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정문재 Feb 16. 2016

롬멜의 눈물

에너지는 경제적 번영은 물론 

한 나라의 흥망성쇠를 결정해 

원자력 발전 비중을 축소하면 

대체 에너지 투자는 확대해야


사막의 여우는 눈물을 훔쳤다. 몹시 분했다. 자신이 영국의 몽고메리보다 못할 게 없다고 여겼다. 하지만 역사는 롬멜을 패자, 몽고메리를 승자로 기록할 수 밖에 없다. 견딜 수없는 모욕이었다. 그래서 분루(憤淚)를 삼켰다. 


에르빈 롬멜은 하인츠 구데리안과 함께 독일의 전격전(電擊戰)을 이끈 쌍두마차다. 이들은 2차 세계대전 개전 직후 탱크를 앞세운 기동전술로 적(敵)의 혼을 빼놓았다. 롬멜의 기계화부대는 얼마나 진격속도가 빨랐던지 패주하는 프랑스군을 앞지르기도 했다. 


롬멜은 유럽에 이어 아프리카에서도 명성을 이어갔다. 히틀러는 늘 무솔리니를 염려했다. 변변치 못한 동생을 둔 기분이었다. 말이 좋아 동맹이지 이탈리아는 불안한 파트너였다. 리비아를 비롯한 해외 식민지가 위험에 놓이면 언제라도 독일과의 동맹을 내팽개칠 수 있었다. 그래서 히틀러는 롬멜을 아프리카로 보냈다. 이탈리아를 지원하기 위해서였다. 


롬멜은 1941년 아프리카 군단 사령관으로 취임했다. 로마의 장군 스키피오 아프리카누스가 2,100년 전 한니발을 무찌른 것처럼 눈부신 승리를 거뒀다. 전격적인 기습을 통해 영국군을 거침없이 몰아붙였다. 더욱이 상대는 사막전의 대가로 불리는 리처드 오코너 장군이었다. 전투를 시작한 후 불과 2주일만에 영국군을 궤멸 위기로 몰고 갔다. 적장(敵將) 오코너까지 포로로 붙잡았다. 영국 언론은 롬멜에게 ‘사막의 여우’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보급은 기동전의 생명이다. 연료가 없으면 탱크는 고철덩어리로 전락하고 만다. 독일군은 보급 문제로 고전하기 시작했다. 영국은 해군의 우위를 바탕으로 독일군의 보급을 끊어놓았다. 독일 수송선 3척이 유럽을 출발하면불과 1척만이 아프리카에 도착했다. 나머지 2척은 지중해를 건너지도 못한 채 가라앉았다. 


반면 영국군은 물량 공세로 독일군을 압도했다. 영국 공군은 융단 폭격을 퍼부었다. 롬멜의 탱크는 하나 둘씩 화염에 휩싸였다. 몽고메리는 압도적인 전력의 우위를 바탕으로 롬멜을 벼랑 끝으로 몰고 갔다. 


롬멜은 히틀러에 퇴각을 승인해달라고 요청했다. 히틀러는 롬멜이 엄살을 부린다고여겼다. 롬멜에게 “승리가 아니면 죽음뿐”이라는 전문을 보냈다.  


롬멜은 1942년 10월 마지막반격을 시도했다. 전격적인 작전을 통해 영국군 탱크를 연거푸 파괴했다. 탱크가 눈에 띄게 줄어들자 몽고메리가 공격 중단 명령을 내릴 정도였다. 하지만 롬멜의 운(運)은 거기까지였다. 영국군의 탱크는 500대나 남아 있는 반면 롬멜의 탱크는 20대에 불과했다. 화약도 석유도 다 떨어졌다. 롬멜은 병참에서 졌다. 하지만 보급 문제는 롬멜의 통제 범위 밖이었다. 


히틀러가 1941년 독소 불가침조약을 일방적으로 깨트리고 소련을 침공한 것도 병참의 중요성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히틀러가 노린 것은 바쿠 유전이었다. 히틀러는 “바쿠 유전을 손에 넣지 못하면 이 전쟁에서 질 수 밖에없다”고 강조했다. 


스탈린도 바쿠 유전의 중요성을 잘 깨닫고 있었다. 레닌을 비롯한 소련의 지도부는 바쿠의 석유가 없으면 신생 혁명국가는 존재할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바쿠 유전이 속한 아제르바이잔을 정복한 후 모든 유전을 국유화했다. 


에너지는 경제적 번영은 물론 한 나라의 흥망성쇠를 결정한다. 사무엘 헌팅턴 전 하버드대 교수는 ‘에너지 확보’를 미국의 중요한 국익가운데 하나로 꼽기도 했다. 


학계, 산업계, 시민단체 인사들로 구성된 민관합동워킹그룹이 오는 2035년까지 적용될‘2차 국가에너지 기본계획’ 초안을 발표했다. 골자는 원자력발전의 비중을 22~29%로 줄인다는 것이다. 그 대신 분산형 전원 발전량의 비중을 5%에서 15%로 확대토록 했다. 도시 인근에 건설할 수 있는 LNG 발전 비중을 높이라는 얘기다. 


에너지 가격은 급등락을 되풀이한다. 특히 가스 가격은 지역 또는 수송방법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지난 2012년 현재 LNG 가격은 우리나라의 경우 1,000 입방피트 당 13.15달러지만 미국 동부의 경우 3.45달러에 불과했다. 


원전에 대한 국민들의 우려가 크기 때문에 원전 발전 비중을 줄이는 것은 옳다. 하지만 원전 비중 축소가 전력난 또는 전력 요금 급등으로 이어지는 것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래야 안정적 성장이 가능하다. 워킹그룹이 신재생 에너지 보급목표와 자원개발률 목표를 1차 에너지 기본계획과 같은 수준으로 유지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대로라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할 지 의문이다. 


참고문헌

1)   대니얼 예긴 지음. 이경남 옮김. 2013. 2030 에너지전쟁. 사피엔스21. 

2)   손양훈. 2013. 에너지 여건의 변화와 하반기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3)   ErwinRommel-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작가의 이전글 부자를 위한 ‘사회주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