not out of reason or desire. There is an impulse of aggression, and an impulse of resistance to aggression. Either may, on occasion, be in accordance with reason, but both are operative in many cases in which they are quite contrary to reason. Each impulse produces a whole harvest of attendant beliefs. The beliefs appropriate to the impulse of aggression may be seen in Bernhardi, or in the early Mohammedan conquerors, or, in full perfection, in the Book of Joshua. There is first of all a conviction of the superior excellence of one’s own group, a certainty that they are in some sense the chosen people. This justifies the feeling that only the good and evil of one’s own group is of real importance, and that the rest of the world is to be regarded merely as material for the triumph or salvation of the higher race.

설명:  

이 구절은 행동과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의 충동이 전적으로 타고난 것이 아니라 환경과 경험에 의해 상당 부분 형성된다고 가정하면서 인간 행동에 대한 중요한 분석을 제시합니다. 특히 전쟁은 충동적 행동과 공격적 충동을 수반하고 정당화하는 신념의 산물이라고 주장합니다. 이 글의 비판은 정치 및 사회 제도가 이러한 충동을 조장하고 증폭시켜 국가 또는 집단의 우월성을 가장한 갈등과 분쟁을 일으킬 수 있다는 주장에 있습니다. 저자는 상황이 어떻게 충동을 형성하고 결과적으로 국제 무대에서 침략과 같은 행동으로 이어지는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검토를 촉구합니다. 이러한 관점은 전쟁의 복잡성을 단순한 침략이나 저항으로 축소할 수 없으며, 이러한 충동을 유발하는 문화적, 심리적 요인의 맥락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저자의 철학을 뒷받침합니다.  

비유와 사례:  

다양한 식물이 사회의 개인을 대표하고 정원사가 정치 및 사회 제도를 구현하는 정원을 생각해 봅시다. 식물은 타고난 성향을 가지고 있는데, 어떤 식물은 더 공격적이고 빠르게 성장하여 다른 식물을 밀어내는 반면, 어떤 식물은 더 회복력이 강하여 무분별하게 자라지 않습니다. 그러나 정원사가 정원을 가꾸는 방식, 즉 영양분 공급, 공간 할당, 선호하거나 무시하는 식물은 이러한 자연적 성향을 강화하거나 약화시켜 균형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 비유에서 정원사가 공격적인 종을 키우고 다른 종을 무시하면 정치 및 사회 제도가 국가나 공동체의 공격적인 충동을 키울 수 있는 것처럼 소수가 정원을 지배하게 될 수 있습니다. 역사의 한 예로 문화적, 인종적 우월성에 대한 믿음이 원주민을 희생시키면서까지 서부로 확장하는 것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된 미국의 '운명론(Manifest Destiny)'을 들 수 있습니다. 이 이데올로기는 진공 상태에서 생겨난 것이 아니라 교육, 정치적 수사, 사회적 강화를 통해 배양된 것입니다. 미국 정착민들이 '선택받은 민족'의 일원이라는 충동을 키움으로써 그들의 침략은 정당화되었고, 이는 대륙을 변화시킬 행동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은유와 역사적 사례는 충동이 단순히 내면에 머무르지 않고 더 큰 사회정치적 맥락에 의해 형성되어 전쟁과 같은 중대한 결과를 초래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문장:  

도덕주의자들이 때때로 설교하고 종종 경제적 필요성에 의해 강제되는 의지에 의한 충동의 완전한 통제는 실제로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충동을 배제하고 목적과 욕망에 의해 지배되는 삶은 피곤한 삶이며, 활력을 소진시키고 결국에는 인간이 달성하고자 하는 바로 그 목적에 무관심하게 만든다. 국가 전체가 이런 식으로 살면 국가 전체가 자신의 욕망에 대한 장애물을 인식하고 극복 할 수있는 충분한 이해없이 나약 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산업주의와 조직은 문명화된 국가들이 충동보다는 목적에 따라 점점 더 많이 살도록 끊임없이 강요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그러한 존재 방식은 생명의 샘을 마르지 않는다면, 의지가 통제하는 습관이 있거나 생각이 의식하는 종류가 아닌 새로운 충동을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새로운 충동은 확인된 충동보다 그 효과가 더 나쁠 수 있습니다.  The complete control of impulse by will, which is sometimes preached by moralists, and often enforced by economic necessity, is not really desirable. A life governed by purposes and desires, to the exclusion of impulse, is a tiring life; it exhausts vitality, and leaves a man, in the end, indifferent to the very purposes which he has been trying to achieve. When a whole nation lives in this way, the whole nation tends to become feeble, without enough grasp to recognize and overcome the obstacles to its desires. Industrialism and organization are constantly forcing civilized nations to live more and more by purpose rather than impulse. In the long run such a mode of existence, if it does not dry up the springs of life, produces new impulses, not of the kind which the will has been in the habit of controlling or of which thought is conscious. These new impulses are apt to be worse in their effects than those that have been checked.

