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한 Mar 18. 2024

온라인 글쓰기

사적인 글을 쓴 지도 벌써 오래되었다. 개인적인 글을 쓸 때의 오밀조밀한 감성, 소소한 설렘과 보람이 다시 그리워졌다. 기록에 대한 욕구가 샘솟는다는 건 시간이 다시금 소중해졌거나, 소중하게 다루고 싶어졌거나. 미래를 위해 과거를 현재에 기록하는 것에는 기록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상쇄하고도 남을 충분한 가치가 있으니까.

사적이고 개인적인 글을 누구나 볼 수 있는 온라인 공간에 게시하는 것에는 약간의 딜레마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나는 과연 어디까지 솔직할 수 있을 것인가? 혼자만 읽을 수 있는 공간에 글을 쓰게 되면 미래의 독자가 이미 모든 상황을 알고 있는 나 하나 뿐이라 아무래도 정성이 덜 담기게 된다. 웬만해선 나 하나만 만족하(시키)기 위해 색다른 고민을 하거나 기교를 부리지 않게 된다.

다수의 다른 사람들에게 어떤 방식으로든 글이 노출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내가 알고 있는 이야기를 일차적으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게끔 보편적으로, 이차적으로는 최소한의 재미나 의미, 감동을 전달하고자 하는 동기가 부여된다.

그러한 과정에서 '이미 모든 상황을 알고 있는 나', '내가 알고 있는 이야기'는 내 스스로에게도 좀 더 입체적이고 풍성하게 변화한다. 혹은 어떤 면에 있어서는 새롭게 의미 부여되면서 재해석되고, 결이 아예 다른 기억으로 재정립되기도 한다. 유일한 독자인 나보다 다수의 독자 중 한 명이 된 내가 얻게 되는 혜택이 더 크다. 작가의 입장에서든 독자의 입장에서든. 나만이 아니라 나를 포함한 남을 고려할 때 나는 한결 더 배려심 있고 한결 더 탁월해진다.

앞서 언급한 '약간의 딜레마'는 불특정 다수의 독자보다는 특정 다수의 독자를 고려할 때 발생하는 듯하다.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지인은 일상에서 나와 접촉하며 교류하는 사람이 포함될 것이다. '나는 과연 어디까지 솔직할 수 있을 것인가?' 서두에 조금 일찍 터져 나온 이 질문이 결국 이런 글을 쓰게 만든 핵심 고민이다.

나를 남처럼 객관화해서 생각하면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특정인' 중 하나로 포함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사람들에게 어떤 걸 드러내고 싶고, 어떤 걸 감추고 싶은가? 어떤 걸 드러낼 수 있고, 어떤 걸 감춰야만 할까? '글이 보여주는 나'와 '실제 살아가는 나'는 과연 얼마나 일치하는가? 여기서 발생하는 위선과 가식, 설레발과 오지랖을 스스로에게든 지인에게든, 불특정 다수의 타자에게든 언제까지고 견뎌낼 수 있을까?

솔직함만이 이끌어갈 수 있는 영감이 있고, 그 영감의 흐름에 한 번 올라타기만 하면 내가 글을 쓰는 게(write) 아니라 글이 나를 쓰게(use) 된다. 이제 막 적기 시작했지만 한편으로는 이미 완성된 글을 최대한 비슷하게 옮겨 담는 꼴이 된다. 결과적으로는 소소해 보이지만, 이 과정 속에는 우주적이고 영적인 설렘과 보람이 숨어있다. 이걸 쉽사리 포기할 수는 없다. 그런데 문제는 솔직함이 이끌어가는 영감에 올라타려는 의지는 타인의 시선에서 힘을 얻게 된다는 점에 있다. 타인을 깔끔하게 배제한 나에게는 뭔가 해볼 만한 의욕이 좀처럼 나지 않는다.

온라인 글쓰기 경력이 거의 20년 가까이 된 것 같지만, 아직도 혹은 갈수록 이러한 딜레마를 다루기 위한 타협과 조율이 어렵게 느껴진다. 위선과 가식을 아예 없앨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하면서, 나를 포함한 특정인에게 당당하면서도 불편하지 않도록 하고,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최소한의 재미나 의미, 혹은 감동을 전해줄 수 있는 글을 쓴다는 것.

물론 어렵다고 해서 싫어한다거나 꺼려한다는 건 아니다. 어려운 문제일수록 도전 정신이 생기고 고차원의 재미를 느낄 수 있으며, 어려운 문제만이 제공할 수 있는 성장의 동력이 있을 것이다. 내가 역학과 영성에 관한 책 집필(여전히 ing..)을 겁도 없이 괜히 시작한 게 아닐 테고. 일단의 발심으로는 시간과 에너지가 남는 한 온라인 글쓰기의 딜레마에 좀 더 자주, 꾸준히, 적극적으로 부딪쳐 보고 싶다. 그래야만 얻게 되는 것과 남게 되는 것을 더이상 놓치기 싫다.


ps. 그러고 보니 글쓰기에 대한 글쓰기, 기록에 대한 기록을 꽤 자주 하는 편인 듯하다. 아래는 예전 블로그의 관련 링크 모음.


https://blog.naver.com/kim4892kr/220687874834

https://blog.naver.com/kim4892kr/220656428363

https://blog.naver.com/kim4892kr/60198214302

https://blog.naver.com/kim4892kr/220682596623

https://blog.naver.com/kim4892kr/222617380452

https://blog.naver.com/kim4892kr/222892802829




작가의 이전글 상담의 이데아를 찾아서 (3)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