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나은 Apr 15. 2023

쉽지 않은 아이들



어느 반에나 선생님이 골치 아파 하는 아이들이 있다. 통제가 어렵고 제멋대로 돌아다니며 부루퉁하게 선생님을 바라보는 아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 한 반에 한 두명 정도다. 난 이런 아이들을 쉽지 않은 아이들이라고 부른다. 


아이들이 돌봄 3개 반을 왔다갔다 하며 지내기 때문에 선생님들은 이 쉽지 않은 아이들이 누구인지 미리 파악하고 마음의 준비를 한다. 쉽지 않은 아이들 뒤에는 보통 쉽지 않은 학부모가 있고, 아이가 한 말을 바탕으로 선생님에게 항의 전화가 온다. 


오늘 돌봄 2반의 오전 2타임 선생님도 그런 전화를 받고 무척 기분이 상했다. 


2학년 지유가 어제 국어 학습지를 안 한 이유로 2타임 선생님이 국어책을 가져가서 할 수가 없었다고 엄마에게 말했기 때문이다. 그건 사실이 아니었고 항의전화를 받은 선생님은 지유와 지유 어머니 둘 다에게 화가 났다. 지유는 대표적인 쉽지 않은 아이다. 잠깐 눈을 떼면 친구의 머리를 잡아당기거나 수업 시간에 허락되지 않은 놀이를 하고 있거나 마스크를 벗고 있다. 


그래서 지유와 나 사이의 대화는 대개 이렇게 흘러간다.


“밥 먹기 전에 책상 위 장난감은 다 치워야 해.”

“아니에요.”

“뭐가 아니야?”

“그냥 아니에요. 안돼요. 싫어요. 못해요.”


싫어요와 못해요를 연속으로 여덟 번 정도 듣다보면 내가 필경사 바틀비의 세계 속에 들어와 있는 것 같다. 분홍 줄무늬 티셔츠를 입은 지유는 선생님과 학교라는 권위에 굳건히 저항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 속에서 바틀비는 결국 굶어 죽지만 지유를 그렇게 놔둘 수 없으니 선생님들은 이런 거절을 무시하거나 타협한다. 난 늘 타협하는 쪽이다. 장난감을 치우라는 나와 절대 안된다는 지유. 우리는 결국 서랍장 위에 장난감을 올려 놓고 밥을 먹는 것으로 타협했다. 


급식 시간이 끝나면 로봇 조립 시간. 기현이가 날 불러서 두어 번 알려주다 다른 아이를 봐주러 움직였다. 기현이는 자기가 불러도 내가 오지 않자 방법을 바꿨다. 

"선생님은 쓸모없는 사람이야!"

로봇 조립을 어떻게 하는지도 몰라서 당황하는 동안 내 뒤에서 기현이는 열심히 외쳤다. 1학년 기현이의 말로 비수를 꽂는 능력이 언제 저렇게 발달했나 새삼 감탄했다. 나와 함께 일하던 대학생 선생님은 기현이와 하루 같이 있고 난 뒤 퇴근하는 길에 울었다. 


사실 거짓말이나 친구와의 다툼, 선생님 말을 듣지 않고 제멋대로 하는 건 견딜만 하다. 거짓말은 사실관계를 확인하면 되고, 제멋대로 하는 건 중간에서 적절한 타협선을 보면 된다. 늘 그런 해결책이 가능한 건 아니지만, 시간과 끈기, 많은 에너지를 들이면 할 수 있다. 아니면 그냥 무시하거나(바쁜 선생님들은 보통 후자를 선택한다). 


정말 골치가 아픈 건 비명을 지르며 원숭이처럼 뛰어다니는 경우다. 순식간에 반 분위기가 변하고 통제할 수가 없다. 선생님들이 전부 회의한다고 교실을 비우고 나 혼자 스물 대여섯 명의 아이들의 급식과 통제를 책임졌던 날, 민혁이는 마스크를 벗고 오랑우탄처럼 뛰어다니며 내 다리에 계속 머리를 부딪혔다. 몇몇 남자 아이들이 환호하며 웃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 감정을 드러내면 그거야 말로 지는 일이다. 이상한 일이지만 돌봄 관계에서 어른(선생님)과 아이는 늘 보이지 않는 싸움을 한다. 어디까지 허용할 것이고, 어디에서 멈출 것인가. 그러나 내가 멈추라 말한다고 아이가 듣는 것도 아니다. 이를 위해선 카리스마와 냉정한 판단력, 고도의 비언어적 기술이 필요하다. 


