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발표탐구자 Nov 24. 2021

‘아니다’란 판단이 주는 효과

스티브 잡스가 말했단다.


집중은 ‘아니다(No)’는 말을 하는 이라고.


선택과 집중. 너무 익숙해 식상할 정도의 말인데, 잊을만하면 눈에 걸리고 들려온다.


이유는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선택과 집중의 중요성은 어렴풋이 알면서도 적용하지 못하는 이들이 혹은 선택과 집중을 뒤늦게 절감하는 이들이 각오와 탄식을 섞어 뱉어내는 것일 거다.


이 말이 개념에서만 머무르는 이유는 실행, 적용을 할 방법을 몰라서인 경우가 많다. 이때 스티브 잡스의 한마디가 길을 열어준다.


이 아이디어도 좋고 저 아이디어도 좋을 때, 이것도 해야 하고 저것도 해야 할 것 같을 때. ‘이건 아니다’라고 판단하는 것. 사실 이거 할까 저거 할까 망설이다가 시간을 끄느니 뭐든 하나부터 시작하면 당장 아니다로 결론 낸 아이디어도 더 빨리 시작해볼 타이밍이 오지 않겠는가.


결국 ‘아니다’란 결정 자체도 얼마나 신속하게 하느냐에 따라 집중의 기회, 시간이 늘어날 수 있겠다.




깨알 같은 글씨로 가득한 슬라이드를 볼 때마다 드는 생각이 있다. ‘아 저 사람은 생각 정리가 덜 되었구나.’ 그러니 이것도 집어넣고 저것도 집어넣는다. ‘이 페이지에서는(혹은 이 PT에서는) 아니다’란 작업이 덜 된 것이다.


그러다 보니 글자는 점점 작아지고, 그러다 보니 청중 입장에선 슬라이드의 어떤 부분을 봐야 하는지 모르는 상황이 벌어진다. 뭐 일단 글자가 작으니 가독성부터 떨어질 것이고.


하나의 슬라이드 안에 여러 개의 문장들이 들어있고, 그 문장의 70, 80%는 밑줄이 그어져 있는 슬라이드를 보며 강의를 들은 적 있다. 덤으로 각 문장들의 글자색이 다 달랐다. 그 총천연색의 찬란함이란. 슬라이드 작성자는 그 문장들이 각각 의미하는 바가 다르다는 걸 구분하기 위해 나름의 친절을 베푼 것이었겠지만 보는 입장에선 정말 곤욕이었다.




프레젠테이션용 슬라이드를 만들며 한 페이지에 너무 많은 내용이 들어가 있다 싶을 때 대처하는 간단한 방법이 있다.


바로 페이지를 늘리는 거다. 나름 정교(?)하게 한 페이지에 꽉꽉 채운 내용을 ‘훌륭하다거나 조사나 내용이 충실하다’라고 판단해줄 사람이 과연 얼마나 있을까? 여백을 두려워하지 말자.


‘1 페이지 당 1 메시지’라는 법칙(?)은 차치하고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좋은 발표 슬라이드는 글자가 크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