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UCI Sep 17. 2020

영국 홍차 대기업 인수한 인도 재벌, 역제국주의?

신간 <지배자의 입맛을 정복하다> 본문 중에서

신간 <지배자의 입맛을 정복하다> 본문 13p~14p 중에서


그런데 제국주의가 (명목상으로) 종식된 지

한참 지난 2000년,

세계 홍차 시장을 발칵 뒤집어놓은

대사건이 일어난다.


인도의 타타그룹이

영국 홍차 기업인 테틀리Tetley를 인수한 것.



테틀리는 차 시장에서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었다.


타타그룹 계열사인

타타 티Tata Tea(현 타타 글로벌 베버리지)는

테틀리를 품고

단숨에 세계 차 시장의 강자로 떠올랐다.



이는 영국의 식민 통치하에서

홍차 때문에 가혹한 고통을 감내했던

인도 역사와 맞물려

세계적인 관심을 모았다.


더욱이 테틀리는 1837년 설립된,

영국 홍차 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브랜드 중 하나였으니

영국인들이 받은 충격이 오죽했을까

(한국으로 치면 종갓집 김치가

중국 기업에 넘어간 셈이다).



여파가 얼마나 대단했던지

그로부터 8년이 지난 뒤에도

미국 경제지 <<포브스Forbes>>가

이 인수를 다시금 다룬다.



인도 기업이 영국・미국 경제를

잠식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에

한 사례로 언급된 것인데

(이 무렵 타타그룹은

미국 자동차 브랜드 재규어와 랜드로버를

인수하기에 이른다),

포브스는 이를 가리켜

‘역제국주의reverse imperialism’라고 표현했다.


쿠스쿠스, 보르시, 커리, 굴라시, 사테, 명란젓

피지배자들의 식탁 위에서 지배자들의 식탁 위로,

무시와 배제의 음식에서 누구나 즐겨 먹는 음식으로 옮겨 간

여섯 가지 음식과 문화 이야기

<지배자의 입맛을 정복하다>

책 정보 더 보기

매거진의 이전글 영국 홍차 문화는 산업스파이 활동의 산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