설명:  

이 담론에서 저자는 전통적인 도덕주의자들이 종종 제안하거나 산업 사회의 요구에 의해 강요되는 것처럼, 오로지 의지와 신중한 목적에 의해 인도되는 삶을 위해 충동을 억제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주장합니다. 이 개념은 계산된 행동을 위해 충동을 지속적으로 거부하면 일종의 피로감이 생겨 원래의 의도가 훼손되고 삶에 대한 열정이 약해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상태가 사회에 투영되면 사람들의 집단적 힘과 회복력이 약화됩니다. 또한 엄격한 목적에 따라 살아야 한다는 압박은 지속적인 억압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관리하기 더 어려운 파괴적인 충동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저자는 충동과 이성 사이의 균형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활기찬 삶, 나아가 활기찬 사회를 위해서는 자발적이고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자유가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비유와 사례:  

이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즉흥적인 창작 충동을 무시하고 오로지 시장에서 가장 잘 팔리는 그림만을 제작해야 하는 예술가를 상상해 보세요. 이 예술가는 처음에는 자신의 의지를 시장의 힘에 맞춰 성공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예술에 대한 열정과 기쁨이 사라지고 자신의 작업과 단절된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산된 예술품은 창작자의 에너지가 줄어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예전의 생동감을 잃을 수 있습니다. 좀 더 큰 규모로 보면, 사회는 모든 음악가가 악보에 따라 꼼꼼하게 연주하고, 즉흥 연주나 개인적인 해석 없이 절대적인 규율에 따라 지휘하는 심포니 오케스트라로 비유할 수 있습니다. 음악은 정확하겠지만, 즉흥적인 연주가 가져올 수 있는 열정과 활력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음악이 생동감과 정서적 울림을 유지하기 위해 순간적인 순간이 필요한 것처럼, 사회도 활기차고 적응력을 유지하기 위해 충동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자발적인 요소가 너무 오랫동안 억제되면 불협화음과 통제할 수 없는 반작용이 나타나 사회적 격변이나 문화적 침체로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마치 음악가가 불협화음을 내며 경직성에 반항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저자는 경직되고 목적에만 집착하는 사회가 결국에는 그 사회의 안녕에 파괴적이거나 비생산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문장:  

정치적 재건에 대한 진지한 시도에서 평범한 남성과 여성의 필수적인 요구가 무엇인지 깨닫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치 사상에서 정치와 관련된 유일한 욕구는 경제적 욕구라고 가정하는 것이 관례입니다. 이 견해는 현재의 전쟁과 같은 사건을 설명하기에 매우 부적절합니다. 왜냐하면 전쟁에 부여 될 수있는 경제적 동기는 대부분 신화 적이며 그 진정한 원인은 경제 영역 밖에서 찾아야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의식적인 노력 없이도 충족되는 욕구는 인식되지 않으며, 그 결과 인간의 욕구에 대한 작동 이론이 너무 단순해집니다. 주로 산업주의로 인해 과거에는 노력 없이도 충족되던 많은 욕구가 이제는 대부분의 남성과 여성에게 충족되지 않는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In any serious attempt at political reconstruction, it is necessary to realize what are the vital needs of ordinary men and women. It is customary, in political thought, to assume that the only needs with which politics is concerned are economic needs. This view is quite inadequate to account for such an event as the present war, since any economic motives that may be assigned for it are to a great extent mythical, and its true causes must be sought for outside the economic sphere. Needs which are normally satisfied without conscious effort remain unrecognized, and this results in a working theory of human needs which is far too simple. Owing chiefly to industrialism, many needs which were formerly satisfied without effort now remain unsatisfied in most men and women.

