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주차
역기획은 서비스를 기획자의 시각에서 다시 살펴보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시장에 존재하는 서비스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며, 이를 위해 어떤 서비스 구조와 UX/UI를 기획했는지를 거꾸로 추적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이를 통해 그들이 정의한 문제와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현한 솔루션을 역순으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관찰이 아니라 분석과 기획을 필요로 하므로, 사고의 흐름을 정확하게 담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PM에게 역기획이 필요한 이유
고객, 서비스,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하는 역량을 키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사용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비즈니스'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해야 합니다. 따라서 서비스의 수익 구조와 기업의 목표 및 전략을 분석하고, 기획 과정을 시각화하는 사전 연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해당 서비스의 내부 데이터를 통해 가설을 확인하는 한계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유사한 핵심가치를 갖는 동일 업종 뿐만 아니라, 다른 업종의 유사한 프로세스를 조사하여 실무에서 활용 가능한 유용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는 경험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우리 팀이 역기획을 위해 선정한 서비스는 캐치테이블의 '타임라인'서비스 입니다. 링크
캐치테이블은 ‘즐거운 미식생활의 시작’이라는 브랜드 슬로건을 가지고 B2B, B2C 예약 관리 서비스를 거쳐 웨이팅, 포스기 등 두 고객 (End-user와 식당 사장님) 모두를 위한 외식업 통합 플랫폼이 되기 위해 진화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변화의 시도가 드러나는 캐치테이블 속에서 우리는 “타임라인”이라는 베타 서비스에 집중해, 왜 이 서비스가 기획되었고, 이런 방식과 형식으로 만들어졌을지 역기획 해보려합니다.
캐치테이블의 주요 이해관계자는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캐치테이블에 입점하는 점주(고객), 입점한 매장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자, 마지막으로 앱을 이용하여 예약을 진행하는 이용자로 이해관계자를 설정하였습니다.
<캐치테이블>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미식 경험을 할 수 있는 레스토랑 큐레이션과 온라인 웨이팅, 그리고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캐치테이블을 통해 레스토랑을 예약하는 시스템이에요. 또한, 점주에게는 사용자에 대한 이름, 연락처등에 대한 기본정보를 포함한 예약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월 예약 건수 당 서비스 이용료를 부과합니다. 이러한 캐치테이블의 비즈니스 모델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Q. 1주차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가장 기억에 남았던 피드백은 무엇인가요?
역기획의 목적이 뚜렷해야 한다는 피드백이 기억에 남아요. 카카오톡이나 배달의 민족과 같이 이미 대중적인 서비스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캐치태이블과 같은 경우, 서비스가 가진 페인포인트를 찾아 개선안을 제안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어요. 다시 말해, 현재 캐치테이블이 어떤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는지 역으로 찾는 것을 우리 프로젝트의 목표로 삼았습니다. 핵심 기능을 중심으로 비슷한 업계에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고 있는지, 또한 다른 서비스에도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인사이트를 얻는 등 해당 기능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었어요. 캐치테이블의 기능을 역기획해보자면, '타임라인'을 베타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는데, 이 기능은 실시간 리뷰 형태의 글들을 타임라인 형식으로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왜 '타임라인' 기능으로 배타서비스를 기획했을까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문제를 가설을 세웠어요. 캐치테이블 사용자의 VOC를 수집하고 필드 리서치를 거쳐 결론적으로, 사용자에게 활발한 리뷰 활동을 목표로 한 실험 중인 서비스라는 가설을 입증할 수 있었습니다.
Q. 역기획 프로젝트를 통해 어떤 역량이 길러졌다고 생각하시나요?
비즈니스 분석 능력 : 서비스의 흩어진 정보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비즈니스 목표와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하는 역량을 기를 수 있었어요.
문제 해결 능력 : 서비스플로우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어느 단계에서 불편함을 겪는지 문제 도출과 함께 가설을 입증할 B2C, B2B 사용자 조사를 통한 정성 데이터 수집하고 내부자 인터뷰를 통해, 유의미한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개선안을 제공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관리 능력 : 개선안 도출 뿐만 아니라 해당 개선안에 필요한 데이터, 개선 후 기대효과, 성과를 확인 하기 위한 핵심 지표와 목표, 리스크까지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관리 역할을 경험하며, 일정을 관리하고 리스크를 관리하는 등의 역량을 키울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중 가장 잘했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KEEP
<캐치테이블>의 비즈니스 분석을 통해 과거와 미래의 서비스 방향성을 분석하여 현재의 어떤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는지 근거를 입증하였습니다.
서비스가 의도하고자 하는 기능을 딥다이브로 분석하여, 문제 도출 및 문제 가설과 가설을 입증하는 과정을 흐름대로 잘 나타내었어요.
프로젝트 진행 중 스스로에게 아쉬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PAUSE
개선 결과를 분석하기 전까지 역기획하여서, 우리가 설계한 가설과 검증이 실제로 사용자의 페인 포인트를 해소할까에 대한 결과를 알 수 없어 아쉬웠다.
역기획에서 이미 성능이 검증된 서비스가 아닌 성장 중에 있는 서비스를 선택하였기 때문에, 서비스의 사용성이 검증되지 못한 사례 중 하나여서 인사이트를 얻는 데 한계가 있었습니다.(캐치테이블 앱 내부의 Beta서비스 배포한 기능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하는 모수 자체가 적음)
어떤 시도를 통해 스스로를 더욱 개선해 나갈 수 있을까요? TRY
다양한 개선안을 우선 순위에 따라 분류하고, 핵심 가치를 제공하는 주요 기능과 부가 기능을 구분하여 실제 구현에 필요한 프로젝트 일정을 계획해 봅니다.
경쟁사들이 어떻게 고민을 해결해 나갔는지 역분석하여 필요한 인사이트를 얻습니다.
항해99 PM 부트캠프 PM코스를 수강하고 작성한 콘텐츠입니다.
https://hanghae99.spartacodingclub.kr/pm
#PM부트캠프후기 #PM코스 후기 #IT부트캠프후기 #직무부트캠프후기 #서비스기획부트캠프 #PM부트캠프 #프로덕트매니저 #서비스기획 #항해99PM코스 #항해99 #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