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량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눈여겨보지도 않았고, 딱히 중요하게 이야기해 주는 전문가나 학원의 유튜브나 블로그 등에서도 언급이 없어 잘 모르겠고, 관심도 가지 않지만 '역량'이라는 개념은 여러 곳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꾸준하게 강조해왔던 이야기이고, 지난 '진로탐색 프로그램'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렸던 것처럼 '역량'은 단순하게 사용되는 개념이 아니며 결코 '이상'도 아닙니다.
'역량'이 강조되는 것은 우선 내년 신입생부터 시행되는 고교학점제입니다.
교사인 분들은 잘 아시겠지만,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역량중심교육'으로의 전환을 모색해왔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거쳐 최종 고교학점제 시행은 '역량중심교육'을 정착시키는 과정이었습니다.
고교학점제는 OECD Education 2030 (2030년까지 완성을 목표로 OECD가 추진하는 교육개혁)의 목표에 맞춘 변화입니다.
그림은 OECD에서 내세우는 2030 미래 교육 나침반입니다. 핵심 요소를 지식, 기능, 가치, 태도 역량으로 내세우고 있습니다
더 구체적인 요소로 지향점인 변혁적 역량 (Transformative Com-petencies)을 새로운 가치 창조하기(Creating New Value), 긴장과 딜레마에 대처하기(Reconciling Tensions & Dilemmas), 책임감 갖기(Taking Responsibility) 등의 세 가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의 내용을 살펴봐도 이상적인 교육론 같으시죠?
대부분의 대학은 학생부 종합전형의 평가요소를 '역량'으로 제시합니다.
주요 대학들은 학생부 종합전형 평가요소 및 전형 설계에 많은 인력과 비용을 들입니다.
학교의 미래가 달린 선발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주요 대학은 '역량' 중심 평가 방안을 수립하고 보다 체계화하고 정교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적지 않은 돈을 받고는 기껏 해준다는 것이 '전공적합성'을 맞춰야 한다면서 진로를 빨리 결정하고, 해당 학과에 맞춰 소위 '생기부 엮어쓰기'만 시키며 엄청난 노하우인 것처럼 말합니다. 심지어 '생기부 엮어쓰기'는 주요 대학이 싫어하는데도.
'하버드 대학'보다 들어가기 어렵다는 현시점 전 세계 최고 대학으로 언급되는 '미네르바 스쿨'은 한 개의 상위 역량과 네 개의 하위역량으로만 학생 평가를 합니다.
전미 사립학교 협회는 아이비리그의 대학들과 협약을 맺고 '역량 중심 성적표'를 제공해 줍니다.
아직도 '언어만 떠돌아다니는 이상적인 교육 개념'이라는 생각이 드시나요?
학생부 종합전형은 '역량'에 대한 이해와 그에 맞는 탐구활동, 생기부 기재가 이루어진다면 강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습니다.
대학은 원하지만, 대학 외에 어느 곳도 누구도 그것을 이해하고 준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앞으로 여러 번에 나눠 '역량'에 대한 이해부터 시작해서, '역량'을 중심으로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겠습니다.
https://contents.premium.naver.com/thetablesetter/jinh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