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여러 생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여경 Apr 01. 2019

분배냐 복지냐

‘성장이냐 분배냐’ 혹은 ‘성장이냐 복지냐’는 익숙한 질문이지만 ‘분배냐 복지냐’는 다소 생소하다. 문득 나는 이 질문을 던지고 고민에 빠졌다. 뭐가 더 좋을까?

-

분배와 복지는 시혜 주체가 다르다. 분배는 소득분배로 시혜의 주체는 기업이다. 돈을 엄청 번 기업은 엄청난 이익을 노동자들에게 분배하거나 사회에 기부한다. 혹은 정부에 세금을 엄청내서 기본소득을 유도할수도 있다. 그러면 노동자들은 기본 소비력이 생김으로서 기업은 그 돈을 다시 회수하고, 노동자들은 최소한의 기본적 소비를 할수 있다. 

-

복지는 기회분배로 최소한의 기본적 삶을 보장한다. 시혜의 주체는 정부다. 정부는 세금을 징수해 무상보육+교육+의료+주거 등을 제공한다. 정부에 세금을 내는 사람 혹은 세금을 낼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이 복지를 받을 자격이 있다. 그럼으로서 최소한의 기회를 얻을 수 있고 인격을 유지할수 있다.

-

분배는 인간을 소비주체로 본다. 전형적인 자본주의 발상이다. 복지는 능력주체로 본다. 전형적인 공산주의 발상이다. 두 개념은 마치 한몸인것처럼 여겨지지만 실상은 태생이 다르다. 그래서 두 개념은 반드시 구분해서 접근해야 마땅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모두 성장이라는 그늘에 가려있기 때문이다. 

-

그럼 우리 미래를 위해 분배와 복지 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이 선택은 ‘자본이냐 정부냐’의 선택이기에 쉽지 않다. 또한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태도까지 맞물린다. 나아가 그 사회의 체제와 지속가능성까지 이른다. 

-

사실 난 기본소득보다 무상복지에 맘이 기운다. 왜냐면 기본소득은 이미 자본주의 태동기에 영국에서 시행되었던 바가 있었고 실패했기 때문이다. 궁금한 분은 칼폴라니의 <거대한 전환>을 읽어보고, 그조차 귀찮으면 구글에 ‘스피넘랜드법’을 검색해봐라. 물론 한 번 해봐서 더 잘할수도 있겠지만 개인적으론 안가본 길을 가봤으면 좋겠는데.. 그럼 또 구시대적 공산-전체주의자가 되니.... 참으로 어려운 선택이다.

-

근데 내가 왜 이 고민을 하지? 미쳤나봐 ㅠ

매거진의 이전글 오랜만에 철학, 실체와 개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