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테크M Mar 30. 2021

탄소중립 '기술혁신·기업참여·시민주도' 3박자 필요하다

[탄소중립과 혁신] (7)

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원장



최근 대전, 강원, 부산, 제주 등의 지역혁신 싱크탱크들이 모여 탄소중립과 순환경제 중심의 지역주도 혁신 광역권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런 노력이 확산돼 탄소중립이 국가 주도에서 지역주도로, 환경보호와 규제를 넘어 신산업 창출과 지역혁신의 큰 축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탄소중립이 지역혁신의 중심축이 되려면 기존 주력 산업에서 뿜어져 나오는 온실가스를 저감하고 활용할 수 있는 혁신기술의 개발·활용과 함께 기존 인프라를 혁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하겠다는 기업의 의지를 모으는 노력이 요구된다. 정부와 지자체는 이를 지원하는 입체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그 과정에서 탄소중립과 지역 주력산업의 경쟁력 유지, 산업 구조조정과 혁신을 동시에 이루는 진화 관리가 중요해진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주력산업의 경쟁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탄소중립 산업으로 전환할 수 있는 혁신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유형화하고 연계 투자, 지원하는 '지역산업 혁신 패키지 모델'이 필요하다. 지역의 탄소중립 계획에 지역의 국가산업단지를 포함하고, 지역 시민과 청년 주도의 탄소중립 지역 설계가 이뤄져 스스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주력산업에 적용할 탄소중립 혁신기술 


먼저 주력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탄소중립 혁신기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자체를 활용한 폴리우레탄 및 메탄올 제조 기술은 이미 상업 생산 중이고, 디젤 생산 기술은 상업화 실증 단계에 와있다. 재생에너지인 잉여전기에너지 혹은 빛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만들고, 이산화탄소와 촉매반응을 시키면 메탄올과 올레핀 등을 제조할 수 있다. 또 빛에너지로 인공광합성 반응을 시키면 역시 같은 물질의 제조가 가능하다.


생물화학적 전환기술과 광물화 반응으로도 이산화탄소를 화학소재로 전환하거나 광물로 전환해 그린 시멘트 제조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폐플라스틱과 유기성 폐기물을 재생에너지 기술과 융합하여 메탄올이나 항공유를 제조하는 기술도 이미 상용화 수준에 와있다.



재생 가능한 생물자원을 생물공학 기술과 연계 활용해 에너지와 소재 등을 생산하고 관련 산업과 서비스를 창출하는 '바이오 리파이너리' 기술도 탄소중립 산업으로서 투자 가치가 있다. 미국은 고성능 생물 촉매를 이용하여 온실가스인 메탄가스를 연료로 전환하고 있으며, 거대 조류 기반 연료 생산, 바이오매스 기반 에너지 및 신소재 개발 전주기 기술, 바이오소재생산 미생물 합성 플랫폼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


더 나아가서 온실가스, 생물자원, 폐기물이 선순환되는 탄소순환형 융합기술을 개발하면 탄소중립과 산업혁신이 동시에 가능해질 수 있다. 또 산업부생가스, 온실가스, 폐플라스틱, 바이오매스 등을 신재생에너지 전력그리드와 재생에너지 사용 탄소리파이너리 공정을 융합하면 다양한 연료와 화학소재 개발이 가능해진다. 


지자체 탄소중립 계획, 시민들이 감시하고 지원해야


새로운 탄소중립 친환경 혁신기술 개발과 함께 기업의 기존 인프라를 혁신할 수 있는 연구개발, 인프라 개선, 기업 투자 세제 지원, 산업단지 자원 효율화 혁신, 새로운 탄소중립 지역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탄소중립과 산업혁신, 지역혁신의 통합적이고 동시적인 진화가 가능해지도록 정교하게 관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자체 탄소중립 계획에 국가산업단지를 포함하고 시민들이 감시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의 국가산업단지 탄소중립 노력이 시민들의 투표권에서 벗어난 영역으로 있으면 지역 정치인들이 움직이지 않고 국가적 노력도 약해진다. 국가산업단지의 탄소중립을 지자체의 의무 관리 영역으로 포함하면 시민들의 요구에 민감해지고 지방정부 단체장이나 지역 정치인들이 이를 중앙정부에 요구할 수 있는 동인이 생기기 때문이다.


/ 사진 = 광주 기후위기 비상행동

시민들은 미세먼지와 달리 온실가스에 대해서는 그리 민감하지 않다. 때문에 지역 단위에서 초중고 학생과 청년,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탄소중립 교육과 체험, 스타트업 창출, 국제협력 등의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시민의 탄소중립 민감도를 높여야 한다. 더 나아가 지역의 산학연관 및 주민 등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합의 과정을 관리하고 신뢰의 사회적 자본을 구축함과 동시에 지역과 중앙의 협업 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일자리와 지역혁신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듯 주력산업 활용 혁신기술 개발과 인프라 혁신, 국가산업단지의 지자체 탄소중립 관리 영역 포함, 그리고 탄소중립 시민권 확대 등의 노력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대기업, 수도권, 중앙 중심의 국가혁신체계를 탄소중립 산업생태계와 지역주도 혁신체계로 전환하는 경로를 만들며 대한민국의 성장모델을 새롭게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Who is>고영주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원장


고영주 원장은 대전과학산업진흥원 원장으로서 과학기술 기반 지역주도 혁신관련 기획과 전략, 평가분석, 도시의 국제협력에 주력하고 있다. 또 국가기후환경회의 전문위원으로서 미세먼지, 탄소중립 이슈에도 적극 기여하면서 대전 등 도시차원의 탄소중립과 국제협력 노력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혁신가들의 놀이터, 테크M에서 관련 정보 보기

매거진의 이전글 당신이 순환경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