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모차르트 VS 베토벤 (2)

여덟 번째 수다 두 번째

여덟 번째 수다 두 번째

- 모차르트 VS 베토벤 (2)





어디까지 이야기했더라.

아. 모차르트와 살리에리

음.. 그리고 베토벤과의 비교..


암튼, 모차르트는 완전히 다른 음악들과는 다른 차원에 존재한다는 게

나의 지론이었는데..

음. 어느 날 조금 변화가 생겼어.

바이올린 협주곡을 듣다가 든 생각인데..

음.. 그러니까.

누가 위대한지는 별개로 하고.. 논외로 하고

'"작곡을, 누가 작곡을 더 잘했나?"라고 물으면 어떻게 될까?' 

하고 질문을 다시 하게 되었어...


즐겨 듣던 팟캐스트, 

클래식 팟캐스트가 있었어

신선하고 흥미로운 시각이랑 자세한 자료조사 등등이 맘에 들어서 즐겨 들었는데

거기에서 언젠가 말러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가

한 출연자가 그러는 거야

"말러는 지휘를 잘했지, 작곡은 못하지 않았나요?"

난 내 귀를 의심했지

'뭐라고?'

요놈 봐라 ~

아주 맹랑한 녀석일세 했지..

감히 말러 선생이 작곡을 못한다고?


맹랑한 말이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음.. 뭐랄까..

배짱 있는 말이기도 하네.라고 누그러뜨려졌다가

급기야

음..

맞는 말도 아닐까? 란 생각이 들었어..


유학시절에

파리에서 정명훈 선생께서 

라디오 프랑스 필을 이끌고 말러 전곡 연주를 하셨거든

음. 난 슈퍼 아르바이트한 돈으로다가 콘서트엘 갔었어

세 번인가 몇 번이었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는데

암튼..

음..

곤욕이었지..

당최 이해가 안 가는 말러의 음악을 

2시간씩 앉아서 듣는다는 것은..

아는 부분은 5번 4악장 아다지오뿐인데..


지금 들으면 좀 나도 늙어서 더 재미있었을 텐데.

당시엔 정말 고문이었어

맞아 말러 곡은 어려워

잘 썼는지도 모르겠어..


그런데 베토벤은

왠지 들으면 들을수록

참 잘 썼다... 는 생각이 들어

난 음악 전공자가 아니니 

학문적으로 설명할 줄 모르는데..

그냥 드는 느낌이 그래..


템포가 장군 같고 박진감 있으면

바이올린 독주의 선율은 

백조 같이 가녀리다고 해야 하나

암튼, 쿵쾅거리는 것 같다가도

더블베이스 같은 아주 푹신하고 

솜털 같은 뭉개뭉개한 

부드러움으로 감싸주는 듯한 느낌도 들고


왜 그런 게 있잖아 

바이올린 협주곡이니까 

오케스트라가 꽝꽝꽈꽈! 하고 판을 깔면, 

바이올린이 마치 

발레리나처럼 춤을 추는 것 같은..

이런 구조에서 보면, 

분명 인간이 만든 구조안에 갖추어진 음악인데

참 멋있고 아름답게 잘 만들었다.. 

싶은 생각이 드는 그런 거..


예전에 알쓸신잡에서 

유현준 교수가 이야기하잖아

재료가 일정하면 아름답다고

그분은 건축과 교수신데

베토벤 듣다 보면, 

정말 건축 같다는 생각이 들거든.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은

시작할 때 아주 자세히 들으면

북 같은 거 있잖아 

탬버린인가? 

그 둥그런 북으로

'퉁퉁 퉁퉁' 

하고 네 번 치거든


그런데 1악장 듣다 보면, 

그렇게 '퉁퉁 퉁퉁' 네 번 쳤듯이

'꽝꽝꽝꽝' 하고, 

그 첫 네 번의 템포를 기억나게끔 하는 대목들이 나와

반복인 것 같긴 한데.. 

마치 어떤 주제를 상기시켜주는 것 같은 그런 느낌


그러니까 

난 그냥 집을 짓는 느낌이다.. 싶은 생각이 들었어

'콩콩콩콩' 못을 박고 기둥을 세우로 창을 달고

지붕을 덮고 그 안을 무언가로 가득 또 채우고..

그런 멋진 조형물 같은 건축을 세우는 그런 느낌..

