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시호 Jul 18. 2020

여름 꽃들이 피었다 진다

나희덕 시인의 '기억의 자리' 감상


기억의 자리

                                           나희덕


어렵게 멀어져 간 것들이 

다시 돌아올까 봐.

나는 등을 돌리고 걷는다.

추억의 속도보다는 빨리 걸어야 한다.

이제 보여줄 수 있는 건

뒷모습뿐, 눈부신 것도

등에 쏟아지는 햇살뿐일 것이니

도망치는 동안에만 아름다울 수 있는

길의 어귀마다

여름 꽃들이 피어난다, 키를 달리하여

수많은 내 몸들이 피었다 진다.

시든 꽃잎이 그만

피어나는 꽃잎 위로 떨어져 내린다.

휘청거리지 않으려고

걷는다, 빨리, 기억의 자리마다

발이 멈추어선 줄도 모르고

예전의 그 자리로 돌아온 줄도 모르고          



나희덕의 「기억의 자리」는 오래도록 가슴 저리게 좋아해 왔으면서도 ‘나는 이 시가 좋아’라고 쉽사리 털어놓지 못한 작품이었다. 시가 전하는 메시지가, 시구 하나하나가 내 심장을 차근차근 즈려밟는 것 같은 아픔을 주었기 때문이다. 사실 내 삶의 대부분은 벗어나려는 몸부림이었다. 과거에서 멀어지려 했고, 때로는 현재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지금만 견디면 앞으로의 삶이 더 나아질 거라고 스스로를 다그치며 앞으로 걸었다. 


비교적 가벼운 이야기지만 겨우겨우 종강을 하고 나서 기진맥진해 버린 것도 그 연장선상에 있었다. 코로나-19로 인한 수업여건 변화와 근무지에서의 예기치 않은 일 등 여러 요인들이 “기막힌 한 학기”를 만들어낸 것은 객관적인 사실이지만, 현재를 버리고 종강을 할 때까지만 버티자며 계속해서 몰아세운 것은 나였다.


“벗어나려는 몸부림”은 과정이 고되고 또,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시의 화자가 밝히고 있듯 "예전의 그 자리로 돌아"오게 되는 일도 허다하다. 시에서는 "추억"이라고 일컫고 "도망치는 동안에만 아름다울 수 있"다고 하지만, 내 경험들은 결코 ‘추억’이 될 수도 없었고 ‘도망치는 동안에도’ 아름다울 수 없었다.


벗어나려 하나 벗어나지 못하는 첫 번째 몸부림은 학생 시절 입시 실패다. 누군가가 나에게 고민을 털어놓았다면 ‘삶은 순리대로만 흘러가는 게 아니고, 네 삶을 살면 된다’고 조언했을 것이면서도 지독한 엘리트 주의자였던 학창 시절 선생님 말씀을 내면화해서 나를 다그쳐왔다. 


누군가의 말대로 나는‘노력을 하지 않은 양아치’가 아니라는 점을 인정받고 싶었다. 그래서 ‘머리는 좋은데 공부를 안 해요.’라는 말은 치욕이라고 생각했고 차라리 ‘노력은 하는데 머리가 나쁘다.’는 말이 좋았다. 대학시절에도 틈도 없이 달려 가고 싶었던 대학의 대학원에 입학했으면서도 열등감이 불쑥불쑥 솟구쳐 오른다.  우연히 읽은 ‘타대 출신은 학우가 아니라는 글’ 하나를 몇 달째 반추하며 내면화하고 있는 중이다. 


나름대로 의미 있는 삶을 살겠다고 종교인의 삶에 들어섰다가 모양 우스운 꼴만 당하고 나온 이력도 벗어나고 싶은 과거이다. 내 선택이었고, 그런 결정을 하게 된 데는 ‘선한 의지’ 말고도 여러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인지하면서도 내 탓만은 아니라고 항변하고 싶었다. 나의 결정이 남은 가족들에게 상처를 주었다는 사실을 마주하고 싶지가 않았고, 그곳에서 지내는 동안 들었던 ‘날 선 칼 같은 무수한 말들’은 지금도 내 삶을 좀먹고 있다. 


어쩐 일로 용기가 생겨 시를 다시 꺼내 들었고, 아무에게도 털어놓지 못했던 이야기를 이 글에서 털어놓는다. 아무리 벗어나려 몸부림쳐도 벗어날 수 없다는 사실을 이제는 인정해야겠다. 그 많은 실패와 치욕의 기억들도 모두 ‘나’라는 사실을 받아들여야겠다. 벗어나지 않고 마주하기로 결심하면 ‘도망치는 길의 어귀에서 피고 지기를 반복했던 수많은 여름 꽃’들의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도 있지 않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깡마른 꽃봉을 떠나보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