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쥬스 Mar 28. 2022

기호

쓰다보니 좀 이상한데 그냥 올리는 글

“기호”

- 즐기고 좋아함.


사랑을 기호라고 생각했다.

아니, 정확하게는 기호처럼 대했다.


내가 생각하는 범위 안에서

내가 좋아하고 내가 싫어하는 것 안에서

그래도 이건 아니잖아라는 기준 안에서.


그런데, 요즘 그런 생각이 든다.

나를 사랑했던, 사랑해주었던 사람들도

기호였을까.


기호도 있었다. 기호가 많았고,

기호가 다수였다.

그렇지만, 아닌 경우도 있었다.


분명 왜 그렇게까지 했을까 싶은

과분한 것들을 받은 적이 있다.

당연히, 어머니였고, 애인이었고,

가끔은 지인이었다.


난 그런 기호를 넘어선 사랑 앞에도

늘 기호대로 했다.


“난 나야! 내가 날 잃으면 뭐해!”

“아무리 그래도 아닌 건 아니야!”

“나도 최선이야, 진심이었다고”

“내 마음이 그런 걸 어떻게 해”


요즘 인문학 서적들은 끊임없이 얘기한다.

나를 사랑하고, 존중하고, 아껴라.

누군가에게 나를 희생하면서까지 맞출 필요 없다.

하고 싶은 대로 원하는 대로 살아라.


억압된, 짓눌린 세대 속에 충분히 나올 수 있는

달콤한 말이다.

하지만, 달콤함이다.

달콤함을 위로 삼아 그것을 영양분 삼고 그것으로 나를 구성해버리면 문제가 생기리라 생각한다.

(정확히는 나 같은 사람은 문제가 된다.)


기호는 기준이 될 수 없다.

나만 좋고, 내가 좋은 건 지표가 될 수 없다.


누군가를 무언인가를 사랑하기를 완전히

포기하고 살지 않는 이상.

기호는 조금 접어둬야겠다.

아마 기호대로만 누군가에게 대해졌다면,

진즉 어딘가에서 먼지가 되어버렸을

나에 대한 위로. 응원을 담아서.




작가의 이전글 리뷰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