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정호 Apr 07. 2020

서양인은 서울을 왜 불결하다 했을까?





2002년 월드컵을 계기로 우리나라 화장실 문화가 크게 발전했다여기에는 똥 박물관 해우재를 만든 심재덕 전 수원시장이 세계화장실협회(WTA)를 창립하는 등 많은 단체와 시민의 노력한 결과였다그 결과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화장실 문화를 가지고 있다한국을 찾는 많은 외국인이 화장실을 보며 감탄하며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이 한국의 화장실을 배우기 위해 찾는다.


그런데 우리의 화장실 문화는 과거부터 훌륭했을까불과 130여 년 전만 해도 그러지 않았다조선을 찾은 서양인들의 기록을 보면 매우 불결한 나라로 묘사되어 있었다한국 최초로 크리스마스실을 발행한 셔우드 홀은 길거리 한쪽에 있는 도랑에 걸쳐져 세워진 야외 변소는 단지 여성만이 사용하며남자나 어린아이는 보통 길거리에서 용변을 처리하는데 길거리에는 따로 인도가 없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노천 하수구나 다름없다.’라고 기록했다이보다 더 박한 기록도 어렵지 않게 발견된다.



서구인들이 불결하게 여겼던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서울이 큰 도시라는 점이 크게 작용했다농어촌의 경우 고려말에서부터 인분이 퇴비로 사용되면서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문제가 크지 않았다특히 17세기 이후 온돌이 보급되면서 잿간 한쪽에 화장실이 만들어졌다분뇨를 재와 섞으면서 냄새는 사라졌고다음 농사를 짓기 위한 귀중한 퇴비로 변모했다.
 
하지만 서울은 농사가 금지되어있어 인분은 처리해야 할 쓰레기였다그래서 등장한 것이 똥장수였다똥장수는 서울의 인분을 가져다 농촌에 팔면서 도시와 농촌 모두에게 도움을 주었다그러나 20만 명이 넘게 거주하던 서울에서 나오는 분뇨의 양을 모두 소화하기는 어려웠다결국 남성들은 거리에서 생리현상을 해결하는 경우가 많았고간신히 여성들을 위한 적은 수의 화장실이 갖추어져 있을 뿐이었다.


서양인들이 국내에 들어왔던 시기는 많은 농민들이 토지를 잃고 임노동자가 되어 열악한 환경에서 삶을 살아가던 시기였다빈민촌을 형성한 이들은 화장실을 갖출 여력이 없었다자연스레 공동화장실을 사용하다 보니거리에는 분뇨가 넘쳐날 수밖에 없었다여기에 하수도 시설이 없다 보니 생활오수까지 거리에 마구 버리면서 서울의 거리는 매우 불결해졌다주거환경이 열악해지고 오염될수록 그 폐해는 모두 일반 백성들에게 돌아갔다불결한 환경은 잦은 전염병을 만들어냈고그로 인해 빈민층을 비롯한 많은 이들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부지기수였다.

영화 광해


                                       
반면왕이 사는 궁궐의 경우 분뇨로 인한 문제가 없었다왕을 비롯한 왕족들은 이동식 변기인 매화틀(매우틀)을 사용했다()는 대변()는 소변을 의미하는데그 모양은 작은 나무 상자이다위에 대소변이 떨어질 수 있는 구멍이 있고그 아래로 잘게 썬 여물을 넣어 둔 매화 그릇이 있다대소변이 떨어지는 소리로 민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세심한 배려였다왕족들은 궁궐에서 일하는 나인들에 의해 언제든 편한 시간에 청결하게 생리현상을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궁궐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화장실로 인한 불편함을 겪어야 했다현존하는 고궁의 설계도나 문헌에 화장실과 관련된 내용이 발견된 것이 없다다만 창덕궁 대조전에서 회랑으로 연결된 경운각 뒤편에서 흔적이 발견되는 것으로 추정했을 때 화장실의 수가 부족했음을 추정할 수 있다왕족에게 필요없는 공간인 화장실이 내전에서 멀리 떨어진 별채 또는 행각에 설치되었으리라 여겨지기에 불편함이 컸을 것이다예를 들어 궁녀들의 경우 밤에 대변이 마려울 경우 화장실까지 가는 것이 매우 무서워자는 짝꿍을 깨워 같이 가야만 했다.
 
일반 백성이 살던 지역이나 궁궐에는 자연스레 각자의 환경에 맞추어진 화장실 문화가 등장했다많은 이야기와 속담 등이 만들어지면서 화장실은 하나의 문화로 발전하였다과거나 지금이나 화장실은 단순히 생리현상을 해결해 주는 곳이 아니다구한말 서양도 개인위생이라는 관념이 바로 서지 않았으나상대적으로 열악한 조선을 보고 미개하다 평했다우리도 선진국을 평가하는 중요한 척도가 화장실 문화이다우리는 1990년대까지도 국민의 30% 정도가 단독화장실이 없었고거리에서 화장실을 가려면 돈을 지불해야 했다그러나 21세기는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만큼 깨끗한 화장실을 만나기가 쉽지 않다그만큼 우리의 의식도 과거에 비해 발전하지 않았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칠지도는 백제가 왜에게 하사한 의례용 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