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정민 Feb 17. 2018

세월은 흔적을 남기고

동안리프팅 치료의 핵심, 매선을 논하다

세월이 얼굴에 만든 변화

 입춘을 지나면서 차가운 바람 속에 묻어나는 봄의 향기가 느껴지는 요즘입니다. 신진대사 속도도 떨어지고, 피부 건조함이 커질 수 밖에 없는 환경적 요인이 가중되는 겨울철에는 유독 주름과 피부 탄력 고민을 하시는 분들이 많았던 거 같아요. 세월은 속절없이 흐르고, 인생의 겨울을 향해 가는 여정에 인간은 누구나 노화현상을 겪게 됩니다.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얼굴에서는 조직학적으로도 구조적으로도 기능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

노화 현상으로 인한 얼굴 변화

1. 피부 최외층 각질층이 두꺼워지면서 피부가 거칠어지고 진피 두께가 얇아지고 피부 표면이 우는 현상인 주름이 생겨납니다.

2. 열이나 물리적인 힘, 자외선 등의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의 저항력이 떨어지면서 피부가 약해집니다. 피부 장벽 기능 약화로 피부에 쉽게 상처가 나고, 상처 회복도 더뎌집니다.

3. 피부 재생의 중심부인 진피층의 퇴화되고 변형되어 콜라겐 구조의 장력이 무너져 탄력이 떨어집니다.

4. 피하내 지방조직의 감소 현상도 동반됩니다.  이로인해 피부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주름이 더욱 심화됩니다.

5. 근육의 장력이 약화됩니다. 얼굴 근육이 약화되면 탄력을 잃고 축 늘어지게 되고 근막도 변화가 일어나면서 얼굴선이 무너지게 됩니다.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의 근섬유는 느슨하고 길어지는데 원래보다 50%까지 길어질 수 있습니다.



 노화로 인한 피부와 피부 아래 구조물의 변화는 얼굴 전체의 탄력을 떨어뜨리고 여러가지 증상들을 만들어냅니다. 비순구에는 팔자주름이 깊어지고, 눈아래쪽에는 인디언 주름, 하악쪽에는 심술보마리오네트 라인이 심해집니다. 눈가 지방패드가 꺼지면서 안와는 꺼지고 하안검은 지방패드가 몰려서 하안검 아이백도 나타납니다. 진피 두께가 얇아지고 지방패드가 꺼지면서 볼꺼짐 현상도 나타납니다.


결국 얼굴 리프팅 치료할 때는 노화로 인해 나타난 이러한 얼굴의 변화를 완화하고 그 흔적을 지워주는 것에  초점을 맞춰야합니다.

  

올려라! 채워라! 줄여라!

 그 원칙을 한번 정리해볼까요? 우선 중력에 영향을 받아 아래로 처져 늘어진 피부 중심을 위로 올려주고, 얼굴중심부로 모아줘야 합니다. 이를 위해 돌기를 가지고 있는 가시매선 (코그매선)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처짐 현상이 가중되어 있는 나이대에는 보다 강한 힘을 가지고 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기능성 코그매선의 역할이 더 중요해집니다. 양방향 코그 매선이나 스파이크 매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효과를 오래 유지하는 관건은 강한 지지력을 가진 인대에 가시를 걸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앵커링(anchoring)이라고 하는데요. 앵커링을 잘 하려면 얼굴 해부학적 구조를 잘 이해하고 신경과 혈관 손상없이 인대 부위에 매선을 자입해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얼굴 탄력이 떨어져 아래로 처지면서 근막과 인대, 지방패드의 움직임에 따라 어떤 부위는 꺼지고 어떤 부위는 쳐지고 또 어떤 부위는 지방이 모여서 두툼해지는 현상이 생기지요. 그래서 이러한 부위별 특징에 맞게 치료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꺼진 부위는 볼륨을 채워주는 기능이 있는 매선을 이용해서 채워줘야합니다. 또 지방패드가 이동으로 두툼해진 부위는 윤곽약침이나 지방분해침을 활용해야 합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누적된 각질층을 탈락시켜 피부톤과 피부결을 개선해주는 것도 노화현상을 지우기 위한 중요한 치료 과정입니다.