그날 난 열이 머리 끝까지 뻗쳐 오르고 주먹에 힘이 들어갔지만, 머리 뚜껑이 열린다는 게 이런 거구나 깨달았지만, 참았다. 안 참는다고 내가 민혁이를 때릴 수 있는 것도 아니고(하지만 그런 생각이 강렬하게 들었다는 걸 고백해야겠다), 한 줄기 이성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난 심호흡을 아주 천천히 했다. 


오전반 선생님이 오셔서 나는 민혁이의 행동에 대해 말했고, 선생님은 민혁이에게 손들고 서 있기 벌을 내렸다. 난 다른 반에 가야 해서 교실을 나왔다. 


쉽지 않은 아이들에게 시달리는 것과 별개로, 난 선생님 말을 안 듣는 아이들을 꽤 좋아한다. 권위에 도전하고 납득할 수 없는 이유(학생은 의자에 바르게 앉아야 해)는 무시하고, 자기 고집을 꺾지 않는 아이는 아이여도 멋있다. 인생을 살아가며 언젠가 갖춰야 할 태도를 미리 갖추고 있는 것 같다. 물론 그 대가로 선생님들은 학을 떼고 아이들은 눈총을 받지만 말이다. 그리고 이 아이들이 반항심은 자신감 떄문이라기보다는 가정 환경의 불화, 외로움, 분노 등으로 만들어진 경우가 많지만 말이다. 


돌봄 교실이 소규모로 (5명 정도)로 운영되고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면 민혁이의 법석은 별로 큰 문제가 아니었을 것이다. 그러나 돌봄 교실은 그렇게 운영하지 않는다. 난 가끔 이 교실이 돌봄보다는 통제에 더 기준을 두고 있지 않나 싶다. 아이들이 얼마나 바르게 앉아서 있는가. 얼마나 거리두기를 잘하고 있는가. 어른들이 보기에 얼마나 바람직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가. 


돌봄은 당연하게도 저런 정적인 게 아니다. 박치기를 하던 마스크를 쓰느냐 벗느냐를 갖고 실랑이하건 아동 돌봄은 직접 대면하고 주고받고 느슨하건 팽팽하건 줄다리기를 하는 일이다. 그래서 비언어적인 소통(말투, 표정, 주변의 분위기, 방금 전에 있던 알 수 없는 일 등)이 항상 영향을 준다. 예측할 수 없고 기대한 대로 흘러주지 않는다는 점에서 돌봄은 날씨같다. 


아무려나, 난 반쯤 열린 머리 뚜껑을 다시 잠재우고 창문 밖에서 민혁이가 손을 들고 있는 걸 봤다. 줄무늬 티셔츠가 위로 올라가고 볼록한 배가 드러났다. 보고 있는데 기분이 전혀 좋지 않았다. 오전반 선생님한테 말한 것도 손들기도 다 뻔한 연기같다는 생각을 했다. 벌준다는 건 그냥 제 맘에 안 드는 행동을 했다고 권위를 통해 상대를 괴롭히는 게 아닐까? 중요한 건 내가 아이한테 그만큼 열받을 수가 있다는 걸 깨달은 점이다. 타협이고 뭐고 지금 이 순간 화풀이로 이 녀석을 한대 쥐어박고 싶은 강한 욕구 내 속에 있다는 걸.  그걸 관리하는 방법은 당연히 내가 참는 것이다. 돌봄은 사실 아이들을 통제 하는게 아니라 자기 자신을 가장 잘 통제해야 하는 일이다. 난 어른이고 아이들은 내 보호 아래 있으니까. 쉽지 않은 일이다. 아이들은 늘 착하진 않고 그래서 언어로도 신체적으로도 나를 통제하려는 마음은 금방 흔들린다. 아빠가 내 어린 시절 열심히 회초리를 휘둘렀던 마음도 다 이런 분풀이였나. 내가 날 때리던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게 됐다는 것, 그리고 나 역시 그 권력을 사용하고 있다는 걸 생각하자 갑자기 나도 싫고 돌봄 교실도 싫고 노란 페인트칠로 반짝이는 학교까지 전부 싫어졌다.  








이전 13화 맞는 건 아프다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