베토벤에겐 있지 않은가.. 란 느낌..

그나저나 오늘은 정말 공쳤네.. 손님이 정말 없네..

수다나 계속^^


암튼, 베토벤의 곡들을 듣다 보면,

어쩌면 저렇게 딱 맞는 악기를 골랐을까? 란 생각이 들었어

낮게 깔리는 부분엔 늘 더블베이스나 첼로가 나타나서 

움푹 ~ 안아주는 것 같았고

그러게 솜털 같은 부드러움 속에 아주 가녀린 부분은 

바이올린이나 비올라가 나타나고

그 악기에 가장 어울리는 그 음색에 

가장 잘 어울리는 악기를 선택해 둔 것 같았어


아..

그래서 첫 질문으로 돌아가자면

어쩌면,

모차르트는 음악 자체였고,

인간으로서 음악을 ‘작곡’한다고 했을 때는

음.. 베토벤이 더 잘한 거 아닐까.. 란 생각이 든 거야..


모차르트에겐 쪼금 미안하지만..

베토벤은 정확히 밑그림을 그리고 

하나씩 건설해 나간 느낌이 드는 거고

모차르트는 그냥 주르륵 나오는 데로 

받아 적으면 음악이 되는 거지..


그러니 누가 더 뛰어나다고 말할 순 없겠는데

작곡을 의식적으로 누가 잘했냐?라고 하면

음.. 살짝 베토벤으로 기우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으면서 얻은 결론이었어..


그래도 받아 적은 느낌의 작곡가는 또 있어 

차이콥스키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을 들으면

첫 부분이 딱 베토벤이랑 달라


베토벤은 탬버린, 맞나? 그니까 그 북을 네 번 치고 

‘라~시라 솔 파미레 도레미~’ 하고서 시작해

'라'에서 하나 올라가서 '시' 그리고 다시 내려와서 '라-솔', 

계단을 하나 올라갔다가 

내려오듯이 의식적으로 시작하는 거야


그런데 차이콥스키는

‘파미레라레미파 라솔#라~’로 시작하거든

첫음이 내려오는 거야 그리고 다시 올라가


베토벤은 줄곳 디딤돌을 놓고 

기둥을 세우고 건설하는 느낌이라면

차이콥스키는 마음을 내려놓듯이 

이야기를 풀어놓는 것 같았어


베토벤은 1악장에서 강하고 

구조적인 건물을 세워놓고 

2악장에 자유로운 필치로 

그림을 그리는 것 같았고

아, 건물이라기보다 

큰 캔버스 틀을 만들었다고 할까?


암튼, 그렇게 의식적으로 구조적인데,

차이콥스키는 1악장부터 

감정을 풀어놓는 것 같았어

그래서 오히려 일반적으로 서정적이고 부드러워서 

사람들에게 많이 기억되는 2악장보다

1악장이 더 서정적이고 아름다워지기까지 해..

1악장이 더 무거워 진거야, 계획이 없던 거 아닐까?

조금 내 멋대로 생각하는 것 같아서 여기까지..


바이올린 협주곡을 모조리 듣고서 

한번 비교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했어

아이고 그러면 얼마나 더 운전을 해야 하려나?^^

그런데 부끄러운 건, 아니 재밌는 건 

아직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을 제대로 못 들어봤어^^

어제 정경화 선생님 인터뷰를 듣기 시작했으니 

조만간 들어보아야겠어


결국 요즘 골몰했던 주제였던 모차르트 그리고 베토벤은

베토벤이 약간 더 작곡 잘한 것으로 판명 났는데,,

음.. 그렇다고 모차르트가 호락호락한 존재는 아니겠지?

이대목에서 생각나는 건 모차르트와 류현진이야.

너무 길었다.

일 좀 하고 이다음에 마저 쓸게!

안녕~!


-파리의 우버 운전사


*바이올린 협주곡과 가장 빠르게 친해지는 방법 = 영화 '더 콘서트'의 마지막 장면

https://www.youtube.com/watch?v=hnaFuTtNXjE


그리고, **차이콥스키 바이올린 협주곡, 쥴리아 피셔

https://www.youtube.com/watch?v=ovFPKu00cCc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역시, 쥴리아 피셔

https://www.youtube.com/watch?v=ZrpBU-Jww38



매거진의 이전글 모차르트 VS 베토벤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