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Veni Jun Sep 27. 2019

그때 그 시절로,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과거를 잊지 않도록, 아픔과 추억을 함께 하다

가본 적 없는 1969년의 할리우드에, 어느샌가 진한 향수를 느끼고 있었다.


*본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미 국내외로 유명한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신작,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는 여러모로 개봉 전부터 화제를 몰고 다녔다. 10번째 연출작으로 은퇴를 하겠다 선언한 감독의 9번째 작품이라는 점,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와 브래드 피트, 마고 로비 등의 유명 배우들이 출연한다는 점, 할리우드의 끔찍한 비극으로 기억되는 맨슨 패밀리의 '샤론 테이트 살인 사건'이 다뤄진다는 점이나 이소룡의 희화화 논란까지, 영화를 향한 기대와 주목, 그리고 우려는 끊이지 않았다.


2시간 41분이라는 짧지 않은 러닝 타임 동안 영화는 1969년 LA, 할리우드에 있었던 여러 인물들의 삶을 보여준다. 이제는 한물 간 서부극 배우 '릭 달튼(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과 그의 스턴트맨인 '클리프 부스(브래드 피트)'. 릭의 옆집에 살지만 특별한 교류는 없었던 유명 영화감독 '로만 폴란스키'와 그의 아내 '샤론 테이트(마고 로비)'. 그리고 60년대를 논한다면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히피 공동체까지. 영화가 중후반부를 넘기도록 이들은 각자의 생활 속에서 맞물릴 듯 맞물리지 않는 관계를 이어간다.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지만 결코 상대방의 영역에 들어가지 않는, 철저하게 다른 이야기 속의 인물들로 나아갔다. 각자의 이정표를 따라 흘러가던 이야기들은 후반 클라이맥스에 다다라서야 하나로 맞춰지는데, 여기서부터 타란티노 감독 특유의 유혈이 낭자하는 해프닝이 펼쳐진다.



이 영화가 가진 힘이 폭발하는 장면은 당연히 실제 사건을 바탕으로 한 후반부 맨슨 패밀리와의 해프닝이겠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때까지의 2시간이 지루하거나 재미없는, 혹은 후반부를 위한 설명에 불과한 것은 결코 아니다. 오히려 타란티노 감독이 카메라에 담고자 했던 것은 그 2시간이 아니었을까? 여기에 이 영화가 '60년대와 할리우드에 대한 헌정'이라 불리는 이유가 있다.


그때 그 시절


릭은 주역에서 물러나 서서히 대중의 기억에서 잊혀가는 자신의 현실을 그저 받아들이고 있었다. 신인들의 상대역을 맡으며 배우 생활은 계속하고 있었지만, 이전의 열정은 사라지고 술기운에 비틀거렸다. 그러던 그는 TV시리즈 <랜서(Lancer)>의 세트장에서 한 아역 배우를 만나게 되는데, 그 만남 이후로 릭은 슬럼프에 빠진 자신을 돌아보고 현실을 다시 한번 직시하며 배우로서의 마음가짐을 다잡게 된다.



릭이 촬영장 안쪽을 보여주었다면, 클리프와 샤론은 서로 다른 곳에서 촬영장 밖을 향했다. 우선 클리프는 과거 자신과 릭의 촬영지이자 이제는 폐쇄되어 히피들, 정확히는 맨슨 패밀리의 거주지가 된 '스팬 무비 랜치(Spahn Movie Ranch)'를 찾았다. 그는 그곳에서 옛 친구이자 랜치의 주인인 조지 스팬을 만나 인사를 나눴는데, 이제는 앞도 제대로 보지 못하는 그와, 히피들에게 점령되어 관리도 제대로 되고 있지 않은 랜치의 풍경은 할리우드와 영화계의 모습을 상징하는 듯이 너무나도 빠르게 변해있었다.



아직 이들과의 접점이 없던 샤론은 홀로 LA 시내를 누볐는데, 그는 거리를 지나던 중 자신이 출연한 영화인 <렉킹 크류(The Wrecking Crew)>가 상영 중인 것을 발견하게 된다. 그대로 영화가 상영 중인 '브루인 극장(Fox Bruin Theatre)'에 들어가 관객들 사이에 앉은 샤론은, 영화 속 자신의 캐릭터를 보며 웃고 호응하는 관객들의 모습에 뿌듯한 미소를 짓는다. 마치 아이처럼 밝고 순수하게 느껴지는 그 미소는, 분명 모든 배우들이 간직하고 있으리라. 비록 자본주의의 메카인 할리우드를 움직이는 것은 돈일지언정, 그 속의 사람들에게 진짜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은 대중의 웃음일 테니까.




나는 60년대를 살지도, 그 시절에 태어나 있지도 않았다. 하물며 머나먼 미국 땅에는 아직까지 발을 디뎌본 적도 없다. 그럼에도 나는 이 영화를 보며, 절대로 느낄 수 없는, 아니 느껴질 리가 없는 향수를 느꼈다. 마치 나도 그 시절과 그곳에 대한 추억을 지니고 있는 것만 같았다. 그건 어째서였을까?

관객을 몰입시키기 위해 영화가 사용하는 주된 수단 중 하나는 카메라다. 비록 실제적인 경험을 공유하진 못하더라도, 때때로 카메라가 우리의 눈이 되어 우리를 스크린 너머의 세상으로 초대하는 것이다.


