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면 누군가에게는 저의 하루하루 조각의 기록들이 편하게 읽히지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세상을 살아가는 방법에는 여러 다양한 방법이 있는 것처럼 저의 세상살이도 그중 하나의 평범한 일상이라고 여겨보아요.
음, 제가 언젠가부터, 아마 혼자가 된 이후겠지요. 자주 쓰는 단어가 있더라고요.
'오롯이'
사전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되는 걸 볼 수 있는데요.
1. 모자람 없이 온전하게
2. 고요하고 쓸쓸하게.
제가 두 개의 심장으로 살아가며 아이들에게 부정의 대물림을 끊어버리겠다고 다짐 한 그날부터 일까요?
흔히, 아비 없는 자식 티 나지 않게 베풀 수 있는 엄빠가 되리라. 결심했었지요.
다시 곱씹어보면 그 당시엔 경제적인 부분, 물리적인 부분을 가장 많이 두려워했던 것 같아요. 그래서 결국 저에게 자라난 것은 "피해의식"이었습니다. 제가 먼저 나 자신을 다른 엄마들보다, 열등하다고 믿어버리고 그래서 서 더 제 자신을 채찍질하고, 멍들이고, 다시 일어서게 하는 일들을 반복했어요. 그 내면엔 바로 '오롯이'의 두 번째 뜻인 '고요하고 쓸쓸하게.' 하게 가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맞아요.
아직 중학교, 초등학교인 아이 둘과 이제 마흔의 중반을 달려가고 있는 제 자신을 모두 보듬으려 살아가려면
고요하고 쓸쓸한 시간이 꼭 필요하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화려하고 시끌벅적하게 살면 안 될까요?
화려하고 시끌벅적한 상태에서의 저는 진짜 제 자신을 들여다볼 수 없더라고요. 매일 누군가와 함께 하는 시간 속에서는 아이들의 다른 면들을 찾아내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결국 우리가 매일 아침 '거울'속의 나를 보듯 내면의 모습을 보아주어야 하는데, 이 내면의 거울은 신기하게 고요하고 쓸쓸한 시간에만 나타납니다.
혼자 있는 시간이 더 이상 외롭거나, 쓸쓸해지지 않는 순간들이 점차 늘어갈 때, 저는 느낍니다.
'아, 나도 이제 스스로 생채기를 치유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이 생겨가는구나.'
여러 세상살이의 문제로 우울할 땐, 보통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바쁘게 지내라고 하지요.
저는 철저히 혼자 충분히 고통을 느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그래야 비로소 고통이 그 질량을 다 채우고, 소멸될 테니까요.
저도 요즘 그러한 시간을 갖고 있는 중입니다. 이 고통과 문제들이 곧 날아가겠죠?
힘든 마음을 안고, 그래도 이렇게 브런치에 수다를 떠니, 응원해 주시는 분들 덕분에 기운이 납니다.
오늘은 문제 안에서 헤엄치지 않는 하루가 되겠습니다. 주말엔 온전히 고통 속에 있었으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