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바이올렛 Jan 10. 2023

아이들에게 학원 뺑뺑이 돌리지 않는 엄마

"그냥 아줌마 써."


아이 어릴 때 복직을 하고나서 참 많이 들었던 이야기다. 친정 엄마가 도와주시냐, 남편이 잘 도와주냐라는 질문 끝에 꼭 저 말이 나왔다. 어디 요술봉을 든 아주머니 한 분이 우는 아이를 뚝 그치게 해줄 것만 같은, 비현실적인 느낌을 불러 일으키는 말이었다. 


마음속으론 늘 '엄마가 있는데 아이들을 다른 아줌마한테 맡긴다고?'라는 생각이 사라지지 않았다. 그렇게 이모님 없이, 베이비 시터 고용 없이 아이들은 초등생이 되었다. 나는 엄마손으로 키우겠다는 생각에 육아휴직을 모두 사용했고 복직해서 이렇게 다사다난한 시간을 보내는 중이다.


아이둘을 초등학교에 입학시키고 복직했더니 이젠 이런 말을 듣는다. 

"그냥 학원 돌려."


학원이 놀이공원의 대관람차인가? 돌리긴 왜 돌린다는 걸까? 학원에 대한 좋은 기억을 가지고 있지 않기에 아이들을 학원으로 몰고 싶지 않았다. 최대한 학교의 테두리에서 보살핌 받을 수 있길 바랐다. 그래서 남매는 방과후교실과 돌봄교실에만 다니고 있다. 


"너희들도 학원 다닐래?"라고 물으면 아니라는 답이 돌아온다. 편안한 옷을 입고 집에서 편안하게 놀고 싶다고 한다. 나도 그게 참 좋다. 내가 집을 좋아해서 아이들도 집을 좋아하는가 싶어 살짝 웃음이 났다.

 



공부와 관련된 학원은 초등학교 5학년 무렵 잠깐 다녔다.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 시간이 맞지 않아 어쩔수 없이 다녔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학교에서 배우는 것을 학원에서 똑같이 배운다는 것도 생소했고 시험을 보고 못 하는 것에 대해 지적받는 것이 영 탐탁치 않았던 기억이 난다. 나는 몰래 반발심을 가지고 수학문제 채점을 본인이 직접 하는 시스템이었는데 그때 거짓으로 틀린 것도 맞았다고 동그라미 쳤던 기억이 있다.


(틀린 문제에도 동그라미 치는 나를 보고 학원 선생님 왈)

"너는 왜 틀린 걸 맞았다고 표시하니?"

"틀린 건 작은 동그라미 치고 있어요."


지금 생각하면 틀렸다고 줄을 긋지 않고 동그라미 쳤다는 자체가 거짓행동을 하고 있었던 셈인데 나는 거기에 한술 더 떠서 '작은 동그라미'라는 논리를 만들어 억지를 썼던 셈이다. 그만큼 공부하는 기계가 되는게 싫었다. 


학원 안에서 아이들끼리 놀다가 작은 사고가 일어나면 선생님들의 대처가 미온적이었던 것, 상급생의 괴롭힘, 학원차안에서 느끼는 불쾌감, 봉고차 운전기사의 무책임함, 그 차 안에서 무한히 반복되던 시끄러운 가요까지... 학원에 대해서 좋았던 기억은 별로 없다. 


공교육과 사교육은 엄연히 다르다고 생각하고 있고, 학교에서는 공부 외에 행복한 어른으로 성장하기 위한 많은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믿고 있다. 그래서 더 학교를 믿고 선생님을 지지하는 중이다. 그러다보면 나도 흔들리는 때가 분명히 온다. 저학년이지만 이미 학교 밖에서 주최하는 대회에서 상을 받는 친구의 이야기를 듣거나, 영재교육원에 들어간다는 이야기를 전해들을 땐 나도 이러고 있으면 안되는게 아닌가 싶을 때가 있다. 그렇게 흔들린다는 것이 솔직한 심정이다. 




하교길에 아이들과 정문을 나오며 아이 친구가 노란색 학원차에 타는 장면을 보았다. 평소에 오는 길이 아니라 일부러 학원차가 잘 보이는 곳으로 방향을 틀어 아이들과 걸어왔다. 


얘들아, 너희도 00이처럼 학교 끝나고 학원 다닐래?

아니, 난 학원 안 좋아해.

왜?

집에서 놀고 숙제하면서 편하게 있을래요.


재차 물어봐도 아이들은 집이 좋다고 한다. 마음속으로 대답한다.


응, 그래. 지금 학원 안다녀도 돼. 

너희가 하고 싶은 공부가 생기면

그때 더 좋아하고 잘할 수 있게 엄마가 도와줄게.

집에 오면 실컷 놀고, 잘 먹고, 편안하게 지내.

엄마도 그게 좋아. 


어릴 때 학원을 좋아하지 않았던 소녀는 자라서 엄마가 되었다.

그것도 공부를 좋아하는 엄마가.

누가 시키지 않아도 매일 책을 보고,

누가 시키지 않아도 매일 글을 쓴다. 


자기 인생에 어떤 풍파가 와도 헤쳐나갈 줄 알고,

자기 인생에 어떤 기쁨이 와도 겸허할 줄 아는,

인생이 파도같다는 사실을 아이들이 스스로 깨우칠 수 있길 바란다. 


나도 그런 시간을 헤쳐나가는 중이다.

아픔에서 곤란함에서 가까스로 빠져나와

삶의 밝은 곳으로 가려고 매일 한발씩 떼는 중이다. 


그때 스스로 좋아서 공부해본 경험이 힘을 발휘하길 바란다.


원하는 때에, 원하는 주제를, 원하는 방법으로

공부할 수 있는 어른으로 성장하길. 


학원 뺑뺑이 대신, 이런 생각을 품고 아이들을 키우는 중이다. 

이게 내가 해줄 수 있는 좋은 것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겨울방학엔 도시락을 싸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