설명:  

이 구절은 정치 제도가 해결해야 할 '욕구'에 대한 보다 광범위하고 미묘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화자는 정치를 경제적 필요를 해결하는 것으로만 축소하는 것을 비판하며, 그러한 좁은 초점은 전쟁과 같은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합니다. 또한 순전히 경제적 욕구가 아닌 공동체, 인정, 창의적 표현과 같은 많은 욕구가 산업 사회에서 점점 더 소홀히 취급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 주장은 건강하고 완전한 삶을 위해 정치적, 사회적 틀 안에서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인식하고 충족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비유와 사례:  

사회를 대표하는 대형 바자회에 다양한 가판대가 있고, 각 가판대마다 인간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생각해 보세요. 한 구석에는 음식과 의류 가판대 같은 경제적 필요를 충족하는 곳이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들이 춤을 추고 그림을 그리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등 사회적 교류, 예술적 표현, 휴식을 위한 공간도 있습니다. 바자회가 다른 부분을 소홀히 하고 상업적인 부분만 확장하는 데 집중하기 시작하면 시장 경험의 풍요로움이 시들해지기 시작합니다. 사람들은 물질적인 물건은 가지고 떠나지만 정서적, 영적으로 공허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활기찬 시장이 경제적 거래 그 이상을 충족시키는 것과 마찬가지로, 균형 잡힌 정치 시스템은 인간의 다양한 필요를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적 기능을 직접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공공 공원과 커뮤니티 센터를 건설하는 것은 레크리에이션, 커뮤니티 모임, 여가를 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단순한 경제적 풍요로움을 넘어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킴으로써 이러한 폭넓은 욕구 인식에 부합하는 것입니다.  



문장: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최근 몇 년간 대부분의 자유주의 사상은 국가의 권력을 강화하는 데는 찬성하지만 사유 재산의 권력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적대적이었습니다. 반면에 신디칼리즘은 국가와 사유재산 모두에 적대적이었습니다. 저는 현대 세계의 가장 강력한 두 제도인 사유재산과 국가가 권력의 과잉으로 생명에 해를 끼치고 있으며, 둘 다 문명 세계가 점점 더 고통받는 활력 상실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신디칼리즘이 사회주의보다 더 옳다고 믿습니다.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ism, most liberal thought in recent years has been in favor of increasing the power of the State, but more or less hostile to the power of private property. On the other hand, syndicalism has been hostile both to the State and to private property. I believe that syndicalism is more nearly right than socialism in this respect, that both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which are the two most powerful institutions of the modern world, have become harmful to life through excess of power, and that both are hastening the loss of vitality from which the civilized world increasingly suffers.

설명:  

이 인용문은 국가와 사유 재산의 권력 구조에 관한 사회주의와 신디컬리즘의 정치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자의 입장을 반영합니다. 저자는 이 두 주체가 너무 많은 권력을 축적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활력을 해치고 있다고 인정합니다. 저자는 국가 권력과 사유재산 제도에 대해 비판적인 신디칼리즘의 관점에 기울어져 있으며, 보다 균형 잡힌 접근 방식이 권력의 과도한 집중이 초래할 수 있는 해로운 결과를 방지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이 구절은 사회적 관행으로서 권력의 집중과 축적에 의문을 제기하고 집단적 복지를 위한 재평가를 제안합니다. 

비유와 사례:  

은유를 사용하여 사회적 권력과 자원의 흐름을 나타내는 강을 상상해 보세요. 이 비유에서 과도한 사유재산권과 국가의 통제를 상징하는 대규모 댐 건설은 자연적인 흐름을 제한하여 상류와 하류의 불균형을 초래합니다. 사회를 상징하는 강의 생태계는 물고기, 식물, 기타 생물 등 강에 사는 생명체들이 환경의 변화와 긴장을 느끼면서 고통받기 시작합니다. 역사적으로 영국의 인클로저 운동과 같은 사례는 토지가 개인 소유로 통합되면서 농촌 공동체와 농업 관행에 해를 끼친 실제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지나치게 권위적인 국가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전체주의 체제에서 볼 수 있듯이 혁신과 개인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강과 그 주변 환경의 건강을 위해 물 사용과 보존의 균형이 필수적인 것처럼, 사유 재산이 제공하는 자율성과 필요한 국가 감독 사이의 균형은 필수적입니다.  



