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여경 Aug 23. 2017

디자인의 인식론

지난 10년간 나는 디자인을 메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인간과 디자인을 살펴보았다. 인간은 인식론적으로, 디자인은 존재론적으로 접근했다. 왜냐면 현대는 '인간=뇌=신경=전기'라는 도식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각각은 심리학, 뇌과학, 생물학, 물리학에 대응한다. 모두 과학이다. 그리고 근대적 산물이자 과정인 디자인이 왜 굳이 이 시대에 존재해야 하는지 궁금했다. 그래서 예술과 디자인을 둘러싼 정치, 경제, 사회, 역사, 철학을 큰 틀에서 살펴야 했다. 너무 공부해야할 양이 많다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사실 각 분야의 고전들은 겹치는 경향이 있다. 이 두가지 접근은 <역사는 디자인된다>에서 열매를 맺었다.

-

그런데 <역사는 디자인된다>의 서문에 이성민 선생님은 이렇게 쓰셨다. "나는 확실히 디자인에 디자인 고유의 관점과 인식이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윤여경이 직업적 디자이너로서 매일매일 하는 일은 주어진 데이터를 처리-디자인하여 알기 쉬운 도표로 만들어 독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그 도표는 글이나 말로 하는 설명과는 또 다른 인식 틀이다. 나는 이것을 아직은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가운데 우선은 "디자인의 인식론적 역량"이라고 명명해 놓겠다."

-

나는 이 문구를 읽고 비로소 고개를 돌릴 수 있었다. "아... 나의 디자인 접근은 존재론이 아니라 인식론을 향하고 있었구나..."라는 생각을 했다. 비슷한 시기 미키 기요시의 <파스칼의 인간 연구>를 읽었다. 일찍이 <팡세>와 <죽음에 이르는 병>을 읽었지만 인간의 불안과 절망이 죽음에 이른다는 점을 잘 파악하지 못했던 나는 이 책을 통해 비로소 '죽음'을 사유하기 시작했다. 지금 이 책은 황금률 세미나에서 강독-재독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나는 인간에 대한 근본적 입장을 인식론에서 존재론으로 회심했다. 

-

돌이켜보면 '인간=인식론, 매체=존재론'에서 '인간=존재론, 매체=인식론'으로 바뀌면서 나의 새로운 10년 공부가 시작된듯 싶다. 그 첫번째 독서가 시어도어 젤딘과 닐 포스트만이다. 사생활과 사적인 매체를 논하는 이들의 관점을 통해 나는 또 다른 전회를 느낀다. 과거에는 큰 틀에서 메타적으로 접근했다면, 이번에는 구체적인 사건에서 큰 틀을 짐작한다. 

-

관점의 변화가 참으로 기묘하고 흥미롭다. 그래서 플라톤도 동굴을 들락날락 했나 보다.

매거진의 이전글 새로운 도식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