TV 시리즈의 세트장에서 연기 중인 릭을 찍을 때, '우리가 보고 있는 영화를 찍는' 카메라와 '극중극 <랜서>를 찍는' 카메라가 동일시된다. 릭이 자연스레 대사를 읊으며 드라마는 잘 흘러가고 있었고, 그렇기에 우리는 지금 '릭이 연기를 끝내고 TV에 방영되는 완성본을 보고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그러던 찰나, 갑자기 그가 NG를 일으키며 촬영이 중단되고 카메라는 패닝 하며 촬영 현장을 보여준다. 사실 우리가 보던 것은 이전 장면들과 마찬가지로 촬영 중인 세트장이었지만, 영화의 카메라를 극중극의 카메라의 자리에 위치시킴으로써 우리에게 착각을 일으킨 것이다.



샤론의 장면도 마찬가지다. 카메라는 샤론의 정면이나 측면이 아니라 극장에 앉은 그의 뒤에서, 뒷자리에 앉은 관객의 눈높이에 맞추어 그를 찍었다. 그것도 정말 관객이 된 것처럼 앞자리의 샤론보다는 스크린에 더 집중해서 말이다. 말 그대로 카메라가 우리의 눈이 된 것이다. 연기하는 릭을 바라보며 그 시절 거실 소파에 앉아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듯이, 샤론을 바라보면서는 지금 나 자신이 2019년이 아니라 1969년의 극장에 앉아 그와 함께 <렉크류>를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이 일었다.


카메라에 더해, 영화는 계속해서 실제 장소나 작품들을 곳곳에 배치하여 영화의 현실감과 현장감을 더했다. 릭 - 그 자체는 가상의 인물이지만 - 이 촬영 중이던 <랜서>나 샤론이 출연한 <렉킹 크류>는 모두 실제 방영되었던 TV 시리즈와 영화이고, 클리프가 찾아간 '스팬 무비 랜치'와 샤론이 영화를 보러 간 '브루인 극장(현 Regency Bruin Theatre)' 역시 실존하는 장소들이다. 타란티노 감독은 영화 촬영을 위해 LA의 거리를 당시 풍경으로 꾸몄었는데, 만일 실제 그곳에 다녀왔거나 사진을 접했다면 영화를 보며 느끼는 현실감이 더 크지 않았을까.




영화의 러닝타임처럼 길었던 글도 이제 끝이 가까워졌다.

영화는 현실적인 요소들을 통해 관객들의 눈앞의 1969년의 할리우드를 재현했고, 우리는 영화 속 인물들을 따라 그 속을 탐험하고 즐겼다. 그런데 영화를 보기 전 '맨슨 패밀리'나 '샤론 테이트 살인 사건'에 대해 찾아본 사람들이라면 무언가 이상한 불안을 안고 있었을 것이다. 분명 영화에서 비극적인 사건이 터지리라 예상했었고, 실제로도 사건의 주요 관계자들이 모두 등장했는데, 도대체 그 끔찍한 사건은 언제 벌어지는 것인가. 이야기의 종료 시간은 정해져 있었기에, 지금 보고 있는 행복과 일상이 모두 시한부일 것이라는 씁쓸함이 몰려왔다.


그리고 거기서 반전이 일어났다. 영화는 릭과 클리프라는 가상의 인물을 실제 사건에 개입시켜 사건의 발단과 진행에 이어 결과까지 전부 완전히 뒤집어 놓았다. 본래 실제 찰스 맨슨의 추종자들은 영화 초반에 잠시 등장했던 것처럼 샤론과 폴란스키 감독이 이사 오기 전 그곳에 살았던 음반 제작자를 습격하기 위해 찾아왔던 것이지만, 영화에서는 맨슨이 이사에 대해 알면서도 그곳에 살고 있는 사람들을 해치라고 자신의 추종자들을 보냈다. 그리고 이에 더해 그 추종자들은 자신들의 범행을 대중문화의 폭력성에 대한 막연한 히피적 저항으로 합리화했는데, 정작 자신들이 모의하고 있는 것이야말로 폭력의 극치라는 것을 깨닫지 못한 채 그저 대중문화를 향해 칼날을 들이밀었다.



그렇게 이들은 예정을 비틀어 샤론이 아니라 릭의 집을 습격하게 되고, 때마침 그곳에 있던 클리프와 그의 애완견 브랜디에게 철저하게 격파당한다. 덕분에 샤론과 그의 친구들 그리고 뱃속의 아이는 모두 무사할 수 있었고, 현실의 비극은 반복되지 않았다. 맨슨 패밀리의 범행은 기억에서 지우고 싶을 정도로 끔찍했고,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과 트라우마를 남겼다. 이후 그들은 체포되어 사형을 선고받지만, 캘리포니아주가 사형제를 폐지하며 그들도 덩달아 무기징역으로 감형된다. 결국 찰스 맨슨은 팬들의 추앙을 즐기다가 옥내에서 자연사했고, 패밀리 일원들은 계속해서 가석방 심사의 기회를 받고 있다. 그렇기에 더욱 영화의 압도적이고 호쾌한 결말이 반가웠다. 타란티노 감독은 잊고 싶은 과거추억하고 싶은 과거로 각색하여, 우리가 그날의 비극을 잊지 않도록 했고 배우 샤론 테이트와 60년대 할리우드를 향해 위로와 사랑의 마음을 전했다.




하나둘 켜지는 LA 거리의 네온 간판들을 비출 때, 내 마음도 함께 울컥했다.

매거진의 이전글 병든 세상 속 작지만 힘찬 날갯짓, <벌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