문장:  

이러한 다양한 갈등에서 원하는 것은 진정으로 믿어지는 어떤 원칙이며, 그 결과에 대한 정의가 있을 것입니다. 상호 자기주장의 줄다리기는 우연한 힘의 평등을 통해서만 정의가 실현될 수 있습니다. 모든 제도는 불의를 수반하고, 한번 실현된 불의는 그것을 옹호하는 사람과 저항하는 사람 모두에게 근본적인 피해를 주지 않고는 영속될 수 없기 때문에 권위에 기반한 제도의 강화는 아무런 소용이 없습니다.  What is wanted, in these various conflicts, is some principle, genuinely believed, which will have justice for its outcome. The tug of war of mutual selfassertion can only result in justice through an accidental equality of force. It is no use to attempt any bolstering up of institutions based on authority, since all such institutions involve injustice, and injustice once realized cannot be perpetuated without fundamental damage both to those who uphold it and to those who resist it.

설명:  

이 책에서 저자는 사회적, 정치적 갈등에서 정의를 확립할 수 있는 기본 원칙을 요구합니다. 그는 정의가 공정성이 아니라 반대 세력의 일시적인 균형에서 나오는 권력 투쟁의 무익함을 지적합니다. 권위에 기반한 제도는 본질적으로 불의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러한 불의에 대한 인식은 사회 구조에 돌이킬 수 없는 해악을 끼친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해서는 시스템이 단순히 권위 있는 기관의 강압적인 힘이 아니라 진정성 있고 공평한 원칙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비유와 사례:  

두 남매가 장난감의 소유권을 놓고 싸우는 시나리오를 생각해 봅시다. 장난감이 망가져서 두 아이 모두 장난감을 가지고 놀 수 없게 되면 두 형제의 싸움은 의도치 않게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는 성명서에서 언급한 '우발적 힘의 평등'과 유사합니다. 더 나은 해결책은 부모(권위 있는 기관을 대표)가 개입하여 자의적인 편애에 따라 어느 한쪽 편을 들기보다는 공정성과 정의의 원칙에 따라 장난감을 공유하거나 차례대로 사용한다는 규칙을 선언하는 것입니다. 정치의 영역에서는 민주적으로 합의된 법률을 제정하고 공정한 사법부를 운영하는 것이 정의를 실현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원칙의 적용을 보여주는 예입니다. 국가 간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국제 법원을 이용하거나 정부 기관 내에서 공정한 대우를 보장하기 위한 옴부즈맨의 역할이 현실적인 예가 될 수 있습니다. 사회가 폭넓게 합의한 정의의 원칙을 지키면 구조적 불공정을 피할 수 있고, 갈등을 확대하거나 불공정한 이득을 영속화하는 대신 모든 참여자에게 혜택과 보호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러셀의 전쟁론 - 챕터별 요약


제1장: "성장의 원리"

전쟁은 각자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많은 사람들의 신념과 희망을 근본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저자는 전쟁이 인간 행동에 대한 진실을 밝혀냈으며, 전통적인 자유주의보다 위기에서 더 탄력적인 정치 철학을 제시했다고 믿습니다.

전쟁을 바라보는 외부의 시각은 너무 단순해서 전쟁이 독일의 침략이나 외교적 얽힘이 아니라 평범한 인간 본성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전쟁은 인간의 보편적인 충동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전쟁을 예방하기 위한 진정한 변화는 의식적인 생각뿐만 아니라 충동을 변화시켜야 합니다.

해결책은 이성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전쟁으로 이끄는 충동과 열정에 반대되는 충동과 열정의 삶을 육성하여 인간 충동의 본질을 바꾸는 데 있습니다.


제2장: "국가"

현대 국가의 권력, 특히 전쟁에서의 권력은 과도하고 해로우며, 내부 질서 유지라는 유익한 역할을 가리고 있습니다.

국가는 자발적인 조직에 권한을 부여하고 교육과 보건과 같은 중요한 영역에서 최소한의 기준을 보장하는 것으로 개입을 제한함으로써 자유를 증진해야 합니다.

국가에 의해 지속되는 경제적 불공정은 해결해야 하지만 개인의 주도권을 억압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국가는 사회 문제에 직접 참여하기보다는 중재자 역할을 하면서 대내외 갈등을 예방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진정한 자유와 개인의 성장을 위해서는 국가의 통제와 개인의 자유가 균형을 이루고 다양한 자발적 조직이 번성할 수 있는 사회를 조성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제3장: 제도로서의 전쟁

자유 사회에서 전쟁은 의회가 항상 회기 중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영구적인 기관인 것과 마찬가지로 영구적인 기관으로 간주됩니다.

