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Feb 09. 2022

메타명리학의 세 위상-천본·인간·지지 ①

5장.메타 명리의 세 위상 : 본간지(本干支)

메타 명리학의 세 위상 : 천본(天本)·인간(人干)·지지(地支)

하늘과의 연결고리가 끊어진 기존 명리학의 이론대로라면 천간(현상계의 혼)과 지지(현상계의 육)만으로 위상을 나눠 현상계 차원을 벗어나지 못하고 형이상학적 진리에 도달하지 못합니다. 하늘과의 연결고리를 회복하고자 하는 메타 명리학에서는 ‘하늘의 뜻’ 자체를 가리키는 선천 오행과 ‘인간의 정신’을 가리키는 후천 오행이 나뉘는 것 같이 선천 십간(절대계의 영)과 후천 십간(현상계의 혼)으로 나눠야 한다고 봅니다.


‘자연의 질서’로 만들어진 현실 환경을 가리키는 지지는 그대로 후천(현상계의 육)으로 상정하여 다루면 됩니다. 지지는 ‘하늘의 뜻’에 맹목적으로 순종한다는 점에서 선천 오행의 논리를 충실히 따르는 후천의 작용입니다. 셋으로 나뉘는 ‘선천 십간’, ‘후천 십간’, ‘후천 십이지’의 명칭은 ‘선천 십간:후천 십간’으로 십간으로 묶거나 혹은 ‘후천 십간:후천 십이지’로 후천으로 묶어 둘씩 짝짓기에 적합합니다. 둘씩 비교할 때는 위와 같은 명칭을 그대로 써도 되지만, 셋을 한꺼번에 묶어볼 때는 통일성을 갖기 위한 새로운 명칭이 필요합니다.


기존 명리학은 하늘의 줄기 ‘천간(天干)’과 땅의 가지 ‘지지(地支)’로 명리학을 음양의 이원 구조로 설명한다면, 메타 명리학에서는 천지인 삼재 사상을 근거로 하늘의 뿌리 ‘천본(天本)’과 사람의 줄기 ‘인간(人干)’, 그리고 땅의 가지 ‘지지(地支)’로 명리학을 삼재의 삼원 구조로 설명하려 합니다. 위상이 둘(음양)로 나뉘는 ‘천간:지지’보다 셋(삼재)으로 나뉘는 ‘천본:인간:지지’로 볼 때 철학적 탐구가 훨씬 풍부해집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에 앞서 한 가지 말씀드리자면, 여기서 말하는 내용은 개별 사주를 풀이하는 노하우나 팁이 아니라 존재의 보편법칙을 살펴보는 ‘철학적 탐구’입니다. 개별 사주 풀이에 (혹 어떤 아이디어에 계기는 제공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특정 의도를 가지고 정보나 관점을 제시하는 ‘역술 자료’가 아니라는 점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앞서 살펴보았던 동그라미-세모-네모를 세로로 디자인한 원방각 기하를 삼재(천-인-지)로 구분했던 의미는 같고, 단지 ‘각(角)·세모’를 ‘오각형’으로 변형(응용)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홀수인 3(삼각형)과 5(오각형)는 기하학 모양에서 하늘로 솟구치는 뿔이 드러나죠. 둘 다 발은 땅에 딛고 머리는 하늘로 치켜세운 인간의 원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나아가 오각형에서는 머리(○)와 발(□) 외에 손(△)도 드러나기에 자체적으로 또 하나의 삼재를 내포합니다.


기존 명리학의 천지는 형이하 차원의 기운(天)과 물질(地)을 뜻한다면, 메타 명리학의 천지인에서 천은 형이상의 영(靈), 인은 형이하의 혼(魂), 지는 형이하의 육(肉)을 뜻합니다. 사실 줄기(干)와 가지(支)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생명 활동을 할 수 없다는 점에서 기존 명리학의 간지(干支)는 뿌리(本)를 전제해야만 하는 애초에 불완전한 명칭으로 지어졌습니다. 어쩌면 기존 명리학은 이론적인 결핍으로 남아있던 ‘천본(天本)’이라는 빈자리가 채워지기를 기다리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존 명리학에서 천간(天干)·지지(地支)의 위상 차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