실리프팅, 매선침 정체가 뭐니?

 앞서 말씀드렸듯이 이러한 세월의 흔적을 지우기 위한 치료 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매선치료입니다. 매선埋線, 즉 실을 묻는다라는 뜻을 가진 한의학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침구치료법입니다. 아주 옛날 옛적에는 목화실이나 대나무실 같은 실을 활용했다고도 문헌에 적혀있는데요.

 

 현재는 생체 이물반응도 거의 없고 안전한 PDO라고 하는 봉합사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 PDO는 폴리디옥사논 (PolyDioxanOne)으로 오랜 기간 사용되어 온 봉합사로 그 안정성이 입증된 물질입니다. 시술 후 체내에서 30일 이후부터 서서히 녹아 6개월~8개월 사이에 전부 체내에 흡수가 되지요. PDO는 원래 외과 수술시 일반적으로 장기간 장력이 유지되어야만 하는 봉합과정에 활용되었는데, 진피층에 여러가지 변화를 일으켜서 모공과 잔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이 검증되면서, 최근에는 미용 치료에서 더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매선치료를 피부미용 분야뿐 아니라 내과, 근골격계, 부인과, 비뇨기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이렇게 치료의 스펙트럼이 넓은 이유는 매선이 특정 효과를 가지는 경혈을 장시간 유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안면의 형태를 이루는 뼈나 골격의 형태에서 직접 변화를 유도하는 양악수술, 안면윤곽술이나 보형물을 삽입하는 성형수술과는 달리 매선치료는 진피나 피하 지방 등 피부 연부 조직을 목표로 주름개선, 윤곽 교정을 할 수 있는 비수술 치료 요법입니다.



매선침, 봉합사가 주름을 좋아지게 하는 원리



그러면 어떤 원리로 수술에 사용되던 봉합사가 주름을 좋아지게 하고 피부 탄력을 형성할 수 있는 걸까요? 아래 사진은 PDO 자입 후 조직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일목요연하게 잘 표현했습니다.

사진의 위는 매선침을 자입하기 전 연부조직의 상태이구요. 아래는 PDO실을 자입한 후 변화된 조직을 그린 그림입니다. 이렇듯 보라색 PDO실을 자입한 후 주변에는 아주 다양한 변화들을 일어났습니다.

<< PDO 자입 후 피부 조직에 생기는 변화>>

- 새로운 결합 조직 형성
- 기존 결합 조직 사이에 연결 고리 형성
- 근섬유아세포 (Myofibroblast)에 의한 조직 수축
- 모세 혈관 신생 유도
- 지방 세포 용해

 조금 깊게 들어가보면 이 모든 과정은 창상치유반응(wound healing response) 이라는 상처가 난 후 조직에서 일어나는 회복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PDO실이 자입된 주변으로 eosinophile과 같은 세포들이 모여 granulation tissue를 형성하고 이 세포들은 콜라겐 결합 조직을 풍부하게 만들어냅니다. 그리고 새로이 형성된 콜라겐 결합 조직과 기존의 섬유결합조직( 초록색)이 융합되어 유기적으로 연결이 되기 시작하죠. 이렇게 형성된  granulation tissue 안에는 창상치유과정에서 창상 수축과 밀접하게 연관되고 피부 재생 시술 후 시술 부위에 탄력을 형성하는 근섬유아세포 (myofibroblast)가 형성되고 주변에 새로운 모세혈관도 형성되는 등 조직의 재생 반응이 다양하게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1. 김봉철 외. 실리프팅의 정석. 대한의학 (2016)

2. 조승필. 매선성형시술매뉴얼. 신흥메드싸이언스 (2013)

매거진의 이전글 팔자주름이여 안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