전쟁의 동기는 권력이나 부에 대한 욕망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갈등과 정복을 추구하는 인간 본성의 특정 측면을 충족시킵니다.

전쟁과 경찰의 무력 사용에는 차이가 있는데, 전쟁은 분쟁 당사자에 의해 시작되고 경찰은 중립적인 기관에 의해 통제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모든 문명 국가에서는 특정 개인과 집단이 전쟁에 대한 자연스러운 성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쟁이 임박한 것처럼 보일 때 더욱 두드러집니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의 독일 정책은 강한 애국심과 국가 복지에 대한 경쟁적 관점에 의해 주도되었고, 이는 군사적 수단을 통한 권력과 부의 욕망으로 이어졌습니다.


제4장: 재산

기싱의 소설, 특히 "이브의 대속"은 사회에서 돈에 대한 압도적인 영향력과 숭배를 잘 보여줍니다.

돈에 대한 숭배는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미국의 끝없는 부의 추구, 영국의 속물근성과 사회적 지위, 프랑스의 근검절약과 가족 중심 경제, 그리고 최근 독일이 채택한 돈 숭배.

사유재산, 자본에 대한 이자, 토지 소유권, 상속 등의 개념을 포함한 현재의 경제 분배 시스템은 근본적으로 불공평하며 구조조정이 필요합니다.

정의를 옹호하고 현재의 경제적 불평등에 반대하는 노동운동은 사회의 활력과 진보를 저해하지 않도록 목표의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개인의 활력을 증진하고 대규모 산업 조직의 억압 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산업 민주주의를 도입하고 협동조합주의와 신디컬리즘 접근법을 혼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V. **교육:**

- 어린이를 고려하지 않은 정치 이론은 완전하지 않지만, 대부분의 이론가들은 어린이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이 부족하다.

- 교육의 힘은 인격과 신념을 형성하고 부모와 교사의 가치를 무의식적으로 전달하는 데 있다.

- 교육의 목표는 특정 교리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독립적으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어야 합니다.

- 진정한 교육은 자유와 권위 사이의 균형이 필요하며, 순전히 비판적이기보다는 건설적이어야 합니다.

-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어린이 개개인의 잠재력과 개성에 대한 존중이 중요합니다.


VI. **결혼과 인구 문제 :**

- 기독교 신앙은 결혼에 대한 사회적 견해에 큰 영향을 미치며, 종종 법과 여론에 의해 강제되기도 합니다.

- 결혼 제도는 성인의 발달과 아동의 복지 및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 현행 결혼법은 평생의 헌신을 기대하며 간통과 관련된 고비용의 제한적인 이혼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

- 여성 해방은 전통적인 결혼 모델에 도전하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모성보다 자유와 커리어를 중시하고 있습니다.

- 결혼과 출산을 둘러싼 사회 및 경제 구조가 바뀌지 않는 한, 인구의 인성은 쇠퇴할 것입니다.


VII. **종교와 교회:**

- 새로운 지식은 독단적인 종교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교회의 정치적 보수주의는 노동 계급을 소외시킵니다.

- 중세의 교회는 영적 가치와 제국적 가치의 인상적인 조화를 대표했지만, 현대의 개인 종교는 가톨릭과 단절되어 있습니다.

- 성직자 직업의 청렴성은 우월한 미덕에 대한 믿음과 기부금과 신조의 영향력으로 인해 훼손되고 있습니다.

- 직업적 사제직은 영적 가치를 통한 개인과 공동체 생활의 통합을 방해합니다.

- 사회를 형성하는 데 있어 사상의 힘은 과소평가되고 있으며, 많은 중요한 진보가 이론적 아이디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VIII. **우리가 할 수 있는 일

- 개인은 실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에 대해 무력감을 느끼지만, 바람직한 방향을 옹호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 개인의 삶과 공동체의 통합은 일관된 창의적 목적과 건강한 충동에 의해 뒷받침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제도는 소유욕과 갈등이 아닌 창의성과 통합을 촉진해야 하며, 산업적 연방 민주주의를 잠재적으로 유익한 개혁으로 삼아야 합니다.

- 소유욕보다 창조적 행동을 강조하는 삶을 장려하는 철학이나 종교가 필요합니다.

- 개혁가들은 전후 광범위한 변화를 위한 정치적 영향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 노동 운동에 참여해야 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 인생을 증오한다-요절한 천재 시인 기형도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