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메이션 투자 유치 제안서 작성법
내용: 프로젝트의 전반적인 개요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요약한다. 각 에피소드의 길이(편당 시간), 총 편수, 총 러닝타임, 제작 방식(2D or 3D), 타깃 연령층, 장르를 한 장에 명확하게 정리한다. 보통 표로 정리하는 것이 보기에 편하다
목표: 투자자가 프로젝트의 핵심 요소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내용: 애니메이션의 주요 스토리를 소개한다. 전체적인 플롯과 주요 캐릭터 간의 갈등, 해결 방안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핵심 메시지나 주제도 포함시켜라.
목표: 흥미로운 줄거리와 감정적인 연결고리를 만들어 투자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내용: 애니메이션의 기획 의도와 독창적인 콘셉트를 설명한다. 콘텐츠의 핵심 매력과 시청자에게 제공할 가치를 강조한다.
목표: 이 프로젝트가 다른 경쟁작과 차별화되는 점을 명확히 설명해 투자자가 왜 이 프로젝트에 투자해야 하는지 설득한다.
내용: 주요 캐릭터의 디자인과 배경, 주요 씬, 콘셉트아트등의 스틸컷 등을 보여준다. 시각적인 자료를 통해 애니메이션의 비주얼 스타일을 전달한다.
목표: 시각적인 매력을 강조하여 투자자가 비주얼 측면에서 프로젝트의 잠재성을 확신하도록 한다.
내용: 콘텐츠의 강점(예: 독특한 스토리텔링, 탁월한 비주얼, 유명 제작진 참여 등)을 설명하고,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들을 정리한다. 팀 구성과 제작진의 경력을 소개하는 것도 포함시킨다.
목표: 프로젝트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강조하여 투자자를 안심시킨다.
내용: 애니메이션이 진출할 국가별 사업 계획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유럽 시장에서는 애니메이션과 관련된 상품(완구 등)에 대한 이해가 낮을 수 있으니 이에 맞는 전략을 세운다.
목표: 각 국가나 지역의 시장 특성에 맞춘 현지화 전략과 구체적인 배급 계획을 제시하여 글로벌 사업성을 증명한다. 경험상 미국 및 유럽의 경우 사업계획서에 완구사업 계획이나, 2차 상품화 사업계획이 들어가는 것을 싫어하는 경향이 있고, 중국, 동남아의 경우 좋아한다.
내용: 예상 수익 구조를 설명한다. 라이선스, 극장 배급, TV 방영, OTT 플랫폼 수익, 굿즈 판매 등 다양한 수익 모델을 제시하고, 예상 매출을 숫자로 명확히 제시한다. 보통 5년간의 예상수익을 표기하면 된다.
목표: 투자자들이 예상되는 수익률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예측과 근거를 제공한다.
내용: 선 투자자나 파트너십이 있는 경우 명시하고, 투자자 간의 수익 배분 구조를 설명한다. 투자 방식(지분 투자, 공동 제작 등)과 배분 방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한다.
목표: 투자자들이 투자 후 어떤 이익을 얻게 될지 명확하게 전달한다.
내용: 총 제작 예산과 세부 예산을 항목별로 제시한다. 각 제작 단계(예: 기획, 제작, 후반 작업 등)의 예산을 투명하게 공개한다.
목표: 예산 사용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조하여 투자자들에게 신뢰를 준다.
내용: 프로젝트의 전체 일정과 주요 마일스톤을 제시한다. 각 제작 단계별로 예상 완료 시점을 명시하여 프로젝트가 언제 완성될지 명확히 한다.
목표: 일정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음을 보여줘 투자자들에게 프로젝트가 제시간에 완료될 것임을 안심시킨다.
내용: 투자자에게 제안하는 구체적인 투자 조건을 명시한다. 투자 금액, 투자 후 예상 수익률, 프로젝트 참여 방식 등을 설명한다.
목표: 투자자가 명확한 조건을 바탕으로 투자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내용: 투자자가 연락할 수 있는 담당자의 이름, 이메일, 전화번호 등 상세한 연락처 정보를 포함한다. 연락처가 없는 제안서를 많이 보았는데 이는 감점 요인이 된다.
목표: 제안서를 본 투자자가 빠르고 쉽게 연락할 수 있도록 한다.