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florent May 27. 2024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

Design

이 글은 Universal Methods of Design: 100 Ways to Research Complex Problems, Develop Innovative Ideas, and Design Effective Solutions를 번역, 의역, 재구성한 글입니다.


출처: Nielson Norman Group, https://www.nngroup.com/articles/affinity-diagram/

 


어피니티 다이어그램(Affinity Diagramm, 유사성 기반 정보 도식화)이란?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귀납적인(inductive) 리서치 방법으로, 리서치에서 발견한 관찰, 통찰과 같은 정보들을, 유사성과 같은 특정 기준으로 분류(cluster)하여 묶는 것을 의미한다.

- 리서치의 정보를 분류하고 도식화함으로써, 디자이너들은 데이터를 더욱 직관적으로 이해하여 작업시 리서치 데이터에 기반하여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 (1) 작은 상세 사항으로 시작하여, (2) 해당 정보들이 그룹으로 묶인 뒤, (3) 총체적인 중요 주제를 도출하는 식으로 확대되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의 리서치 방법이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필요성

- 리서치에서 발생된 데이터가 개인의 머리 속에만 남아있거나, 제대로 명시하고 정리하지 않으면, 관찰하거나 학습한 것들을 종합(synthesize)하기 어려워져 리서치의 의미를 상실하기 쉽다.

- 디자이너들은 포스트잇(sticky notes)과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리서치 내의 정보들을 어피니티 다이어그래밍(외부화 + 정리)하여 리서치 결과의 함의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야한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활용

1. 맥락 질의 (Contextual Inquiry)

- 일반적으로, 맥락 질의를 수행하는 리서처는 특정 여러 환경에서 행동하는 사용자들을 조사하며, 한 명당 평균적으로 50~100개 정도의 관찰 정보를 얻게 된다.

- 리서처는 조사 이후, 모든 정보들을 포스트잇으로 적은 후 해당 관찰 정보의 중요도, 의도, 내포한 문제 등을 구체화하여 비슷한 성격을 지닌 포스트잇끼리 묶는다.

- 포스트잇들이 분류되면, 각 포스트잇 클러스터는 특정 사람, 작업 목표, 문제, 작업 단계 등으로 정리된다.


2. 사용성 테스트 (Usability Test)

- 사용성 테스트가 진행되는 동안, 테스트 대상자를 관찰하며 행동적 특징, 수행 중 어려움을 겪은 부분, 반응 등을 기록한다.

- 각 정보들을 유사성을 기반으로 분류하여, 어떤 부분이 고쳐져야하는지, 아니면 또 다른 테스트가 수행되어야하는지 설계한다. 또한, 기능적으로 개선해야할 점이나, 신규 기능의 우선순위를 선정할 수 있는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의 중요성

- 어피니티 다이어그램은 실제 고객/사용자의 사용 맥락에 근거한 데이터들이기 때문에, 반드시 디자인 과정 상에서 지속적으로 염두하고 활용해야 할 중요한 고객의 목소리(VOC, Voice of Customer)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작가의 이전글 24년 5월 27일 흠터레스팅 테크 뉴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