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투자를 부르는 애니메이션 제안서, 이 목차로 투자받자

애니메이션 투자 유치 제안서 작성법

애니메이션 투자가 필요한 이유

애니메이션 제작은 막대한 초기 자본이 필요한 고위험 수익 산업이다.

일반적인 TV 시리즈 애니메이션의 경우 회당 5천만 원에서 1억 원 이상의 제작비가 소요되며, 극장용 장편 애니메이션은 기본 50억 원에서 1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제작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높은 제작비용은 애니메이션의 특성상 피할 수 없는 부분이다. 수많은 인력이 장기간에 걸쳐 작업해야 하며, 기획개발부터 최종 완성까지 보통 2-3년이라는 긴 시간이 소요된다.


더욱이 애니메이션은 수익 실현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특징이 있다. 제작이 완료된 후에도 방영 일정에 맞추기 위한 대기 시간이 필요하고, 본격적인 수익은 해외 수출과 2차 판권 사업을 통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제작사가 초기 단계에서 상당 기간 운영자금을 자체적으로 조달해야 함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중소 제작사들은 이러한 대규모 자금을 독자적으로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외부 투자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투자 유치는 단순한 자금 조달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애니메이션 산업의 특성상 흥행 실패의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데, 투자자들과 위험을 분산함으로써 제작사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문 투자자들은 단순히 자금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배급망 확보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하는 작품의 경우, 해외 투자자들의 참여는 현지 시장 진입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한다.


전문 투자자들의 참여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한다. 이들은 시장의 트렌드와 소비자 요구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 기획 단계에서부터 의미 있는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조언은 작품의 예술성과 상업성의 균형을 맞추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더불어 투자자들의 참여는 작품에 대한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도 있어, 후속 투자 유치나 선판매 계약 체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결론적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에 있어 투자 유치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높은 제작비용과 긴 제작 기간, 수익 실현까지의 시차, 그리고 시장 리스크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외부 투자는 필수적인 요소다. 성공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을 위해서는 탄탄한 기획력과 제작 능력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투자 유치 계획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이에 투자에 필요한 투자제안서의 목차를 보고자 한다.

물론 아래의 목차는 필자가 사용하는 목차로 콘텐츠, 프로젝트, 장르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애니메이션 투자 제안서 목차 및 설명

1. 개요 (Overview)  

내용: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개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한다. 각 에피소드의 길이(편당 시간), 총 편수, 총 러닝타임, 제작 방식(2D or 3D), 타깃 연령층, 장르를 한 장에 명확하게 정리한다. 보통 표로 정리하는 것이 보기에 편하다

목표: 투자자가 프로젝트의 핵심 요소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 스토리 (Story)  

내용: 애니메이션의 주요 스토리를 소개한다. 전체적인 플롯과 주요 캐릭터 간의 갈등, 해결 방안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핵심 메시지나 주제도 포함시켜라.

목표: 흥미로운 줄거리와 감정적인 연결고리를 만들어 투자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3. 콘셉트 (Concept)  

내용: 애니메이션의 기획 의도와 독창적인 콘셉트를 설명한다. 콘텐츠의 핵심 매력과 시청자에게 제공할 가치를 강조한다.

목표: 이 프로젝트가 다른 경쟁작과 차별화되는 점을 명확히 설명해 투자자가 왜 이 프로젝트에 투자해야 하는지 설득한다.

4. 디자인 (Design)  

내용: 주요 캐릭터의 디자인과 배경, 주요 씬, 콘셉트아트등의 스틸컷 등을 보여준다. 시각적인 자료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비주얼 스타일을 전달한다.

목표: 시각적인 매력을 강조하여 투자자가 비주얼 측면에서 프로젝트의 잠재성을 확신하도록 한다.

5. 성공포인트 (Key Success Points)  

내용: 콘텐츠의 강점(예: 독특한 스토리텔링, 탁월한 비주얼, 유명 제작진 참여 등)을 설명하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들을 정리한다. 팀 구성과 제작진의 경력을 소개하는 것도 포함시킨다.

목표: 프로젝트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여 투자자를 안심시킨다.

6. 사업계획 (Business Plan)  

내용: 애니메이션이 진출할 국가별 사업 계획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유럽 시장에서는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상품(완구 등)에 대한 이해가 낮을 수 있으니 이에 맞는 전략을 세운다.

목표: 각 국가나 지역의 시장 특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과 구체적인 배급 계획을 제시하여 글로벌 사업성을 증명한다. 경험상 미국 및 유럽의 경우 사업계획서에 완구사업 계획이나, 2차 상품화 사업계획이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중국, 동남아의 경우 좋아한다.

7. 수익 예측 (Revenue Projections)  

내용: 예상 수익 구조를 설명한다. 라이선스, 극장 배급, TV 방영, OTT 플랫폼 수익, 굿즈 판매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제시하고, 예상 매출을 숫자로 명확히 제시한다. 보통 5년간의 예상수익을 표기하면 된다.

목표: 투자자들이 예상되는 수익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측과 근거를  제공한다.

8. 투자구조 (Investment Structure)  

내용: 선 투자자나 파트너십이 있는 경우 명시하고, 투자자 간의 수익 배분 구조를 설명한다. 투자 방식(지분 투자, 공동 제작 등)과 배분 방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목표: 투자자들이 투자 후 어떤 이익을 얻게 될지 명확하게 전달한다.

9. 예산 (Budget)  

내용: 총 제작 예산과 세부 예산을 항목별로 제시한다. 각 제작 단계(예: 기획, 제작, 후반 작업 등)의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목표: 예산 사용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조하여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준다.

10. 일정 (Schedule)  

내용: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과 주요 마일스톤을 제시한다. 각 제작 단계별로 예상 완료 시점을 명시하여 프로젝트가 언제 완성될지 명확히 한다.

목표: 일정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음을 보여줘 투자자들에게 프로젝트가 제시간에 완료될 것임을 안심시킨다.

11. 투자제안 (Investment Proposal)  

내용: 투자자에게 제안하는 구체적인 투자 조건을 명시한다. 투자 금액, 투자 후 예상 수익률, 프로젝트 참여 방식 등을 설명한다.

목표: 투자자가 명확한 조건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12. 연락처 (Contact Information)  

내용: 투자자가 연락할 수 있는 담당자의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 상세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다. 연락처가 없는 제안서를 많이 보았는데 이는 감점 요인이 된다.

목표: 제안서를 본 투자자가 빠르고 쉽게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